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근골격계 대상자 간호

<진단검사>
(1)임상검사
(2)비침습적 검사
(3)침습적 검사

<간호진단>
<간호계획 및 수행>

- 뼈의장애 -

<대사성장애>

1.골다공증
2.골연화증
3.파젯병 (Paget's disease)

<골수염>

<골종양>
1.양성골종양
2.악성골종양

< 손장애 >
수근터널 증후근 (Carpal tunnel syndrome)

<발 장애>
1.무지외번증 (Hallux Valgus)
2. 추상발가락 (Hammer toe)

<기타골격장애>

<퇴행성관절질환>
= 골관절염(OA)

<류머티즘성 관절염>(RA)

본문내용

면 완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관절운동이 제한되며 침범된 관절 주위의 근육이 위축.
ROM과 촉진을 통하여 통증과 압통을 확인할 수 있음.
염발음 들림 (불규칙한 접촉관절에서)
흔히 침범하는 관절 : 원위지관절, 근위지관절, 엄지손가락관절, 경추요추관절, 엄지발가락, 쇄골, 무릎, 둔부관절 등.
무릎관절에서 내반슬, 외반슬등이 나타날 수 있음.
뼈의과잉증식 -> 손가락에서 원위지관절의 Heberden 결절 과 근위지관절의 Bouchard결절로 나타남.
X-선으로 골관절염을 확인하며, 점차 관절변형과 골증식체, 골낭종등이 나타남.
4.진단검사
(1)임상검사 : 병력조사. 신체검진
(2)방사선검사 : X-선상에 구조적인 고나절변화를 나타냄 (X-선검사하면 끝!)
5.간호
* 간호진단
근경련, 인대손상, 관절염증관 관련된 만성통증 / 통증, 근위축과 관련된 신체활동감소
1)만성통증문제
(1)비수술요법 : 진통제투여, 휴식, 자세유지, 냉온요법, 체중조절과 통합된 치료방법
①약물요법 : 목적 - 통증과 관절염증을 줄임
경한진통제(타이레놀) - > 비스테로이드성 (NSAIDs) -> 스테로이드성
②통증관리 : 여러형태의 휴식방법. 보조기이용해 관절의 움직임제한. but, 관절을 오랫동안움직이지 않으면 ROM을 회복하기 어려우므로 장기간의 부목사용은 피해야 함.
③냉온요법 : 골관절염 환자는 냉 요법보다 < 온요법이 효과적! (냉요법 : 급성염증있을시)
④체중조절 : 정해진식이는 없으나, 조직의 치유를 돕는 단백질과 비타민C권장.
압박줄이기 위해 체중감소.
⑤대체요법 : 경피적 신경자극법 (TENS = 저주파물리치료), 침술,지압, 태극권, 치료적접촉(마사지), 기요법, 음악치료등
중요한간호 - 통증완화방법을 교육. 활동 권장.
심한활동은 통증유발 하므로, 가벼운 활동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활동을 증가시키도록 교육. 능동적인 ROM 운동과 근력 증강을 위한 등장성 운동을 시범 보여서 가르쳐주고, 필요하면 지팡이, 목발, 보행기 등의 사용방법 교육. 필요시 지팡이, 목발, 보행기 사용법교육.
(2)수술 : 수술은 하나! >전관절대치술 (total joint replacement, TJR)
①적응증 : 관절대치술은 다른 보존적 방법이 유용하지 않을 때 시행하는 방법.
②금기증 : 전신감염, 심한골다공증( 뼈에 구멍이 나있으므로 인공관절을 박으면 무너짐)
④수술전간호 : 간호사와 정형외과 간호사는 수술전에 수주 간 대상자를 교육함. 입원전 교육은 주로 간호사가 담당하며, 대상자에게 정보를 제공함. 보철에대해 소개하고 필요한 교육자료를 제공함. 수술전 교육은 수술 후 이동방법, 주의점, 보행, 운동등을 포함.
⑤수술후 간호
탈구예방 : 가장 흔한 합병증 - 부분 혹은 완전탈구.
