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영화감상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영화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영화계 지배 시스템에 대한 혁명적 반기

3. 인간의 존재와 참된 자아에 대한 인식

4. 독특한 주제의식의 형상화

5. 나오며

본문내용

는 장면, 자기가 죽인 새의 다른 한 쌍에게 시달림을 받는 장면 등 여러 장면들과 맞물려서 해진이 참된 자아를 자각해 나가는 과정을 그리려 하고 있다. 배용균은 그 과정 속에서 우리 인간의 존재, 즉 참된 자아를 인식한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진지하게 묻고 있는 것 같다.
4. 독특한 주제의식의 형상화
그러면 앞서도 부분적으로 언급했지만 이러한 주제의식을 이 영화가 어떻게 스타일링하고 있는가를 전체적으로 살펴보겠다. 우선 이 영화가 독특해 보이는 것은 촬영과 편집, 양 측면에서 기인한다. 촬영에 있어서는 자로 잰 듯한 꽉찬 느낌의 완벽한 구도와 마치 동양화의 수묵화를 연상시키는 조명이 특이할만하다. 조명의 경우는 주제의식 자체와 맞물려 동양적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카메라 구도의 경우는 부분이 아닌 전체적으로 봤을 때 다소 문제가 있다.
이러한 완벽에 가까운 구도는 관객들로 하여금 화면 속 내용들을 다른 생각의 틈도 주지 않고 강요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는 몇몇 장면에서는 긍정적 기능을 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론 이 영화의 모호한 편집과 추상적인 주제의식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이러한 부조화는 편집에서도 나타나는데 이는 앞에서 대부분 언급했듯이 이 작품은 지나칠 정도로 사용된 몽타쥬와 교차편집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를 못하고 이미지 창출에 반감을 가져오기도 한 것 같다.
하지만 역으로 이것이 오히려 배용균이 노린 효과일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영화를 바라보는 관객 입장에서는 이해가 아닌 오해의 소지를 유발하는 것으로써 다소 세련된 기교로서 받아들이기는 힘이 들 것 같다. 마지막으로 음악과 더빙에 있어서의 문제인데 열악한 작업환경을 생각하면 이해는 되는 거지만 거의 입이 맞지 낳는 대사 더빙과 충분히 자연 음으로도 그 효과를 낼 수 있는 장면에서 지나치게 음악을 사용한 것도 흠이라면 흠일 것이다.
5. 나오며
이 영화는 한마디로 진지한 영화이다. 그 진지함은 이 영화의 여러 문제점마저 포용하고 있다. 이 영화의 스타일 체계의 문제점들은 무겁고 모호한 내러티브를 이끌어 나감에 있어서 아직 확실한 자신만의 영화문법을 정리하지 못한 배용균에 있어서는 어쩔 수 없는 결과일지 모른다. 그것은 결과적으로 관객들에게 이 영화를 이해시킴에 있어 실패를 가져 왔지만 우리의 삶의 문제를 진지하게 묻고 있는 이 영화 전체에 걸친 진지한 시도들은 우리 영화가 나아가야 할 한 단면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8.06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