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연암 박지원의 사상 및 연암 박지원의 호질, 연암 박지원의 허생전, 연암 박지원의 양반전 심층 분석(연암 박지원, 연암, 박지원, 호질, 허생전, 양반전, 연암 박지원의 사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지원]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연암 박지원의 사상 및 연암 박지원의 호질, 연암 박지원의 허생전, 연암 박지원의 양반전 심층 분석(연암 박지원, 연암, 박지원, 호질, 허생전, 양반전, 연암 박지원의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암 박지원의 생애

Ⅲ. 연암 박지원의 사상
1. 寫實 主義(사실 주의)
2. 獨創性(독창성), 自主性(자주성)
3. 諷刺性(풍자성), 滑稽性(골계성)

Ⅳ. 연암 박지원의 호질

Ⅴ. 연암 박지원의 허생전
1. 줄거리
2. 인물
1) 허생
2) 변씨

Ⅵ. 연암 박지원의 양반전
1. 양반전의 소개
2. 양반전을 쓴 동기
3. 양반전의 소재와 표현법
4. 등장인물
1) 양반
2) 천부(부자)
3) 군수
4) 양반의 처
5. 감상
6. 양반전의 풍자대상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지이다. 첫 번째 문서에서 풍자된 양반은 무위 도식(無爲徒食)하며 공허한 관념과 겉치레에 얽매인 비생산적 계층으로 드러나 있으며 두 번째 문서에서 풍자된 양반은 개인적 이익만을 취하며 부당한 특권을 남용하는 집단으로 드러나 있다. 작자는 이 양면은 모두 부정적으로 보고 있으나 좀더 강한 비판이 가해진 것은 둘째 유형의 특권적 행동이다. 평민 부자가 이 문서의 내용을 듣고 \'아이구 맹랑 합니다 그려, 나를 도적으로 만들 셈이란 말이오?\'라 하는 말을 남긴 채 달아나 버린 데서 이 점이 분명히 나타난다. 이와 같은 풍자적 비판을 통해서 작자가 말하려고 한 주제는 양반층의 공허한 관념, 비생산성과 부당한 특권 남용이 당시 사회의 커다란 병이요 문제라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Ⅶ. 결론
조선조 소설은 표현형태상 및 수용 정보상의 규범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서사 내용이 한 인물의 전기에 부합한다는 점, 서사의 진행이 평면적인 구성의 형태를 띤다는 점, 행위소 구조가 일정한 선악구조의 틀 속에 있다는 점, 다루고 있는 화소가 대체로 비현실적인 층위에서 채택되고 있다는 점, 윤리의식이 강조되는 작가 의식이 일반화되어 있다는 점 등이 조선조 소설의 규범성이라 할 만한 것들이다. 그러한 일반적 속성에도 불구하고 조선조 소설은 표현 수단과의 관련성 하에서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한문소설, 문어체 국문소설, 판소리계 소설 등은 나름대로 고유한 작가 및 독자층이나, 텍스트의 유통과정 등을 상호 배타적으로 유지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문소설은 양반사대부라는 식자층이 향유한 문학형태로서 눈으로 읽는 문학이었다면, 문어체 국문소설은 한문을 모르던 평민층 및 사대부 부녀자들에게 적응하는 문학형태로서 주로 전문적인 이야기꾼이나 강담사들에 의해 낭송되던 귀로 듣는 문학이었다. 반면에 판소리계 소설은 하층민인 광대에 의해 연창되던 민중예술인 판소리의 화본으로서 민중과 양반 모두를 독자로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복잡한 특성을 지닌 문학이었다. 연암소설은 전기한 여러 형태의 조선조 소설 중에서 한문소설류에 속한다. 연암소설은 <방경각외전>에 수록된 초기 구전(역학대도전, 봉산학자전 등 2편은 실전)과 <열하일기>에 게재된 허생, 호질?, 그리고 <연암집> 연상각선본 중의 열녀함양박씨전 등 총 11편이 전하는데 모두가 한문을 그 표기수단으로 삼고 있다. 한문소설은 김시습의 금오신화 이후 많은 작가에 의해 창작된 조선조 소설 유형이다. 이 유형은 대체로 중국 당대의 전기소설의 규범에 의해 창작되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연암소설은 주로 시정에서 떠도는 이야기들을 소재로 하여 작가 나름의 사회비판적 주제를 담아 재구성하는 독특한 교훈소설의 양상을 보인다. 서술 시점에 있어서도 민옹전과 김신선전은 1인칭 서술방식을 보이고 있어 작가 의식이 형식적 층위에서 강하게 드러나도록 장치되어 있으며, 마장전, 예덕선생전, 광문자전, 우상전, 양반전등 3인칭 서술방식으로 이루어진 작품들도 작가가 편집자적 서술자의 입장을 취하지 않고 사건의 객관적 제시에 노력하는 경향을 보여 조선조 한문소설의 전통적 유형에서 벗어나고 있다. 그러한 초기 구전의 서술태도는 후기의 허생(옥갑야화)이나 호질 같은 보다 본격적인 소설적 서사구조를 생산하는 데에도 시종여일하게 이어지고 있다.
