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헤르바르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헤르바르트의 생애

2)교수이론 형성배경

3)교육학의 개요

4)교육목적론

5)교육방법론

6)교육학의 비판점

7)교육학의 현대적 의의

※참고 서적 및 논문

※참고자료

본문내용

상호 결합하여 발전되어 나간다는 것을 도외시한다."
-헤르바르트의 흥미 이론은 외적, 수단적 흥미 이론에 지나지 않는다.
-헤르바르트주의자들의 문화 단계설이 개인의 발달단계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다는 점.
7)교육학의 현대적 의의
-'과학적 교육학의 건설자'
→『교육학 강의 개요』 제 2절: '과학으로서 교육학은 실천철학(윤리학)과 심리학에 의존한다. 전자는 도야의 목적을 제시하고 후자는 그 과정과 수단과 장애를 제시한다.'
특히 심리학과 교육학과의 관계를 확실히 파악하고 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을 기초로 해서 교육학의 체계화를 시도함.
-오늘날의 교육 방법, 교육 과정, 교육 심리, 생활 지도의 이론적 전개 등 많은 영향을 줌.
-‘일반 교육학’에서 일반의 개념이 계급, 신분, 남녀를 초월함으로써 평등 교육을 강조함.
-성인인 교육자부터 어린이의 세계까지 몸을 낮추는 교육을 실시할 것을 주장하는 눈높이 교육을 강조함.
-어린이의 개성을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는 개인차에 의한 개별화 교육을 강조함.
-교육 전체를 하나의 과제로 보아 시간적 순서나 배열의 문제를 내적 상태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수업으로 전개할 수 있는 통합 교육과정의 표본을 제시함.
※참고 서적 및 논문
1. J. F. Herbert 저, 이근엽 역, 일반교육학(서울: 연세 대학교 출판부, 1988) p36
2. 헤르바르트의 교수이론에 관한 연구/ 강신원 인하대 교육대학원
3.헤르바르트 교수학체계 연구/ 정영경 단국대 대학원
4. 이환기, 통각과 교수이론(서울: 교육과학사 1996) p70
5. 이철, 전게논문 p120~122
※참고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8.24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