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입문 외과 血風혈풍 나풍 양매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입문 외과 血風혈풍 나풍 양매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혈풍
나풍
양매창

본문내용

안이 백색물이 많아서 누르면 긴장되지 않음을 일컬어 천포창이라고 하니 이런 종류의 경증이다.
如發於 額 口鼻 穀道邊者는 屬陽明及少陽太陽하다.
만약, 살쩍, 이마, 입, 코, 항문주변에서 발생하면 양명과 소양, 태양에 속한다.
如發於足脛 陰莖 脇肋者는 屬肝腎及太陰이라.
만약 발 정강이, 음경, 옆구리갈비에서 발생하면 간, 신, 태음에 속한다.
大抵 上先見者는 氣分의 受病이니 上體에 必多하다.
대개 위에서 먼저 나타나면 기분에서 병을 받음이니 상체에 반드시 많다.
下先見者는 血分의 受病이니 下體에 必多하다.
아래에서 먼저 나타나면 혈분이 병을 받음이니 하체에 반드시 많다.
上下俱見者는 氣血의 俱病이니라.
위 아래가 모두 나타나면 기와 혈이 모두 병듦이다.
初宜疎瀉 久補虛하야 免成癰癬 與漏缺이라.
초기에 반드시 소사하고 오래되면 허증을 보하여 옹선과 샘과 빠짐을 생성함을 면제케 한다.
初起에 卽服防風通聖散 一貼하되 去麻黃하고 用硝黃하고 以去內毒하라.
초기 양매창이 시작함에 곧 방풍통성산 1첩으 복용하되 마황을 제거하고 망초, 대황을 사용하여 내부독을 제거한다.
待胃氣稍定하야 再以一貼에 去 硝黃하고 用麻黃하며 發汗하야 以去外毒하라.
위기가 조금 안정되길 기다려 다시 한첩에 망초,대황을 제거하고 마황을 사용하여 발한하여 외부독을 제거한다.
以後에 用加減通聖散丸이니라.
이후에 가감통성산과 가감통성환을 사용한다.
多服此方하면 內通臟腑하고 外發經絡하니 爲首尾要藥이라.
이 방풍통성산처방을 많이 복용하면 안으로 5장6부에 소통하고 밖으로 경락에 발하니 머리와 꼬리까지 중요한 약이다.
輕者는 服此一劑하고 更可洗하면 足矣요.
경증은 한제를 복용하고 다시 비벼서 씻어내면 족하다.
重者는 十貼後에 宜服化毒散하고 三日에 用吹藥하라.
중증 양매창은 방풍통성산 10첩뒤에 화독산을 복용하고 3일에 다시 약을 불어 사용한다.
三日에 瘡乾하야 痂欲脫落하면 再服化毒散 三日後에 量用 防風通聖散 加減하라.
3일에 종차이 말라서 딱지가 떨어지려고 하면 다시 화독산을 복용하고 3일뒤에 방풍통성산을 헤아려 가감 사용한다.
上體多者는 兼服敗毒散에 加荊 防 鉤藤하라.
상체에 많으면 겸하여 패독산에, 형개, 방풍, 조구등을 가미하여 복용한다.
下體多者는 兼服龍膽瀉肝湯하라.
하체에 많으면 겸하여 용담사간탕을 복용한다.
從鼻準腫起하야 遍身生瘡하고 面上에 尤多者는 樺皮散이오.
비준으로부터 종기가 일어나서 온 몸에 종창이 생기고 안면 위에 더욱 많으면 화피산이다.
便燥者는 搜風順氣丸이니라.
대변이 건조한 양매창은 수풍순기환이다.
以此로 調理하야 斷根이라.
이로써 조리하여 양매창 뿌리를 제거한다.
○失治하야 久則風毒이 深入經絡이니 挾濕하면 而成頑癬하다.
양매창을 잘못 치료하여 오래되면 풍독이 깊이 경락에 들어가니 습을 끼면 완선을 생성한다.
或氣血이 虛敗하면 而成漏하다.
혹은 기와 혈이 허패하면 누공을 생성한다.
或誤服 輕粉 水銀과 及不遵禁戒하야 而成風堆腫爛하고 流膿出汁을 謂之癰이니라.
혹은 잘못 경분 수은을 복용하고 금기와 경계를 따르지 않으며 풍을 생성하여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8.09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