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의 작품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조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의 작품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序論
2. 本論
① 시조란 무엇인가?
② 시조의 갈래와 성격
- 사설시조의 특징을 중심으로 -
③ 만횡청류의 의미와 성격
④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 작품분석
⑤ ‘나모도 바히돌도 업슨…’의 문학적 미학
3. 結論

본문내용

제는 작가 층의 문제와 서로 맞물려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장시조 작품의 대부분이 작가가 밝혀져 있지 않다는 자료의 제한성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시조는 어디서부터 기원한 것일까. 시조의 기원에 관하여서는 크게 외래기원설, 재래기원설로 나눠볼 수 있다. 먼저 외래기원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漢詩의 영향을 받아 시조가 형성되었다는 주장이다. 安自山, 時調硏究論, 을유문화사, 1965.
이 주장은 시조의 3장형식이 한시의 기승전결의 구성과 동일하다는 점을 주요 논거로 삼았다. 시조를 향유하였던 사대부 계층이 한시를 필수적인 교양으로 익혀왔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한시의 영향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한시와 시조의 시형은 구조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 시조의 종장 제 1음보는 감탄사의 흔적이며, 제 2음보는 5음절 이상의 파격이 되어야 한다는 종장의 특이성을 해명할 수 없는 것이다. 두 번째로 재래기원설은 보다 다양하여 시조형식의 모태를 향가와 고려속요에서 그 기원을 찾는 향가기원설과 고려속요기원설이다. 향가기원설은 향가가 의미상 3개의 단락으로 나누어진다는 점, 향가형식이 ‘3구6명’이라는 말이 시조의 형식인 ‘3장6구’와 흡사하다는 점, 향가의 낙구와 시조 종장 제 1음보의 감탄구가 서로 비슷하다는 점을 논거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장 제 1음보에 나타나는 성격은 향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시가 전반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고려속요기원설은 고려속요의 分章이 독립하거나 고려시가가 붕괴되면서 시조가 형성되었다고 주장하는 설이다. 이는 시조형식과 가장 가까운 시 형식을 고려속요의 속에서 찾아내어 시조가 거기에서 분화, 발전했다는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조의 기원을 이처럼 형식에만 중점을 두어 유사한 시 형식에서만 찾게 되면, 시조의 3장 형식에 대한 설명은 가능할지 모르지만, 종장의 특이성은 설명할 구실을 찾아볼 수 없게 된다. 아직 우리의 시조가 어디에서 기원된 것인지 정확하게 집어 낸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많은 추측들이 난무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에도 시조의 기원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바, 머지않아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② 시조의 갈래와 성격
시조의 하위 종류로는 일반적으로 3가지를 들 수 있다.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가 그것이다. 평시조는 시조의 기준이 되는 양식이다. 그 양식이 가장 짧은 점에서 短時調 또는 短形時調라고도 부른다. 이 평시조의 양식에서 종장의 제 1구를 제외한 어느 구절이 길어졌을 때, 기준의 양식에서 어긋난 시조라 하여 엇시조라 부른다. 엇시조는 평시조보다는 한 시행이 길어졌으나, 사설시조의 시행보다는 짧은 점에서 中時調, 中型時調라 일컫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사설시조는 평시조형에서 역시 종장의 제1구를 제외하고는 두 구절 이상이 길어진 시조를 일컫는다. 시조에서는 사설이 긴 시조라 하여 長時調 또는 長型時調라고도 한다. 사설시조를 보면, 중장종장이 모두 기준 형에서 벗어나 길어진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장의 사설이 긴 것이 사설시조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사설시조에 관하여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시조 가운데 사설시조는 내용적인 측면에서 평시조와 달리 재밌는 점이 있어 연구가 일찍부터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전해져 오는 시조집에서 ‘사설시조’라는 명칭이 흔히 보이지는 않는다. 현재까지 발견된 시조집중에 가장 먼저 이루어졌다고 보는 시조집인 『靑丘永言』에서는 이를 蔓橫淸類라 하고 있다. 蔓橫淸類에 속해있는 시조들은 사설시조이다. 이러한 사설시조는 내용도 재미있지만 독특한 형식도 지니고 있다. 사설시조의 가장 큰 특징으로 볼 수 있는 것은 평시조에 비교해보았을 때, 각 장이 길어졌다는 것이다. 확장된 장의 형식적 규칙의 발견은 어렵지만 장이 길어졌다는 사실은 그냥 눈으로 보기에도 쉽게 구별되는 점이다. 이러한 확장이 왜 이루어진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사설시조가 평시조가 기진 정연한 규칙으로부터의 탈피를 의도하였기 때문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사설시조의 길이가 길어진 이유를 알아보자. 첫째는 작품의 안에서 사실의 부연적인 서술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사설시조 작품을 보면 관형사나 부사, 의성어, 의태어 등이 많이 나타나고 있고 이로 인하여 표현이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같은 말이 여러 번 나오는 중복적 서술도 보인다. 생략할 것을 생략하지 않으니 길이는 자연스레 길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예를 보자.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8.10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7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