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스포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마 스포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대의 개관
2. 전기 로마의 체육
(1) 교육의 목적
(2) 스포츠의 목적
(3) 스포츠의 진흥
(4) 스포츠의 프로그램
3. 후기 로마의 체육
(1) 교육의 목적
(2) 스포츠의 목표
4. 훈련소(학교)와 스포츠
①로마식원형경기장(Circus)
②콜로세움
③공공욕장(Thermae)
5. 로마의 제전경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하고 이 주제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논문들이 후기 시대에 와서 발표되었다. 대철학자이자 의사인 갈렌은 운동과 식이요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상당한 정렬을 쏟았다. 갈렌에 의하면 스포츠는 사람으로 하여금 조화롭게 균형 잡힌 신체에서 넘치는 건강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육이 되어야한다. 그 뿐 아니라 시민으로서 그리고 군인으로서의 임무를 감당하기에 적합한 신체와 기민성을 길러주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 형태의 운동은 가장 좋다. 그것은 신체를 단련시켜줄 뿐 아니라 참가자들에게 기쁨을 주는 원천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런 형태의 운동은 신체의 건강에 이바지하고 신체 구성요소의 조화로운 기능을 도모하여 정신을 강건하게 해주는 것으로 장려되어야 한다.”
(3)훈련소(학교)와 스포츠
로마인들은 처음 그리스의 교육에 비판적이었지만 서서히 새로운 문화적인 교육을 인정하고 교육을 조직적 단계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초급에는 문학자의 학교, 중급에는 어학자의 학교, 상급에는 수사학자의 학교였다.
그리고 계속 공부를 하고자 하는 학생은 외국의 학교 또는 로마 대학을 다녔다.
문학학교의 성격은 학구적으로 운동은 부과되지 않았으며 그리고 교육내용은 로마나 그리스 후기의 문학이나 그리스어를 가르쳤다.
수사학교에서는 사회에 필요한 인간과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육내용을 웅변술 작시, 법률 기타 고도의 교과를 가르쳤다. 또한 이러한 학교의 조직과 방법은 그리스 식이었고 교사 및 지도자는 그리스인이었으며 교육이나 음악은 교육체계에 채택되지 않았다. 따라서 로마인들은 음악의 가치와 체육은 실용적인 로마인의 사고에는 그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다만 군사적인 목적에 가치를 인정하였다.
로마의 스포츠가 관람 위주의 스포츠로 쾌락을 제공하는 수단이었음을 지적하였다. 반면 과학과 건축술의 발달로 많은 건축물의 축조와 더불어 스포츠 시설들이 건설되어 오늘날까지 위대한 문화유산으로 남아 있다.
①로마식 원형경기장(Circus)
로마인들은 소비적 향연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서 새로운 시설을 만들었는데 그 시설로는 키르쿠스 막시무스와 키르쿠스 플라미누스(원형경기장)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로마에 많은 경기장을 만들었고 시 근교에도 3개나 설립되었다. 이러한 시설에는 긴 수평 트랙에 세 방향으로 계단석이 있었으며 자재로는 처음에는 나무였지만 후대에는 둘 좌석이 되었다. 광대한 키르쿠스 막시무스는 길이 200피트, 폭 600피트도 있었고, 플리우르에 의하면 약 26만 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②콜로세움
콜롯세움은 기원 75년에 기공하여 82년에 완성한 대투기장이다. 정식명칭은 플라비아 노천극장이지만 거대하다는 뜻으로 콜롯세움이라는 이름으로 불러왔다. 이 경기장은 직경 긴 쪽 188m, 짧은 쪽 156m, 둘레 527m에 이르며 9만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으며 지하실에는 검투사의 거실, 동물의 우리와 수영경기를 위한 수도와 배수관 등이 있었다.
로마시민은 “콜로세움이 있는 함 로마는 존재한다. 콜롯세움이 무너질 때 로마도 무너진다. 그리고 로마가 무너진다면 세계도 무너지리라”라고 하였다. 이 콜롯세움에서 행한 검투사의 경기는 너무나 처참하였으며 비인도적인 점에서 전차경주와 비할 수 없었다. 또한 경기장 속에 물을 넣어 잔인한 수중전투를 연출하여 수백명의 생명을 상실하게 한 비참한 경기도 벌어졌다
③공공욕장(Thermae)
목욕탕, 즉 데르메는 팔레스트라나 짐나지움과 같은 시설을 갖고 로마인의 관람용이 아니고, 실제로 사용한 하나의 레크리에이션 기관이다. 로마인들은 초기에는 냉수욕을 하는 간소한 욕장이 좁은 세척장 안에 있었으나 후기의 공화제와 제정기에 그리스의 습관에 따라 공중욕장을 건조하기 시작하였다.
최초의 욕장설비는 2또는 3실의 간단한 것이었으나, 후기에는 매우 정성을 들여 만든 시설을 갖추고, 막대한 비용을 들인 레크리에이션 센터가 되었던 것이다. 한 때는 700개나 관영욕장이었다고 하며, 이 대건축물은 실로 화려한 것이었으며, 기둥과 벽은 반암 대리석을 사용하고 바닥은 모자이크를 깔았으며, 인상적인 아치가 복잡한 모양의 천정을 받쳐주고 있다.
데르메에는 많은 시설이 있는데, 대기실은 크고 작은 팔레스트라와 옥외풀이 운동하는 장소가 되고, 각종형태의 볼 유희실이 있었으며, 여유실에는 인체에 기름을 바르는 작업대와 긴 의자가 있으며, 따뜻한 공기와 증기를 넣어주는 미온실과 고온실에는 욕조와 증기탕이 있었다. 이 데르메의 크기를 살펴보면, 티오클레티아누스 황제(230~315)가 만든 것은 한꺼번에 약 1600명, 카라카라 황제의 것은 3200명이 입욕 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거대한 데르메에는 수도로 물을 공급하고 있으며, 입장은 무료가 보통이었으나, 1센트 이하의 요금을 받는 곳도 있었다.
(4)로마의 제전경기
1)로마 제전경기의 기원
그리스인의 4대 제전을 시작으로 수많은 제전 경기회를 실시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로마인도 또한 제전을 즐기는 민족으로 그 일수에서 유추를 하면 언제 공무와 생산노동 및 군사훈련 등을 했는가 하는 의문이 생길 정도이다.
로마의 제전에는 정기적이며 공적 제전과 부정기적이며 개인적인 제전의 2종류가 있음 경기회를 포함한 제전을 루디라고 칭하고 있었으며 유명한 검투사 시합을 루디와 구별하여 무메라라고 불렀다. 이 무메라는 공식제전과 대조를 이루는 역할을 갖지 못하였지만, 정기적 제전에는 개인적이며 부정기적인 제전에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일종의 쇼로서 로마인의 오락적 욕망을 만족시켜 주었다.
이러한 제전 경기중 가장 유명한 것은 로마제이고 올림피아 제전에 대적할 만하며 이 제전은 처음 가을에 수확노동의 휴식과 전쟁에서 승리 후 오락으로 쥬피터에 받치는 것이었는데 B.C.366년에 처음으로 시작된 로마 최고의 제전이다.
2)제전경기의 기간 및 시간
로마 경기회는 공화제 후기와 제국 시대에 그 수와 종류 및 기간과 화려함이 증대하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제전인 로마제는 매년 9월 5일에서 19일 까지 15일간에 걸쳐서 개최되었다. 또한 공화제의 말기에는 76일이나 제전을 하였으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시대에는 135일이나 행해

키워드

로마,   roma,   스포츠,   훈련소,   교육,   원형,   경기장,   콜로세움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9.23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