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논문의 목차)
2. 논문 분석
2-1. 연구 제목 및 주제
2-2. 연구 의의, 목적 및 필요성
2-3. 연구 가설 및 문제
2-4. 사용한 연구 방법
2-5. 사용한 설계방안(또는 절차 및 방법)
2-6. 이용한 측정 도구 및 방법
2-7. 가설 및 문제에 포함된 변인들
2-8. 연구에 사용된 독립변인, 종속변인과 통제변인 또는 조절변인과 중재변인
2-9. 변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
2-10. 변인에 대한 측정중심의 조작적 정의
2-11. 연구 대상 집단
2-12. 주된 표집방법
2-13. 사용한 통계적 방법
2-14. 언급한 제한점
2-15. 주된 결과 및 결론
참고문헌
2. 논문 분석
2-1. 연구 제목 및 주제
2-2. 연구 의의, 목적 및 필요성
2-3. 연구 가설 및 문제
2-4. 사용한 연구 방법
2-5. 사용한 설계방안(또는 절차 및 방법)
2-6. 이용한 측정 도구 및 방법
2-7. 가설 및 문제에 포함된 변인들
2-8. 연구에 사용된 독립변인, 종속변인과 통제변인 또는 조절변인과 중재변인
2-9. 변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
2-10. 변인에 대한 측정중심의 조작적 정의
2-11. 연구 대상 집단
2-12. 주된 표집방법
2-13. 사용한 통계적 방법
2-14. 언급한 제한점
2-15. 주된 결과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째, 중학교들의 상담활동 목적과 계획이 어떻게 수립되어 있는가? 그리고 상담활동의 목적과 계획 수립이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교들이 상담활동을 위한 인적 및 물적 조건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가? 그리고 상담활동을 위해 갖추고 있는 인적 및 물적 조건이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교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활동의 실제는 어떠한가? 그리고 상담활동의 실제가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중학교들에서 상담계획 및 활동에 대한 사후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상담활동에 대한 사후 평가 활동이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2-4. 사용한 연구 방법(추론방식)
이 연구는 중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활동의 실태 및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기술하기 위한 기술적 추론방식(descriptive inference)을 사용하는 조사연구로, 기술(describe)이 연구 활동의 주요소이다.
2-5. 사용한 설계 방안 (또는 절차 및 방법)
이 연구에서는 주로 관찰법과 기록 자료 및 문서의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자가 조사대상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상담부서의 책임 교사인 상담 주임교사에게 협력을 구하고, 연구에 필요한 문서와 자료(1999학년도 교육 계획서, 상담활동 계획서, 상담일지 등)를 열람하였으며, 상담실의 구조와 상태를 관찰하였다. 문서와 기록 자료에 불분명한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상담주임 교사와의 면접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2000년 1월과 2월, 약 2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중학교에서의 상담활동 실태를 상담계획 및 목표, 상담활동을 위한 인적 및 물적 조건, 상담활동의 실제, 상담활동의 평가, 이 네 영역에 초점을 두어 조사하였다.
2-6. 이용한 측정 도구 및 방법 (자료수집 도구 및 방법)
조사 내용별 자료 수집방법과 분류기준을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 1-1. 자료수집 방법 및 판단기준>
조사내용
조사방법
분류 및 판단기준
영역
내용
1. 상담계획목표
1) 학교 교육계획
목표와의 관계
학교교육 계획 및 상담계획서분석
학교교육 계획이나 목표에 학생들을 위한 적응지도나 인성 및 도덕성 교육에 관한 내용이 진술되었는지의 여부: ① 반영 ② 미반영
2) 상담활동의
과제
학교 교육목표에 반영된 상담 요소들을 전개하기 위한 활동 과제들이 구체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① 설정 ②미설정
3) 상담목표의
수립
학교 상담계획에 상담활동의 몰표가 진술되어 있는지의 여부: ① 진술 ②미진술
4) 상담목표의
설정근거
상담활동의 목표가 학생들의 요구분석과 전년도 상담활동에 대한 평가 결과를 충분히 반영하여 설정되었는지의 여부: ① 충분 ②불충분
2. 인적 물적 조건