그러한 연암소설의 서술태도는 표면적으로는 당대의 한문소설 독자인 양반층의 남성들을 의식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내면적으로는 독자 스스로가 서술자의 입장에서 기술된 사건을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주고자 하는 작가의 창작의도가 반영된 것이기도 하다. 허생이나 호질 같은 작품은 비현실적인 정치·경제적 이데올로기나 유학자의 가식적이고 위선적인 생활상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는 작품의 주제적 측면으로 인해 주 독자층의 강력한 거부감을 촉발시킬 수 있는 것이었다. 연암이 액자 층위의 목소리를 빌어온 것은 당연히 그들 주 독자층과의 마찰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그러한 연암소설의 서술태도가 완전히 의미화되지는 않는다. 그것은 식자들이 거부감에서보다는 자기반성적 차원에서 연암소설을 즐겨 읽었다는 사실에서도 증명된다. 그러므로 연암이 선택한 서술자의 위치는 이른바 근대적 리얼리즘에서의 기록자로서의 작가라는 자리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며 동시에 참여를 위한 여백을 고려한 일종의 미학적 장치의 하나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근대적 리얼리즘의 맥락에 닿아 있는 서술태도와 함께 봉건 문화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정신이라는 주제적 측면도 연암소설이 일반적인 조선조 한문소설의 경향에서 크게 벗어나 있는 부분이다. 봉건 문화의 주 담당층이면서도 자기 쇄신의 차원에서 비판적 담론을 제기할 수 있었던 것은 연암소설이 지닌 가장 근대적인 면모라 할 것이다. 중세적 봉건 사회에서 근대 시민 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려면 계몽사상이 그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흥기하게 되어 있다. 조선조 사회도 그러한 일면을 보이는데, 이른바 실사구시와 이용후생 정신의 대두이다. 연암 박지원은 이른바 북학파의 거두로서 이용후생사상의 제창자로 알려져 있다. 연암은 그의 선천적인 저항적 생리와 비판적인 학자 정신에 의거, 당대의 지배 담론에 반하는 나름대로의 경세 담론을 창출한다. 당시 서울은 전환기적 양상이 가장 첨예하게 집중적으로 반영되던 곳이었고, 그러한 서울에서 생장한 연암은 서민 사회의 동태에 깊은 관심을 가지면서 전환되어가는 역사의 한 맥을 잡고 그들 서민 사회의 진취적인 의식을 자신의 경세 담론의 한 축으로 삼았다. 그의 소설에 서울의 서민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도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이다.
참고문헌
◎ 김영동, 박지원 소설 연구, 태학사, 1988
◎ 박기석, 연암의 초기 구전에 대한 일고, 연암 연구, 계명대출판부, 1984
◎ 박지원, 박지원 작품집, 연문사, 2000
◎ 이동환, 박지원론, 연암 연구, 계명대출판부, 1984
◎ 유봉학, 18, 19세기 연암파 북학사상의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정익섭, 박지원의 생애와 사상, 실학논총 이을호 박사 정년기념,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75
◎ 차용주, 연암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4

키워드

연암,   박지원,   호질,   허생전,   양반전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10.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60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