정확한 자세를 유지. 다리의 내전을 막기위해 베개나 부목같은 지지대 적용.
cradle boot(안전용부츠) - 손상받은 다리를 중립으로 회전시켜 지지. 회전을 예방할 뿐 아니라 기능적 자세를 유지시켜줌
감염예방 : 수술후 장운동이 회복되고 요배설이 충분해지면 특별한 필요가 없는 한 정맥 수액 주입을 중단. 수술부위, 감염 징후인 체온상승, 배출액 과다와 냄새 등을 관찰.
출혈과 빈혈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를 주기적 검사.
신경혈관의문제 : 신경혈관 장애를 계속 사정. 대상자 조절진통제인 PCA관리.
활동 : 수술 이튿날 침대 밖에서 움직이도록 격려 (조기이상) .
손상받지 않은 다리로 서도록함 (부축히 손상받은쪽에서)
무릎 고정장치를 할 때 너무 조이거나 느슨하지 않은지 점검.
수술후 1~2일부터 다리곧게 올리기운동(SLRE), 사두근힘주기운동 (QSE)시작.
CPM - 수동으로 무릎의 굴곡과 신전운동을 하다가 서서히 능동운동으로 진행시켜 나감.
<류머티즘성 관절염>(RA)
관절의 염증 및 그로인한 기형을 초래하는 자가면역성 질환 (정상조직에 반응 일으킴)
진행성 전신적인 염증과정을 가지며, 관절을 가장 많이 손상시킴.
여성에게 흔하고 (여 : 남 = 2:1 or 3:1) 활동이 왕성한 연령층에서 빈번.
질병의 원인 알려지지 않았으나, 면역복합체가설로 IgG 항체가 활액낭과 결체조직에서 복합체를 형성한다는 것 (면역반응 요인)
1.병태생리
변형된 B-세포의 조정으로 비특이적인 IgG 반응이 유발되고, 이 반응에 의해 숙주(대상자의조직)를 이물질로 인식하고 공격하는 림프구 항체가 생산됨. 이 변형된 항체를 류머티즘인자 (RF)라고 하는데 이것이 IgG와 함께 면역복합체를 형성하여 활막에 침착해 염증유발.
관절에 대한 손상의 4단계
초기단계 : 활막에 특정 변화가 초래된 상태
면역반응단계 : RF가 활액내 존재. RF는 prostaglandin의 방출을 자극하여 활액 속으로 백혈구를 보다 많이 끌어당김.
염증단계 : 질병이 염증단계로 진행하면 부종이 발생.
파괴단계 : 시간이 경화하면서 파괴단계일어남. 만일 염증을 치료하지 않으면 ‘판누스(pannus)’라고 불리는 enRJdns 섬유성 육아조직이 형성. 판누스는 연골의 관절 표면에 붙어 결국 뼈를 침범 -> 골성 미란 유발 (이때, 섬유성조직 석회화, 영구 기형초래)
2. 임상증상
진단받기전에 수개월동안은 거의 나타나지 않음
따뜻한 계절보다는 추운계절에 더 많이 나타남
초기증상 : 발열, 체중감소, 피로 전신 통증
침범부위 (주로 상지) : 손의 근위지절관절, 중수수지관절, 발의 중족지골 관절 ->발적, 열감, 강직, 부종, 촉진시 압통이 서서히 나타남.
질병이 악화됨에 따라 아침강직 나타남 (기상후 30분에서 1시간이상)
촉진하면 활액낭염과 삼출액 때문에 부드러움 느낌. 관절염증(관절부종, 통증, 발적, 열감, 압통)이 될 때까지는 어느정도 시간이 걸림.
관절의 모양변화
척골일탈 (ulnar deviation) - 손가락 특징적인 방추상.
swan neck 기형 - 원위지 관절의 굴곡과 근위지 관절의 과신전에 의함.
Boutonniere기형 - 원위지 관절의 굴곡변형과 근위지 관절의 신전에 기인함.
손목 터널증후군과 더불어 나타남.
흔히손, 손목, 발, 발복, 팔꿈치, 무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8.09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6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