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민요 진주낭군가의 본문 해석
1. 울도 담도 없는 집, 시집 삼 년
2. 흰빨래는 희게빨고 검은빨래는 검게빨아
3. 우산같은 갓
Ⅲ. 민요 진주낭군가의 여성 화자
Ⅳ. 민요 진주낭군가의 여성 평가
Ⅴ. 민요 진주낭군가의 시사점
참고문헌
Ⅱ. 민요 진주낭군가의 본문 해석
1. 울도 담도 없는 집, 시집 삼 년
2. 흰빨래는 희게빨고 검은빨래는 검게빨아
3. 우산같은 갓
Ⅲ. 민요 진주낭군가의 여성 화자
Ⅳ. 민요 진주낭군가의 여성 평가
Ⅴ. 민요 진주낭군가의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기도 했다. 이렇듯 시집살이노래나 민요에서 나타나고 있는 저항의 정서는 여성, 더 나아가 민중이 살아있음을 느끼게 하는 부분이 되어지기도 한다. 그러면 이와 같은 민중의 정서를 표현하고 있는 민요는 민중들의 생활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을까? 민요에 민중의 삶이 반영되어 있고 그들의 정서가 담겨 있다면, 민요를 부르는 것 자체가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고 감정을 분출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카타르시스의 미학을 민요가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카타르시스는 정신 분석에서, 마음속에 억압된 감정의 응어리를 행동이나 말을 통하여 발산함으로써 정신의 균형이나 안정을 회복하는 일을 일컫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민중은 그것을 노래로 표현함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생활의 안정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이것을 민요를 통해 자신의 고난과 감정을 분출함으로써 기존의 체제에 순응되어져 갔던 것으로 바라보는 관점과는 구분을 두고 싶다. 즉 민요의 내용에 대해 융통성을 발휘하며 민중들에게 숨쉴 공간이나마 제공함으로써 기득권 체제를 안정시키고자 하는 기득권자들의 이해관계가 민요 속에 숨어져 있다고 볼 수는 있으나, 그것을 민중들이 이용하여 자신들의 탈출구로 삼은 것이지 결코 그것에 동화되어진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강등학(1996), 한국민요의 현장과 장르론적 관심, 집문당
고정옥(1949),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류종목(1990), 한국민요의 현상과 본질, 민속원
문화방송(1994), 한국민요대전-경남남도편
박경수(1998), 한국 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최철(1992), 한국 민요학, 연세대 출판부
카타르시스는 정신 분석에서, 마음속에 억압된 감정의 응어리를 행동이나 말을 통하여 발산함으로써 정신의 균형이나 안정을 회복하는 일을 일컫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민중은 그것을 노래로 표현함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생활의 안정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이것을 민요를 통해 자신의 고난과 감정을 분출함으로써 기존의 체제에 순응되어져 갔던 것으로 바라보는 관점과는 구분을 두고 싶다. 즉 민요의 내용에 대해 융통성을 발휘하며 민중들에게 숨쉴 공간이나마 제공함으로써 기득권 체제를 안정시키고자 하는 기득권자들의 이해관계가 민요 속에 숨어져 있다고 볼 수는 있으나, 그것을 민중들이 이용하여 자신들의 탈출구로 삼은 것이지 결코 그것에 동화되어진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강등학(1996), 한국민요의 현장과 장르론적 관심, 집문당
고정옥(1949),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류종목(1990), 한국민요의 현상과 본질, 민속원
문화방송(1994), 한국민요대전-경남남도편
박경수(1998), 한국 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최철(1992), 한국 민요학, 연세대 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