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강령][강령][규범][행동강령의 정의][행동강령의 특성][미국의 행동강령 사례][행동강령이 주는 시사점]행동강령의 정의와 행동강령의 특성 및 미국의 행동강령 사례로 본 행동강령이 주는 시사점 심층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강령][강령][규범][행동강령의 정의][행동강령의 특성][미국의 행동강령 사례][행동강령이 주는 시사점]행동강령의 정의와 행동강령의 특성 및 미국의 행동강령 사례로 본 행동강령이 주는 시사점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행동강령의 정의

Ⅲ. 행동강령의 특성
1. 규범성(표준행위의 준칙)
2. 실천성
3. 자율성
4. 가이드라인(지침)
5. 투명성
6. 예방 지향성

Ⅳ. 미국의 행동강령 사례
1. 이해관계 직무로부터의 회피
1) 재정적 이해의 충돌(subpart D-conflicting financial interests)
2) 공무 수행에 있어서 공정성(subpart E-Impartiality in Performing Duties)
2. 영리업무 종사의 제한
1) 업무외 소득의 제한
2) 업무외 취업제한
3) 다른 고용의 추구
4) 외부활동(outside activities)

Ⅴ. 행동강령이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행동강령이 주는 시사점
취재·보도 과정에서 지켜야 할 언론의 실천요강을 제시하고 있는 행동강령이 대표적인 행동제고를 위한 장치라 할 수 있다. 행동강령은 법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법이 사람들 사이의 갈등이나 대립을 해결할 목적으로 제정되고 강제할 수 있는 법적인 권한을 포함하고 있는 반면, 행동강령은 이상적인 언론활동을 권장하고, 해서는 안 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를 규정한다. 또 법이 사람들이 어겨서는 안 되는 가장 낮은 단계의 기준을 강조한다면, 윤리는 도덕적이고 책임 있는 언론인이 되기 위한 이상적인 행위를 명시하고 있다(Black et al). 행동강령은 크게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Steele & Black). 첫째, 윤리적인 사고와 행동을 강화하고, 뉴스의 가치와 규범을 제시하며, 언론사의 이상과 목적, 책임 등을 명시한다(Sanford). 둘째, 강령은 언론활동을 정당화하는 PR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즉 언론의 취재·보도 행위가 공익을 위한 것으로 도덕적 규범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공개적으로 밝히는 기능을 한다(Lichtenberg). 주요 언론단체의 행동실천요강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전문언론인협회(the Society of Professional Journalists)는 1926년에 처음으로 행동강령을 제정하여 윤리적인 언론활동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SPJ 강령은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개정되었다. 강령은 취재대상의 인격적 존엄성, 프라이버시, 복지와 권리를 존중해야 하고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해야 하며, 은밀한 취재행위는 반드시 필요한 경우 외에는 금지되어야 함을 권고하고 있다. 언론인들은 독자들에게 책임 있는 행위를 할 것과, 잘못을 했을 경우에는 실수를 인정하고 즉각 바로잡아야 하며, 더 나아가 비윤리적인 언론행위를 공공에 노출시키고, 남을 평가할 때처럼 자신들에게도 높은 윤리적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는 몰래카메라와 같은 은밀한 취재도구의 사용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도 제시하고 있다(Kim, 2001; Tuley, 1997). 방송뉴스제작자협회(Radio-Television News Directors Association) 역시 행동강령을 제정하고, 취재·보도의 정확성, 정직성, 균형성 등을 소속 회원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또 프라이버시를 비롯한 시민들의 권리를 존중할 것과, 그릇된 정보로 공공을 오도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신문재벌인 가넷 신문그룹(Gannett Newspaper Division)도 행동강령을 통해 객관적 보도를 위한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정보를 얻기 위해 거짓말을 하지 말 것, 신분을 속이지 말 것, 기사를 조작하거나 도용하지 말 것, 그리고 사진을 조작하지 말 것 등을 요구하고 있다. GND가 이러한 원칙을 설정하게된 것은 첫째, 정직한 심층보도를 지원하고자하는 의도, 둘째, 미디어 전반에 대한 공중의 불신, 셋째, 취재 방식에 대한 소송의 급증에 따른 대책의 필요성, 넷째, 보도의 공정성과 정확성에 대한 독자들의 불신 완화의 필요성 등 언론환경 관련 요소에 기인한 것이다. AP통신 편집인(Associated Press Managing Editors)도 마찬가지로 소속 기자들이 따라야 할 행동강령을 명시하고 있는데, 높은 수준의 윤리적, 전문적 기준을 엄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자들은 취재의 부정확함, 부주의함, 편견과 왜곡, 기술적 조작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기자들은 자신의 이해와 관계없이 보도해야 하며, 취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재대상의 권리침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8.2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