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졸업논문이란
논문의 종류
논문의 여건
2. 주제의 선정
연구주제의 선정시 고려해야할 사항
2. 논문 작성의 절차
3. 논문의 구성과 배열
논문의 종류
논문의 여건
2. 주제의 선정
연구주제의 선정시 고려해야할 사항
2. 논문 작성의 절차
3. 논문의 구성과 배열
본문내용
어법, 어휘 선택의 적절성, 논리의 연계성 등 논문이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들이 제대로 구비되어 있는가를 하나 하나 점검하여야 한다. 일차 글 다듬기를 한 원고를 지도교수에게 제출하여 재차 수정, 보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좋은 논문은 이러한 글 다듬기를 여러 차례 하는 과정에서만 생겨난다
3. 논문의 구성과 배열
① 논제표제(Title)
논제는 독자가 가장 관심을 갖고 인상 깊게 접하게 되는 논문의 얼굴이기 때문에 아주 신중히 생각하여 결정
논제 선정시 고려해야 할 점은
논문의 주된 내용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것이어야 한다.
논문만 보아도 그 논문의 내용을 손쉽게 파악 할 수 있는 명확한 논제를 붙인다.
홍수 유출에 관한 연구 → 홍수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간결해야 한다.
논제는 가능하면 간단하고 짧을수록 좋다. 그렇다고 너무 단축시켜 논문의 주된 내용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아서도 곤란하다.
주의를 끌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② 목차내용(Contents)
③ 서론서언(Introduction)
서론에서는 주제에 대한 명확하고 완전한 해결을 제시한다. 즉 주제의 성질, 연구사, 연구의 목적, 범위, 의의 및 연구를 하게된 동기 등을 서술한다. 서론에서는 어디까지나 논문의 본론 부에서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예비 지식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간명하게 쓰지 않으면 안 된다.
④ 재료 및 방법 실험 방법 연구 방법(Material and Methods)
재료 및 방법은 동일한 재료와 방법을 쓰면 누구나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저자가 쓴 재료 및 방법을 정확히 기술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재료의 채취 방법이나 실험방법에 있어서 주의할 사항, 개선한 및 새로이 착안한 점 등에 관해서는 상세히 기술한다. 학술상의 논쟁은 재료 및 방법이 틀림으로써 생기게 되는 경우가 많다.
⑤ 연구 성적 결과(Results)
연구 성적은 그 논문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논문의 핵심이 된다. 따라서 실험, 관찰 등의 종류와 성질 및 결과를 사실에 충실하게 기재해야 한다. 저자가 얻은 성과 중에서 예기한 것만 채택 기재하고 기대 밖의 결과가 나왔을 때에는 그것을 빼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선정된 결과는 그 내용이 풍부할지라도 알기 쉽게 하기위해여 표나 그림으로 정리하여 나타내고 본문 중에 실험 결과를 길게 나열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⑥ 고찰논의(Discussion)
이 항에는 자기의 연구 결과에 대한 이해적 구명과 예기치 않았던 예외적인 결과에 대한 설명, 다른 연구자들의 결과와의 비교 등이 포함된다. 자기가 세운 이론이과 모순되는 자료가 있을 경우 고찰에 명기해야 된다. 또한 다른 연구자의 결과와 비교하면서 서로 다른 점의 원인도 검토하여야 한다.
⑦ 결론 (Conclusion)
결론에서는 그 연구 성과가 그 방면의 학문에 미칠 영향과 의의 및 가능한 새로운 기여 방법 등을 기술하고,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던 가설이나 학설 및 원리를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를 명백하게 기술해야 한다. 결론에서 주의할 점은 비확정적인 사실을 갖고 과대한 단정을 하거나 독단적인 추정을 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는 점이다.
⑧ 총괄요약 (Summary)
총괄에서는 논문의 요점만을 간단하게 쓴다. 총괄에 포함되는 것은 새로운 연구 성적과 결론이지만 그 외에도 가능하면 논문에서 채택한 재료 및 방법도 간결하게 소개하고 고찰에서 중점적으로 취급한 사항까지도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⑨ 사사(謝辭) Acknowledgement
사사는 연구에 대한 지도 및 연구 진행과 논문 작성 등에 중요한 조력을 한 사람에게 사의를 표하는 것이다. 또한 연구비의 보조를 얻은 경우 이를 명기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다.
⑩ 문헌참고문헌(Literature, References)
참고문헌의 생명은 정확성에 있다. 저자명, 연호, 논제, 잡지명, 권수, 페이지수 등을 한자 한자를 오자와 탈자가 없도록 기재하여 완전한 논문이 되도록 해야 한다.
⑪ 부록 Appendix
과학 논문에서는 수식에 사용한 기호나 실험과 관측 등에 관한 자세한 자료 등을 표로 하여 싣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이를 부록으로 하거나 부표로 하여 참고 문헌 다음에 붙인다.
⑫ 도판설명 Explanation of Plates
표와 그림은 실험 방법이나 재료 및 실험 결과 등과 같은 논문의 자료를 간결하면서도 명료하게 나타내고 싶을 때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⑬ 도판 Plates
3. 논문의 구성과 배열
① 논제표제(Title)
논제는 독자가 가장 관심을 갖고 인상 깊게 접하게 되는 논문의 얼굴이기 때문에 아주 신중히 생각하여 결정
논제 선정시 고려해야 할 점은
논문의 주된 내용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것이어야 한다.