1) 상담인력의
확보
상담부서의 조직/학생 통계자료
상담부서 매치 교사수
상담교사 1인당 재학생 수:
① 300미만 ②300~500미만 ③ 500이상
2) 상담인력의
배치 기준
상담주임 면접
합리적 배치 기준: 합리적/비합리적
① 자격증 소지와 경력 고려
② 자격증 미소지자 배치 또는 경력 무시
3) 상담주임의
수업부담
수업편성 자료
수업시수 경감 혜택 - 학교별 전체 교사의 주당 수업시수 대비:
①3시간 이상 ② 1~2시간 ③ 평균 이상
4) 상담실 확보
관찰
상담실 확보 여부:
① 확보 ② 미확보
5) 상담실 구조
관찰
충분한 공간과 설비 확보(별도 공간과 설비):
①충분 ② 보통 ③ 불충분
6) 상담실 위치
관찰
내담학생의 출입 용이 여부(주변 사람의 시선 차단):
① 양호 ② 보통 ③ 미흡
7) 상담실 분위기
관찰
상담실 내부의 방음, 조명,
둘째, 중학교들이 상담활동을 위한 인적 및 물적 조건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가? 그리고 상담활동을 위해 갖추고 있는 인적 및 물적 조건이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교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활동의 실제는 어떠한가? 그리고 상담활동의 실제가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중학교들에서 상담계획 및 활동에 대한 사후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상담활동에 대한 사후 평가 활동이 공립학교와 사립학교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
2-4. 사용한 연구 방법(추론방식)
이 연구는 중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활동의 실태 및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기술하기 위한 기술적 추론방식(descriptive inference)을 사용하는 조사연구로, 기술(describe)이 연구 활동의 주요소이다.
2-5. 사용한 설계 방안 (또는 절차 및 방법)
이 연구에서는 주로 관찰법과 기록 자료 및 문서의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자가 조사대상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상담부서의 책임 교사인 상담 주임교사에게 협력을 구하고, 연구에 필요한 문서와 자료(1999학년도 교육 계획서, 상담활동 계획서, 상담일지 등)를 열람하였으며, 상담실의 구조와 상태를 관찰하였다. 문서와 기록 자료에 불분명한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상담주임 교사와의 면접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2000년 1월과 2월, 약 2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중학교에서의 상담활동 실태를 상담계획 및 목표, 상담활동을 위한 인적 및 물적 조건, 상담활동의 실제, 상담활동의 평가, 이 네 영역에 초점을 두어 조사하였다.
2-6. 이용한 측정 도구 및 방법 (자료수집 도구 및 방법)
조사 내용별 자료 수집방법과 분류기준을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 1-1. 자료수집 방법 및 판단기준>
조사내용
조사방법
분류 및 판단기준
영역
내용
1. 상담계획목표
1) 학교 교육계획
목표와의 관계
학교교육 계획 및 상담계획서분석
학교교육 계획이나 목표에 학생들을 위한 적응지도나 인성 및 도덕성 교육에 관한 내용이 진술되었는지의 여부: ① 반영 ② 미반영
2) 상담활동의
과제
학교 교육목표에 반영된 상담 요소들을 전개하기 위한 활동 과제들이 구체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① 설정 ②미설정
3) 상담목표의
수립
학교 상담계획에 상담활동의 몰표가 진술되어 있는지의 여부: ① 진술 ②미진술
4) 상담목표의
설정근거
상담활동의 목표가 학생들의 요구분석과 전년도 상담활동에 대한 평가 결과를 충분히 반영하여 설정되었는지의 여부: ① 충분 ②불충분
2. 인적 물적 조건
1) 상담인력의
확보
상담부서의 조직/학생 통계자료
상담부서 매치 교사수
상담교사 1인당 재학생 수:
① 300미만 ②300~500미만 ③ 500이상
2) 상담인력의
배치 기준
상담주임 면접
합리적 배치 기준: 합리적/비합리적
① 자격증 소지와 경력 고려
② 자격증 미소지자 배치 또는 경력 무시
3) 상담주임의
수업부담
수업편성 자료
수업시수 경감 혜택 - 학교별 전체 교사의 주당 수업시수 대비:
①3시간 이상 ② 1~2시간 ③ 평균 이상
4) 상담실 확보
관찰
상담실 확보 여부:
① 확보 ② 미확보
5) 상담실 구조
관찰
충분한 공간과 설비 확보(별도 공간과 설비):
①충분 ② 보통 ③ 불충분
6) 상담실 위치
관찰
내담학생의 출입 용이 여부(주변 사람의 시선 차단):
① 양호 ② 보통 ③ 미흡
7) 상담실 분위기
관찰
상담실 내부의 방음, 조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