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렌체report(2차)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렌체report(2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PROLOGUE

2.이탈리아에 대하여

3.꽃의 도시 “피렌체”
1)피렌체의 역사
2)피렌체의 경제 및 산업
3)피렌체의 문화
4)피렌체의 역사지구

4.피렌체의 주요 문화유적

5.피렌체의 감상

6. 피렌체 도시의 분석 방향

7. 중세 피렌체의 도시발전
7-1) 피렌체, 도시의 기원-1000년대
7-2) 피렌체, 1000년대에서 1300년대
7-3) 피렌체, 1400년대

8. 피렌체의 도시 공간 구조
8-1) 로마 점령기의 피렌체 군사도시
8-2) 12세기 피렌체의 도시 공간구조

9. 피렌체의 광장 구성의 특이성과 대성당 건축
9-1) 광장의 구성
9-2) 성당 앞 광장의 형성과 구성
9-3) 시청사를 위한 광장의 형성과 구성
9-4)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의 돔

본문내용

화를 이루었으며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이 시기 중엽 단테가 서술하였듯이 도시는 고대의 성곽 내부 같이 탑형의 가옥이 밀집되어 도시전체를 빽빽이 채우고 있었으며 인구 2만 명을 수용하였다. 포럼 베투스(Decumanus와 Cardo사이에 있던 포럼)를 제외하고는 광장도 없었다.
피렌체는 1125년 자치도시국가를 선포하며 발전하였다. 그렇지만 이 선포는 그 후 50년이 지난 1183년에 와서 황제에 의해 인정되어진다. 도시는 아르노 강 양측에 있던 성 밖 지구를 포함한 제 4차 성곽축성에 착수하였으며(1173-75) 도시면적을 97ha로 넓혔다. 1178년 아르노 강의 범람으로 과거의 교량이 파괴되어 지금의 Point Veochio가 재건되었다.
도시의 상공업 발달과 권력 장악을 위한 정치적 발달, 종교적 수용 등은 도시의 활성화를 불러와 상공업과 금융이 발달된 새로운 자치 도시국가로서의 면모를 꾀하는 축조사업을 갖는다.
1218년 까라이아교, 1237년 그라찌아교, 1252년 트리니티교를 설치하여 아르노 강위에 3개의 교량을 증설한다.
새로운 성 밖 지구에는 1221년 도미니코교단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성당. 1226년 후란체스코 교단의 산타 크로체. 1240년 아우구스토교단의 산토 스피리또성당. 1268년 카르멜 교단의 산타 마리아 카르미나 성당 등이 축성되었다. 이들 성당과 수도원은 도시의 대표자의 배려에 의해 건설되고 설교와 교의를 포교하기위한 광장을 두게 된다. 도로의 확장과 새로운 도로, 자선단체의 수많은 요양소 건립이 있었다. 1255년에는 현재의 바르젤로 궁전에 집정관의 궁전이 세워졌으며 그 탑은 도시의 중심에 우뚝 솟아 랜드 마크로서의 도시 기능을 수행한다.
1284년 이후 시 정부는 도시의 형태를 급속히 발전시키며 대규모 공사를 개시하였으며 최고 고문인 아르놀프 디 캄비오에게 일임한다. 피렌체의 발전을 이룬 상공업자들은 1293년 정의 규정이라는 법령을 포고하며 호족들을 시정에서 제외시키며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며 도시의 진정한 시민이 되었다. 이들 중 소위 포폴로그라소라고 칭하는 대상인 시민계급은 정치, 문화, 경제에 관하여 도시를 발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피렌체는 비스콘티 가문이 장악하고 있는 밀라노나 교황 지배 체제의 로마와는 다른 또 다른 도시 체계를 결성하게 되며 권력을 장악한 대 상인들은 부와 힘을 과시하기 위해 산타 크로체 성당,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성당, 팔라쪼 베기오 등과 같은 건설 사업이 활발하게 되었다. 보카치오가 데카메론에서 묘사하고 있는 1348년의 흑사병은 도시 피렌체의 인구와 경제를 크게 위협하였다.
7-3. 피렌체, 1400년대
