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검사의 개발 및 사용에 대한 지침. 미국 교육학회(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미국 심리학회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그리고 미국 교육측정학회(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에서 발간한 교육심리검사의 기준서(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1985)에서는 교육 및 심리검사의 기준을 검사개발 및 평가를 위한 기술적 기준(예, 신뢰도, 타당도, 규준), 각종 검사의 사용목적의 적합성을 위한 사용기준, 그리고 특정집단에 대한 검사의 적용기준, 검사시행절차의 기준 등으로 제시하고 있다.
교육목표분류학(敎育目標分類學: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교육을 통하여 성취하는 지식은 위계적 구조를 갖고 있다는 입장에서 교육목표를 위계적으로 분류한 체계. Bloom(1956) 등이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연구를 통하여 교육목표를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인지적 영역은 지식의 획득과정의 난이도와 복잡성 수준에 따라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의 여섯 단계로 분류하였고 각 단계내에서 다시 세부항목으로 지식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교육목표의 분류학은 교육에 관련된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원할하고 명확하게 하는데 기여하였으며, 교육목표를 학습자의 행위동사로 표현하여 관찰가능한 목표행동을 제시함으로써 교육평가에서 교육목표의 성취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여하였다. 교육목표분류학을 확장하여, Krathwhol 등(1964)은 정의적 영역을 감수,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의 5단계의 수준으로 분류하였고, Harrow(1972)는 심동적 영역의 교육목표를 반사운동, 기초운동, 운동지각능력, 신체기능, 숙련기능, 동작적 의사소통의 6단계로 분류하였다.
교차타당화(交差妥當化: cross validation)
검사문항의 선정, 채점지침의 작성, 문항점수 또는 검사점수의 해석에서 검사개발시에 사용한 표본집단 이외의 표본집단에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의 통계학적, 측정학적 속성을 재검토하는 작업. 교차타당화는 검사의 측정학적 속성이 피험자 집단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원래 측정치의 성질을 유지하는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구술시험(口述試驗: oral examination)
피험자의 지적, 정의적, 심동적 특성에 대하여 면접을 통하여 평가하는 시험양식. 구술시험은 면접자가 피험자를 직접 대면하여 평가한다는 의미에서 면접자의 질문과 피험자의 반응내용에 대한 해석의 오류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며, 지필검사에서 관찰 불가능한 학생의 태도, 협동성, 의사소통능력 등의 특성을 관찰하는 장점이 있다. 구술시험은 피험자에 대한 질문이 정형화 되고 채점지침이나 절차가 표준화된 구조화된 시험과 그러한 표준적 절차가 없는 비구조적 시험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면접자의 수와 피험자의 수에 따라서 일 대 일, 일 대 다수, 다수 대 일, 다수 대 다수의 구조로 진행할 수 있으며, 면접자의 질문과 피험자의 응답 양식이 일방적인가 쌍방적인가에 따라 다르게 분류할 수 있다.
구인(構因: construct)
물리적으로 직접적인 관찰은 불가능하지만, 이론적으로 존재를 가정하는 심리학적 개인의 특질로서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요인. 구인은 개인의 행동에 근원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며, 매우 다양한 구인들의 특성이 교육학 및 심리학에서 정의되고, 측정되며, 활용되고 있다. 지적행동에 대한 구인으로는 지능, 적성, 학업능력, 독해력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정의적 행동에는 사회성, 직업흥미도 등을, 심동적 행동에 대한 구인으로는 근기(endurance), 눈과 손의 협응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인타당도(構因妥當度: construct validity)
검사가 본래 의도한 측정대상인 이론적 구인이나 특질을 어느 정도 적절히 측정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타당도. 구인타당도의 증거를 제시하는 것은 지속적인 과정이며, 구인타당도는 측정대상인 특질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서 비롯된 다양한 예측에 따라 검사점수가 어느정도 검사개발자의 예측을 만족하는가로 제시된다. 구인타당도를 성취하는 과정은 다양한 조건에서 측정대상인 특질의 이론적 배경을 만족하는 경험적 증거들을 축적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검사개발자들이 구인타당도를 제시하는 방법은 상이한 피험자 집단간의 차이, 검사점수의 변화에 대한 증거, 외적 준거와의 상관에 대한 증거, 검사문제 해결과정에 대한 증거 등이 이론적 예측과 일치하는가로 제시한다.
구조방정식 모형(構造方程式 模型: structural equation model)
복수의 관찰변수와 잠재변수(latent trait)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통계모형으로서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용되는 일반선형모형. 구조방정식 모형은 관찰변수들간의 공분산과 잠재변수들 간의 공분산을 모형의 명세화과정에서 허용하며, 관찰변수들의 측정오차도 모형(즉, 측정모형)의 명세화에서 허용하여 측정오차 분산을 관찰분산에서 분해함으로써, 모형 (즉, 구조방정식 모형)에 명세화된 잠재변수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보다 정확히 추정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요인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모형의 특수한 형태로 포괄하는 일반선형모형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은 공분산구조모형, 공분산구조분석 모형으로도 불리우며,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등에서 제시된 복잡한 이론을 경험적으로 검정하는데 활용된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는 통계 프로그램은 LISREL, EQS, AMOS, LISCOMP 등 다양하게 있으며, 현재는 SPSS와 SAS에도 프로그램으로 포함되어 있다.
