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경봉원 호황련胡黃連 황금 진교 시호 은시호 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경봉원 호황련胡黃連 황금 진교 시호 은시호 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호황련 황금 진교 시호 은시호 전호

본문내용

명은 그 중간에 있으니 황금이 아니면 쌓이고 융성함을 열고 발설하지 못한다.
一主風木客邪,一主濕土蘊著,可混論。
황금은 한편으로는 풍목의 침입한 사기를 주관하며 한편으로는 습토의 쌓이고 붙음을 주치하니 어찌 혼동하여 말하겠는가?
芩雖苦寒,畢竟治標之藥,惟軀殼熱者宜之。
황금은 비록 고미와 한기로 필경 표를 치료하는 약이니 오직 몸이 열이 있는 사람에게 마땅하다.
若陰虛伏熱,虛陽發露可輕試乎。
만약 음허로 잠복한 열과 허양이 노출되면 가벼이 황금을 시험하겠는가?
其條實者兼行衝脈,治血熱妄行。
그 황금의 가지는 실하면 충맥을 운행하며 혈열의 망행을 치료한다.
古方有一味子芩丸,治婦人血熱,經水暴下不止者最效。
고대 처방에 일미자금환이 있어서 부인혈열을 치료하며 월경이 갑자기 내려감이 그치지 않은 사람에게 가장 효과가 있었다.
若血虛發熱,腎虛挾寒,及妊娠胎寒下墜,脈遲小弱皆不可用,以其苦寒而伐生發之氣也。
만약 혈허로 발열하며 신허로 한기를 끼며 임신에 태아가 한기가 아래로 떨어지며 지맥이면서 소약맥이면 모두 황금을 사용하지 않음은 고미와 한기로 생발의 기를 정벌하기 때문이다.

진교
苦平微溫,無毒。
진교는 고미와 평기로 약간 온기가 있고 독이 없다.
雷公 云,左文列爲秦,治濕病。
뇌공이 말하길 좌문례가 진은 습병을 치료한다고 했다.
右文列爲,治脚氣。
우문예는 교는 각기를 치료한다고 했다.
今藥肆多右文者,勿混合。
지금 약이 마음대로 우문이 많으니 삼가 혼합하지 말라고 했다.
《本經》主寒熱邪氣,寒濕風,肢節痛,下水,利小便。
신농본초경은 진교는 한열사기, 한습풍비, 사지관절통을 주치하며 수기를 내리며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고 했다.
發明 秦陰中微陽,可升可降,入手足陽明,以其去濕也,兼入肝膽,以其治風也。
발명: 진교는 음중의 약간 양이며 상승할 수 있고 하강할 수도 있고 수족양명에 들어가며 습을 제거하니 겸하여 간담에 들어가니 풍을 치료하기 때문이다.
故手足不遂,黃酒毒及婦人帶疾,須之陽明有濕,則身體酸痛,肢節煩疼及攣急不遂,有熱則日潮熱,用以祛風勝濕則愈。
그래서 수족불수와 황달과 주독과 부인 대하질병에 반드시 양명이 습이 있으면 신체가 시큰거리고 아프며 사지관절이 화끈하고 아프며, 근육경련으로 급하며 쓰지 못하며 열이 있으면 일포에 조열하며 사용하면 풍을 제거하며 습을 이기면 낫는다.
凡痛有寒熱或浮腫者,多挾客邪,用此以祛風利濕方爲合劑.
통증은 한열이 있고 혹은 부종이 있고 침입하는 사기를 많이 끼며 이를 사용하면 풍을 제거하며 습을 이롭게 하는 처방에 합한 약제가 된다.
故《本經》治寒熱邪氣,寒濕風,肢節痛等證。
그래서 신농본초경은 한열사기, 한습풍비, 사지관절통증등을 치료한다.
若久痛虛羸,血氣不能營養肢體而痛,及下體虛寒,痛酸枯瘦等病,而小便利者,咸非秦所宜。
만약 오래 아프고 허약하며 파리하며 혈기가 사지와 몸체를 영양하지 못하며 아프고 하체가 허한하며 통증과 시큰거리며 마르는 등의 병이 있고 소변이 맑고 잘 나가며 모두 진교가 아니면 의당하지 않다.
今庸師喜用秦,且不辨左文、右文,凡遇痛證,動輒用之,失其旨矣。
지금 용렬한 의사가 진교 사용을 좋아하여 좌문, 우문을 변별하지 않고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8.09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5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