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칸트의 도덕규범
2. 도덕규범의 보편성은 가능한가
3. 다수가 도덕규범의 보편성을 지키는 방법은 무엇인가
2. 도덕규범의 보편성은 가능한가
3. 다수가 도덕규범의 보편성을 지키는 방법은 무엇인가
본문내용
잘못된 것은 잘못됐다고 알리는 매체는 많으며, 이를 통해 어린 아이부터 성인까지 자신의 체계를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무의식적으로 도덕규범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다. 무의식적인 도덕 습득은 그 효과가 대단하다. 마지막 방법은 도덕규범에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왜 이 도덕규범을 지켜야 하는지 그 타당성을 확보하여 많은 이들로 하여금 공감을 얻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 성장위주의 사회 속에서 제대로 된 윤리를 배우지 못하고 잊어버린 사람들이 도덕규범을 지킬 마음을 가질지, 또 공감이라는 것을 가질 수 있는지는 미지수가 돼가고 있는 시점이 된 것 같다. 이제라도 집에서부터 제대로 된 교육으로, 모든 사람들이 도덕규범이라는 것에 공감을 얻는 날이 오기를 바랄 뿐이다.
추천자료
철학연구
기독교와 국제정치
[간호윤리] 의료현장에서의 윤리적 갈등(사례를 통한 이론의 접근)
도덕교육의 이해_요약
공 리 주 의
[플라톤] 플라톤의 교육사상과 수학교육사상에 대한 비판
[신][신의 이해][신의 공허성][신의 존재성][한국의 신][그리스의 신][신의 존재 논증]신의 ...
니체에 있어서 초인과 권력의지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차이를 비교 분석
벤담의 공리주의, 존스튜어트밀, 케인즈자본주의
[서버세션명령][데이터전송명령][클리퍼명령][도덕적 명령][수강명령][구제명령][법규명령][...
[철학, 철학 의미, 철학 어원, 철학 종류, 철학 대상, 철학 체계, 철학 방법]철학의 의미, 철...
인터넷은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서양근세철학,초기의 쾌락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