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자 나다니엘 호손
2. 내용요약
3. 주홍글씨의 현대적 가치
4. 인물들을 통한 작품분석
5. 인간이라는 불완전한 존재가 만들어내는 드라마
6. 맺음말
2. 내용요약
3. 주홍글씨의 현대적 가치
4. 인물들을 통한 작품분석
5. 인간이라는 불완전한 존재가 만들어내는 드라마
6. 맺음말
본문내용
. 인물들을 통한 작품분석
여기서는 등장 인물을 통해 작품에 접근해 보려 한다.
본래 주요 인물은 헤스터 프린, 칠링워드, 딤즈데일과 펄이다. 앞에서 이미 살펴봤듯이 칠링워드는 헤스터의 남편이고 딤즈데일은 헤스터의 애인이다. 펄은 헤스터와 딤즈데일 사이의 딸이지만 작품 내에서 characterization이 되어 있기보다는 상징적 역할을 주로 하고 있으므로 다루지 않겠다.
- 칠링워드
칠링워드는 헤스터의 남편으로 학자였으나 인디안에게 잡혀 있는 동안 의술을 배워 의사 노릇을 한다. 본시는 애정이 있는 사람이었으나 아내와 간통한 이에 대한 복수를 꾀하며 악마같은 사람으로 변한다. 그는 세 가지 죄를 지었다고 본다.
첫째는 아직 어려서 자연적인 욕구를 모르는 헤스터를 속여 결혼한 죄이다. 그는 이전엔 지적이고 아름답고 조용하며 부드럽던 사람이었다. (intelletual and studious man, calm and quiet) 그러나 진정한 사랑이 아니면서 헤스터와 결혼한 잘못을 저질렀다. 그는 여자를 하나의 인격체로 보지 않고 따뜻한 가정에 대한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한 도구로만 여겼다. 머리에 지식은 들었지만 진정한 인간성은 갖추지 못했고 남의 인간성을 존중할 수도 없었다.
둘째는 남편으로서 소홀히 한 것이다. 그는 그의 지성으로 그의 부재가 어떤 결과를 초래할 것인지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녀를 그런 자신이 용서하지 못하는 죄의 가능성에 방치해 두었다.
셋째는 아내에 잘못에 대해 너그럽지 못한 죄이다. 그녀가 간음을 하여 자신의 허영을 깨뜨리자, 그녀를 돌보지 않았던 자신의 과오는 인식은 하면서도 무시해버리고, 공범자에 대한 치졸한 복수에 전념한다. 그는 잘못을 저지른 그의 부인, 헤스터를 너그럽게 받아들이지 못했다. 왜냐하면 \'He regarded his wife jelouslyy, as a chattel. Woman is born for love, and it is impossible to turn her from seeking it. Men should deserve her love as an inheritance, rather than seize and guard it like a prey.
, not as a person with needs and rights of her own\' 이기 때문이다. 그는 그나마 지닌 지식으로도 너그러울 수 없었고 오히려 위와 같은 생각으로 인해 이해하고 용서해줄 가슴은 더더욱 없었다. 결국 복수를 위해 의도적으로 한 인간을 파멸시키는 정녕 용서받을 수 없는 죄를 저지르고 만다. 그의 죄가 가장 크다고 하는 것은, 그것이 의도적이며 인간성의 결여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에게 없는 인간성이라는 것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고, 따라서 신이 주신 자연스런 인간성 중의 하나인 정열을 감당하지 못한다. 남의 과오를 너그러이 용서해주고 고쳐주지 못하고 사악한 의도로 역시 신이 주신 자신의 지적인 능력을 이용하여 악을 저지른다.
- 딤스데일
딤즈데일은 New England의 존경받는
여기서는 등장 인물을 통해 작품에 접근해 보려 한다.
본래 주요 인물은 헤스터 프린, 칠링워드, 딤즈데일과 펄이다. 앞에서 이미 살펴봤듯이 칠링워드는 헤스터의 남편이고 딤즈데일은 헤스터의 애인이다. 펄은 헤스터와 딤즈데일 사이의 딸이지만 작품 내에서 characterization이 되어 있기보다는 상징적 역할을 주로 하고 있으므로 다루지 않겠다.
- 칠링워드
칠링워드는 헤스터의 남편으로 학자였으나 인디안에게 잡혀 있는 동안 의술을 배워 의사 노릇을 한다. 본시는 애정이 있는 사람이었으나 아내와 간통한 이에 대한 복수를 꾀하며 악마같은 사람으로 변한다. 그는 세 가지 죄를 지었다고 본다.
첫째는 아직 어려서 자연적인 욕구를 모르는 헤스터를 속여 결혼한 죄이다. 그는 이전엔 지적이고 아름답고 조용하며 부드럽던 사람이었다. (intelletual and studious man, calm and quiet) 그러나 진정한 사랑이 아니면서 헤스터와 결혼한 잘못을 저질렀다. 그는 여자를 하나의 인격체로 보지 않고 따뜻한 가정에 대한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한 도구로만 여겼다. 머리에 지식은 들었지만 진정한 인간성은 갖추지 못했고 남의 인간성을 존중할 수도 없었다.
둘째는 남편으로서 소홀히 한 것이다. 그는 그의 지성으로 그의 부재가 어떤 결과를 초래할 것인지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녀를 그런 자신이 용서하지 못하는 죄의 가능성에 방치해 두었다.
셋째는 아내에 잘못에 대해 너그럽지 못한 죄이다. 그녀가 간음을 하여 자신의 허영을 깨뜨리자, 그녀를 돌보지 않았던 자신의 과오는 인식은 하면서도 무시해버리고, 공범자에 대한 치졸한 복수에 전념한다. 그는 잘못을 저지른 그의 부인, 헤스터를 너그럽게 받아들이지 못했다. 왜냐하면 \'He regarded his wife jelouslyy, as a chattel. Woman is born for love, and it is impossible to turn her from seeking it. Men should deserve her love as an inheritance, rather than seize and guard it like a prey.
, not as a person with needs and rights of her own\' 이기 때문이다. 그는 그나마 지닌 지식으로도 너그러울 수 없었고 오히려 위와 같은 생각으로 인해 이해하고 용서해줄 가슴은 더더욱 없었다. 결국 복수를 위해 의도적으로 한 인간을 파멸시키는 정녕 용서받을 수 없는 죄를 저지르고 만다. 그의 죄가 가장 크다고 하는 것은, 그것이 의도적이며 인간성의 결여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에게 없는 인간성이라는 것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고, 따라서 신이 주신 자연스런 인간성 중의 하나인 정열을 감당하지 못한다. 남의 과오를 너그러이 용서해주고 고쳐주지 못하고 사악한 의도로 역시 신이 주신 자신의 지적인 능력을 이용하여 악을 저지른다.
- 딤스데일
딤즈데일은 New England의 존경받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