논문만 보아도 그 논문의 내용을 손쉽게 파악 할 수 있는 명확한 논제를 붙인다.
홍수 유출에 관한 연구 → 홍수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간결해야 한다.
논제는 가능하면 간단하고 짧을수록 좋다. 그렇다고 너무 단축시켜 논문의 주된 내용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아서도 곤란하다.
주의를 끌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② 목차내용(Contents)
③ 서론서언(Introduction)
서론에서는 주제에 대한 명확하고 완전한 해결을 제시한다. 즉 주제의 성질, 연구사, 연구의 목적, 범위, 의의 및 연구를 하게된 동기 등을 서술한다. 서론에서는 어디까지나 논문의 본론 부에서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예비 지식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간명하게 쓰지 않으면 안 된다.
④ 재료 및 방법 실험 방법 연구 방법(Material and Methods)
재료 및 방법은 동일한 재료와 방법을 쓰면 누구나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저자가 쓴 재료 및 방법을 정확히 기술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재료의 채취 방법이나 실험방법에 있어서 주의할 사항, 개선한 및 새로이 착안한 점 등에 관해서는 상세히 기술한다. 학술상의 논쟁은 재료 및 방법이 틀림으로써 생기게 되는 경우가 많다.
⑤ 연구 성적 결과(Results)
연구 성적은 그 논문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논문의 핵심이 된다. 따라서 실험, 관찰 등의 종류와 성질 및 결과를 사실에 충실하게 기재해야 한다. 저자가 얻은 성과 중에서 예기한 것만 채택 기재하고 기대 밖의 결과가 나왔을 때에는 그것을 빼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선정된 결과는 그 내용이 풍부할지라도 알기 쉽게 하기위해여 표나 그림으로 정리하여 나타내고 본문 중에 실험 결과를 길게 나열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⑥ 고찰논의(Discussion)
이 항에는 자기의 연구 결과에 대한 이해적 구명과 예기치 않았던 예외적인 결과에 대한 설명, 다른 연구자들의 결과와의 비교 등이 포함된다. 자기가 세운 이론이과 모순되는 자료가 있을 경우 고찰에 명기해야 된다. 또한 다른 연구자의 결과와 비교하면서 서로 다른 점의 원인도 검토하여야 한다.
⑦ 결론 (Conclusion)
결론에서는 그 연구 성과가 그 방면의 학문에 미칠 영향과 의의 및 가능한 새로운 기여 방법 등을 기술하고,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던 가설이나 학설 및 원리를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를 명백하게 기술해야 한다. 결론에서 주의할 점은 비확정적인 사실을 갖고 과대한 단정을 하거나 독단적인 추정을 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는 점이다.
⑧ 총괄요약 (Summary)
총괄에서는 논문의 요점만을 간단하게 쓴다. 총괄에 포함되는 것은 새로운 연구 성적과 결론이지만 그 외에도 가능하면 논문에서 채택한 재료 및 방법도 간결하게 소개하고 고찰에서 중점적으로 취급한 사항까지도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⑨ 사사(謝辭) Acknowledgement
사사는 연구에 대한 지도 및 연구 진행과 논문 작성 등에 중요한 조력을 한 사람에게 사의를 표하는 것이다. 또한 연구비의 보조를 얻은 경우 이를 명기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다.
⑩ 문헌참고문헌(Literature, References)
참고문헌의 생명은 정확성에 있다. 저자명, 연호, 논제, 잡지명, 권수, 페이지수 등을 한자 한자를 오자와 탈자가 없도록 기재하여 완전한 논문이 되도록 해야 한다.
⑪ 부록 Appendix
과학 논문에서는 수식에 사용한 기호나 실험과 관측 등에 관한 자세한 자료 등을 표로 하여 싣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이를 부록으로 하거나 부표로 하여 참고 문헌 다음에 붙인다.
⑫ 도판설명 Explanation of Plates
표와 그림은 실험 방법이나 재료 및 실험 결과 등과 같은 논문의 자료를 간결하면서도 명료하게 나타내고 싶을 때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⑬ 도판 Plates
추천자료
[news]美구직난 속에 하버드졸업생에 인기끄는 벤처
시험의 교육학적 의미
시대별 입시교육과 시험
공무원시험,공기업입사 관련 대학생의 고시열풍의 원인과 그 해결방안
대학입시제도(대학입학시험, 대입)의 특징과 변화, 대학입시제도(대학입학시험, 대입)의 면접...
대학입시제도(대입시험, 대학입학)의 현황과 교사행동, 대학입시제도(대입시험, 대학입학)의 ...
대학입시제도(대입, 대학입학시험) 특징과 유형변화, 대학입시제도(대입, 대학입학시험) 면접...
대학생의 시험 불안에 대한 연구
[1919년][보통시험][베르사이유체제][임시정부][임시정부폐쇄][조약][인구세]1919년의 보통시...
교원양성제도, 교원 임용시험제도의 분석과 문제점 및 임용시험 개선방안
[졸업작품 최종 보고서] 자동 주차 시스템 (영상 처리, 컴퓨터 비젼, 초음파 센서, 모터 제어...
[캡스톤디자인/졸업작품/컴퓨터공학과/안드로이드] 캡스톤 디자인 보고서 (차량용 블랙박스 ...
시험불안 극복기법 ; 시험불안의 정의와 원인 분석 - 시험불안극복
[전기,전자과] 졸업작품 인체감지선풍기 한학기간발표자료(ppt 7개 및 hwp 최종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