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노동관계지원이 가능한 자의 범위
Ⅲ. 노동관계지원의 대상
Ⅳ. 위반의 효과
Ⅴ. 마치며
Ⅱ. 노동관계지원이 가능한 자의 범위
Ⅲ. 노동관계지원의 대상
Ⅳ. 위반의 효과
Ⅴ. 마치며
본문내용
지 지원이 가능하다.
Ⅳ. 위반의 효과
단체교섭 또는 쟁의의 당사자나 이 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원이 허락된 자 이외의 자가 단체교섭 또는 쟁의행위에 간여하거나 이를 조종선동하는 자는 3년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제89조제1호)
Ⅴ. 마치며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구 노동조합법 및 노동쟁의조정법에서와는 달리 노동관계의 지원에 있어서 그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다만 노동조합과 사용자가 단체교섭 및 쟁의행위와 관련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자 이외의 자가 단체교섭 또는 쟁의행위에 간여하거나 이를 조종선동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어 구법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은 노사자치의 존중이라는 노조법상의 기본원리에 비추어 볼때 개정될 필요성이 있는 것 같다.
Ⅳ. 위반의 효과
단체교섭 또는 쟁의의 당사자나 이 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원이 허락된 자 이외의 자가 단체교섭 또는 쟁의행위에 간여하거나 이를 조종선동하는 자는 3년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제89조제1호)
Ⅴ. 마치며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구 노동조합법 및 노동쟁의조정법에서와는 달리 노동관계의 지원에 있어서 그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다만 노동조합과 사용자가 단체교섭 및 쟁의행위와 관련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자 이외의 자가 단체교섭 또는 쟁의행위에 간여하거나 이를 조종선동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어 구법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은 노사자치의 존중이라는 노조법상의 기본원리에 비추어 볼때 개정될 필요성이 있는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기업구조개선작업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사회복지] 기업복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변천과정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미혼모 문제의 실태와 대책
[사회복지법제] 사회복지법제중 사회보장기본법을 중심으로
[노동조합법, 노조]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노동조합법)의 설립요건, 법인격, 노동조합및노...
[법적 고찰, 비정규직노동자]대리모, 비정규직노동자의 법적 고찰, 물수급대책, 구조거부행위...
[1970년대, 노동통제]1970년대의 노동통제, 1970년대의 실업문제, 1970년대의 노동관계, 1970...
[불안정노동, 불안정노동 유형, 철폐운동, 노동자건강, 사회보험]불안정노동의 개념, 불안정...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노동관계법)의 개념, 개정안, 노동조합...
[노동조합법]노동조합법(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의 특징, 설립요건, 노동조합법(노동조합...
[노동관계전문가][공인노무사][노무사][노동]노동관계전문가(공인노무사)의 특성, 노동관계전...
[생산성][생산][서비스][공공부문][생활체육][노동관계][기업][PC복합보]서비스의 생산성, 공...
[생산 효과][식물 접붙이기]M&A(기업인수합병)의 생산성 효과, 기술확산의 생산성 효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