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한글표기][중국어][한글표기]중국어 한글표기의 필요성, 중국어 한글표기의 쟁점과 중국어 한글표기의 실태, 중국어 한글표기의 문제점 및 중국어 한글표기의 사례로 본 중국어 한글표기 개선방안 심층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어 한글표기][중국어][한글표기]중국어 한글표기의 필요성, 중국어 한글표기의 쟁점과 중국어 한글표기의 실태, 중국어 한글표기의 문제점 및 중국어 한글표기의 사례로 본 중국어 한글표기 개선방안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중국어 한글표기의 필요성

Ⅲ. 중국어 한글표기의 쟁점

Ⅳ. 중국어 한글표기의 실태와 문제점

Ⅴ. 중국어 한글표기의 사례

Ⅵ. 중국어 한글표기의 개선방안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ㅓ/와 /ㅡ/ 모음을 이 표기법은 와 로 규정하고 있다. /ㅗ/와 /ㅜ/ 모음을 o와 u로 표기하기 때문이다. 또 거친 소리를 나타내기 위하여 격음 부호를 사용한다. 즉 카, 타, 파는 k‘a, t‘a, p‘a로 나타낸다. 가, 다, 바의 ka, ta, pa와 구별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인쇄의 편의를 위해 혼란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부가 부호를 생략할 수 있도록 부칙을 두고 있다. 또 교육부가 제정한 영어의 한글 표기법에서도 이의 분별을 위해 다른 기호를 사용한다면 비현실적인 표기법이 될 수밖에 없다. f-, v-, p- 와 r-, l-을 구별하지 않고 각각 ㅍ과 ㄹ로 쓰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ch-와 c-; r-과 l-; f-와 p- 를 같은 자모로 표기하고 글씨체로 구분하게 약속하는 것은 외국어 표기법의 일반적인 경향에서 크게 벗어 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모음 개선안의 두 가지 원칙은 실제음과 간편한 표기를 우선하는 것이다. 이미 본문에서 자세히 논의했으나 다시 한 번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o는 /ㅝ/ 보다는 교육부안처럼 /ㅗ/로 표기하는 것이 실제음에 가까울 듯하다. 같은 이유에서 -ou도 /ㅓ우/ 대신에 /ㅗ우/로 표기할 것을 제안한다. -ao[]와 -ong[ŋ]은 실제음을 중시한다면 /ㅏ우/와 //으로 표기해야 할 것이다. []가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경우 ‘오’와 ‘우’ 중간음이라고 하더라도 ‘오’ 보다는 ‘우’에 가깝게 들린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ou와 -iou를 ‘오우’와 ‘요우’로 표기했다. 이는 최-김안이나 교육부안도 마찬가지이다. 문제는 -ao, -iao, -ong, -iong이다. 여기에 쓰인 o의 음가도 똑 같은 []이나, 최-김안은 ‘ㅏ오, ㅑ오, , ㅣ옹’으로 표기한다. 이는 漢語音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는 물론 중국어를 잘 모르는 사람이 한어 병음에 근거하여 한글로 표기하려고 할 때 편리할 것이다. 그러나 똑 같은 음을 경우에 따라 /ㅗ/ 또는 /ㅜ/로 표기하는 것은 무원칙적이고 따라서 일관성이 없다. 교육부안은 -ong과 -iong은 다행히 ‘, ’으로 표기하나, -ao와 -iao는 ‘ㅏ오, ㅑ오’로 표기한다. 교육부안도 최-김과 같이 무원칙과 일관성 파괴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齊齒呼의 표기는 교육부안이 간결하기는 하나, 실제음과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인다. 또 교육부안의 ‘볘, 몌, 뎨, 녜, 례, 셰, 톄, 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9.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1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