그러나 진정한 발전은 15세기 초 코시모 데 메디치가 1434년 망명지에서 피렌체로 돌아와 메디치 가문의 권력이 지배되면서 발전되었다. 그는 간접적으로 도시를 집권하였으며 그의 손자인 로렌쪼 일 마니피코는 강력한 금권을 바탕으로 피렌체를 유럽의 중심도시로 발전시켰다. 메디치가가 지배초기까지는 두 세대에 걸쳐 도시를 평화롭고 용이하게 통치하기 위하여 이상화된 계획을 추구하는 가운데에는 도시의 새로운 이미지와 문화의 체계를 창출하는 것이었다. 이들의 후원에 의해 부루넬레스키, 도나델로 마샤치오, 파울로 우첼로, 알베르티 등이 도시의 최종적 이미지를 완성하는데 기여 하였다.
8.피렌체의 도시 공간 구조
8-1.로마 점령기의 피렌체 군사도시
기원전 59년에 아르노 강과 급류가 합류되는 지점에 로마군단은 카스톰을 건설한다. 이 군사도시는 강에 평행하여 700m의 격자 구획으로 주변 평야에 챈투리아티오라는 농지분할을 실시하며 도시는 남북축과 동서축이 강조되어 움빌리쿠스를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계획 되어있다. 이 군사도시는 남, 북 축이 강조된 카르도와 동, 서 축이 강조된 데쿠마누스를 두고 있다. 도시는 로마인의 척도인 족척으로 1000족 * 1000족 즉 약 300m * 300m의 정방형 성곽이었으며 후에 군사 도시는 확장되어 20ha에 인구 만 명을 수용하는 직사각형 도시로 형성되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기에는 로마에서부터 이어지는 중요보급로인 비아 카시아를 수정하였다. 스케일의 차이에 의해 도시의 격자분할은 농지보다도 유연하고 변화가 많아서 각 구획은 정사각형 또는 정사격형식 장방형으로 70m * 70m에서 150m * 150m까지 다양한 치수를 가지고 있으며 규칙적으로 격자분할은 구부러진 도로나 교량에 맞추기 위해 여러 갈래로 혼란스럽게 연결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시 중앙부에서는 그 구획이 포롬이나 공공건축물에 의해 수정되거나 취소되는 경우도 있다. 성벽의 주변에는 보통구획의 밀집된 구역을 포함하여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발전되며 성벽의 안쪽이나 바깥쪽에는 일반적으로 원형극장이 위치한다.
8-2. 12세기 피렌체의 도시 공간구조
그림 5.에서 보듯이 피렌체의 주요 도시 구조는 1175년에 완성된 중세의 제 1차 성벽(내성)과 1333년에 완성된 제 2차 성벽(외성)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성곽도시 구조는 내성과 외성의 공간적 차이를 확연히 볼 수 있는 독특한 도시 성곽 구조이다. 중세 제 1성곽의 안쪽에는 로마시대의 군사도시인 카스튬이 자리 잡고 있다. 한편 성벽의 외부는 새로이 형성된 주거지역으로 격자형의 가로망과 균일한 필지쳬계로 이루어져 있다. 결국 중세 제 1성벽을 기준으로 그 안쪽은 로마시대 이후 중세초기에 형성된 지역이고 그 바깥쪽은 14세기 이후에 형성된 지역이라는 시기적 차이가 있다. 피렌체는 중세기에 들어와 인구, 도시의 면적 및 구조가 급속히 팽창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초기 북이탈리아의 교두보로서 중요함과 로마의 군사진영으로서 강화하기 위해 제 1차 도시 성벽 강화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룸바르드족의 점령기에 로마와 이탈리아 북부로의 연결로는 루카에 있는 비아 프랜시제냐가 주요한 수송로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도시의 중요성이 퇴락하였다. 카톨링 왕조기에는 인구가 5000명 정도로 증가되었으며 제 2의 성곽을 구축하여 완성하였다.
도시의 도로망은 불규칙적이지 않고 통일적인 공간을 형성하도록 조직되어 있으며 지구 또는 가로의 일반적 외관을 파악 할 수 이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1.05.30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1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