국제교육성취평가협회(國際敎育成就評價協會: International Evaluation Association)
여러 국가간의 교육제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1959년에 설립된 평가기구. 이 기구는 여러 국가의 다양한 전공학자들로 구성된 최상위 의사결정 기구(assembly)를 설치하고, 연구프로
교육목표분류학(敎育目標分類學: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교육을 통하여 성취하는 지식은 위계적 구조를 갖고 있다는 입장에서 교육목표를 위계적으로 분류한 체계. Bloom(1956) 등이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연구를 통하여 교육목표를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인지적 영역은 지식의 획득과정의 난이도와 복잡성 수준에 따라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의 여섯 단계로 분류하였고 각 단계내에서 다시 세부항목으로 지식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교육목표의 분류학은 교육에 관련된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원할하고 명확하게 하는데 기여하였으며, 교육목표를 학습자의 행위동사로 표현하여 관찰가능한 목표행동을 제시함으로써 교육평가에서 교육목표의 성취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여하였다. 교육목표분류학을 확장하여, Krathwhol 등(1964)은 정의적 영역을 감수,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의 5단계의 수준으로 분류하였고, Harrow(1972)는 심동적 영역의 교육목표를 반사운동, 기초운동, 운동지각능력, 신체기능, 숙련기능, 동작적 의사소통의 6단계로 분류하였다.
교차타당화(交差妥當化: cross validation)
검사문항의 선정, 채점지침의 작성, 문항점수 또는 검사점수의 해석에서 검사개발시에 사용한 표본집단 이외의 표본집단에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의 통계학적, 측정학적 속성을 재검토하는 작업. 교차타당화는 검사의 측정학적 속성이 피험자 집단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원래 측정치의 성질을 유지하는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구술시험(口述試驗: oral examination)
피험자의 지적, 정의적, 심동적 특성에 대하여 면접을 통하여 평가하는 시험양식. 구술시험은 면접자가 피험자를 직접 대면하여 평가한다는 의미에서 면접자의 질문과 피험자의 반응내용에 대한 해석의 오류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며, 지필검사에서 관찰 불가능한 학생의 태도, 협동성, 의사소통능력 등의 특성을 관찰하는 장점이 있다. 구술시험은 피험자에 대한 질문이 정형화 되고 채점지침이나 절차가 표준화된 구조화된 시험과 그러한 표준적 절차가 없는 비구조적 시험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면접자의 수와 피험자의 수에 따라서 일 대 일, 일 대 다수, 다수 대 일, 다수 대 다수의 구조로 진행할 수 있으며, 면접자의 질문과 피험자의 응답 양식이 일방적인가 쌍방적인가에 따라 다르게 분류할 수 있다.
구인(構因: construct)
물리적으로 직접적인 관찰은 불가능하지만, 이론적으로 존재를 가정하는 심리학적 개인의 특질로서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요인. 구인은 개인의 행동에 근원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며, 매우 다양한 구인들의 특성이 교육학 및 심리학에서 정의되고, 측정되며, 활용되고 있다. 지적행동에 대한 구인으로는 지능, 적성, 학업능력, 독해력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정의적 행동에는 사회성, 직업흥미도 등을, 심동적 행동에 대한 구인으로는 근기(endurance), 눈과 손의 협응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인타당도(構因妥當度: construct validity)
검사가 본래 의도한 측정대상인 이론적 구인이나 특질을 어느 정도 적절히 측정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타당도. 구인타당도의 증거를 제시하는 것은 지속적인 과정이며, 구인타당도는 측정대상인 특질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서 비롯된 다양한 예측에 따라 검사점수가 어느정도 검사개발자의 예측을 만족하는가로 제시된다. 구인타당도를 성취하는 과정은 다양한 조건에서 측정대상인 특질의 이론적 배경을 만족하는 경험적 증거들을 축적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검사개발자들이 구인타당도를 제시하는 방법은 상이한 피험자 집단간의 차이, 검사점수의 변화에 대한 증거, 외적 준거와의 상관에 대한 증거, 검사문제 해결과정에 대한 증거 등이 이론적 예측과 일치하는가로 제시한다.
구조방정식 모형(構造方程式 模型: structural equation model)
복수의 관찰변수와 잠재변수(latent trait)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통계모형으로서 사회과학 분야에서 활용되는 일반선형모형. 구조방정식 모형은 관찰변수들간의 공분산과 잠재변수들 간의 공분산을 모형의 명세화과정에서 허용하며, 관찰변수들의 측정오차도 모형(즉, 측정모형)의 명세화에서 허용하여 측정오차 분산을 관찰분산에서 분해함으로써, 모형 (즉, 구조방정식 모형)에 명세화된 잠재변수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보다 정확히 추정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요인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모형의 특수한 형태로 포괄하는 일반선형모형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은 공분산구조모형, 공분산구조분석 모형으로도 불리우며,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등에서 제시된 복잡한 이론을 경험적으로 검정하는데 활용된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는 통계 프로그램은 LISREL, EQS, AMOS, LISCOMP 등 다양하게 있으며, 현재는 SPSS와 SAS에도 프로그램으로 포함되어 있다.
국제교육성취평가협회(國際敎育成就評價協會: International Evaluation Association)
여러 국가간의 교육제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1959년에 설립된 평가기구. 이 기구는 여러 국가의 다양한 전공학자들로 구성된 최상위 의사결정 기구(assembly)를 설치하고, 연구프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