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식장애와 불안장애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섭식장애와 불안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정의: 섭식장애란?
2.원인
3.종류
4.증세
5.치료

불안장애

1.정의
2.심리학적 이론들
3.생물학적 이론들
4.병적 불안과 진단 종류
5.유형
불안장애 및 우울증 현황

우울증

1.원인
2.증상
3.종류
4.현황
5.치료

시설 현황 및 종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고 가족, 동료들과의 즐거운 활동을 증가시키도록 격려한다.
7. 지지적 치료
지지적 치료는 우울 청소년들이 다른 사람과 연합하고 지지받고 있다는 것을 느끼도록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청소년들의 자기 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우울 증상을 줄이고자 한다.
8. 놀이치료
소아는 놀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자기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정신치료를 수행하기 어려운 10세 미만의 소아들에게서 시행됩니다. 놀이를 통하여 관계형성이 촉진되고 방어 기제들을 관찰할 수 있으며 진단에도 도움이 됩니다.
Ⅵ. 우울증의 증상이 나타나면?
도움이 필요할 정도로 증상들이 심각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무엇보다 먼저 청소년과의 대화가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당신이 그의 슬픔을 이해하고 있음을 알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관심을 나타내고 도움을 주려는 자세를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청소년에게 희망을 심어줄 수 있다. 부모나 교사들은 청소년이 왜 그런 상실감이나 패배감을 느끼는지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므로, 청소년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청소년의 입장에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청소년에게 부담을 주지 말고 즐길 수 있고 성공적으로 잘 해낼 수 있는 활동들을 가르쳐 준다. 작은 성취를 인식하게 해주고, 능력을 칭찬해 줌으로써 자존심을 높여준다. 만일 증상이 오래 지속되어 일상 활동에 지장이 초래하거나 자해 행동이나 자살 충동이 있는 경우, 그리고 부모나 교사의 노력에도 불고하고 개선되지 않는 경우에는, 즉각 전문가의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정신치료, 집단치료, 가족치료 등이 시행될 수 있으며,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에는 약물치료가 꼭 필요하다. 우울증은 80-90%가 치료될 수 있는 비교적 잘 낫는 질병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특히 교사들은 우울증의 중재 방법에 대한 지식을 알 수 있도록 훈련받아야만 한다. 교사들은 적절한 방식으로 중재를 필요로 하는 학생들을 확인하고 주목할 책임을 가진다. 그들의 이야기를 기꺼이 들어주고 지지를 제공하는, 접근할 수 있고 관심을 가진 개인으로서의 인상을 주어야만 한다. 또한 가족내에서도 이러한 증상을 발견시 즉각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한다.
시설의 종류 및 현황
Ⅰ시설의 종류
지역정신보건센터
정신질환자의 사회적응과 재활뿐만 아니라 일반시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 내에서 다양한 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사회복귀시설
정신질환자의 재활과 사회복귀를 위해 지역 내에서 주거, 직업,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훈련을 실시하는 기관입니다.
1. 이용시설
정신장애인들이 집에서 출퇴근하며 낮 시간 동안에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서, 다양한 생활훈련과 직업재활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설
2. 입소시설
정신장애인들이 일정 기간 동안 입소하여 생활할 수 있는 시설로서, 입소 시간 동안 다양한 생활 훈련과 직업재활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설
3. 주거시설
정신장애인들이 그룹을 이루어 일반가정과 유사한 물리적 환경 속에서 생활할 수 있는 시설로서, 주로 독립생활을 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하는 시설. 낮 시간 동안에는 이용시설 등 다른 기관을 이용하거나 취업활동을 할 수도 있음.
주요 서비스 프로그램
Ⅰ.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1. 일상생활기술훈련
2. 인지재활훈련
3. 여가활동훈련
4. 사회문제해결교육
5. 대인관계교육
6. 약물관리교육
7. 스트레스관리
Ⅱ. 직업재활 프로그램
1. 작업기능 사정 및 평가
2. 취업 전,후 교육
3. 보호작업장 -장애인복지법에 의해 국, 도, 시비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작업장으로 관리하며 주최는 지방자치단체이며, 장애인단체 및 장애인부모회 등에서 위탁 운영 되고 있다.
4. 일시취업
5. 지지취업
6. 취업자 자조모임
Ⅲ. 기타 서비스
상담, 사례관리, 가족교육, 예술치료, 각종 교육 및 홍보, 기획행사 등 개별 시설마다 특성화된 서비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Ⅱ. 현황
정신 보건기관 및 시설 센터 (2007. 6월말)
(단위 : 개소, 명, 병상)
구 분
기관수
주 요 기 능

1,555
-
정신보건센터
151
정신질환 예방, 정신질환자 발견ㆍ상담ㆍ진료ㆍ사회복귀훈련 및 사례관리, 정신보건시설간 연계체계 구축 등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기획ㆍ조정 및 수행
정 신
의 료
기 관
국ㆍ공립
18
정신질환자 진료,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지원
민 간
1,128
정신질환자 진료
정신요양시설
58
만성 정신질환자 요양ㆍ보호
사회복귀시설
170
치료ㆍ요양하여 증상이 호전된 정신질환자 일상생활ㆍ작업훈련, 주거
알코올상담센터
30
알코올중독 예방, 중독자 상담ㆍ재활훈련
정신 요양 시설 (2005년 상반기)
자살ㆍ위기 등 정신건강상담
1577 - 0199 / www.suicide.or.kr
정신질환 조기검진 사이트 www.semis.or.kr
* 전화 및 채팅상담(24시간)
* 정신건강 정보제공
* 응급이송, 입원
조사 후 느낀 점.
섭식장애, 불안장애, 우울증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정신 장애를 겪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만큼 사회가 한 개인에게 맡기는 짐이 무겁고, 관심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정신장애 같은 경우 주변 환경에서 그 사람에게 조금만 관심을 가져 주고, 옆에서 도와준다면 충분히 치료가 가능한 것이 대부분입니다. 예비사회복지사인 우리들은 앞으로 이러한 클라이언트에 대해서 지식을 쌓고, 관심을 가지며, 치료할 수 있도록 원조해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참고 문헌
네이버 블로그[http://blog.naver.com/jtg0412?Redirect=Log&logNo=30018114892]
대학가족보건복지협회 발행 월간 가정의 벗 2002년 1월호
[http://blog.naver.com/bari_che?Redirect=Log&logNo=150025676608]
서울시 정신보건 네트[http://www.seoulmind.net/n_mental/mental02.asp#mt6]
자살 및 위기 등 정신건강 상담사이트 [www.suicide.or.kr]
정신 의학 [이정균]<일조각>
정신 건강론 [김혜련] <학지사>
보건 복지 가족부
질병 관리 본부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9.08.25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2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