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본문내용
회전식과 평면 진동 식 체를 이용한다.
- 풍력 선별 : 폐기물의 송풍기를 통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줌으로써 폐기물의 각 성분들이 무게에 따라 떨어지는 속도가 다른 것을 이용하는 방법으 로 가벼운 물질은 멀리 날아가고 무거운 물질은 가까이에 떨어지게 된다.
- 자력 선별 : 영구적인 자석, 또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폐기물로 부터 철근을 선 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이다.
- 광학 선별 : 물질 표면의 광 반사 특성, 즉 색의 차이에 따른 빛의 투과의 차를 감광 장치로서 감지하여 압축공기를 분산시켜 선별하는 방식으로 일 반적으로 색유리와 보통유리를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② 일반 폐기물의 처리, 처분 방법
1. 퇴비화 : 퇴비화는 예로부터 농사 잔재물, 채소 찌꺼기 및 가축 분을 혼합하여 대용 비료로 사용 함으로써 농업 및 축산 잔재물을 처분하고 농업 생 산에 기여하는 처분 방식이었다.
- 완성된 퇴비의 구비 조건- 위생산 농업적을 안전하여야 한다. (병원균, 해충의 충란 등이 사멸되 어야 하고, 유리, 도자기 금속편 및 중금속이 남아 있지 않아야 한다.)
-C/N 의 비가 20이하여야 한다.
-수분이 40% 이하여야한다.
-악취가 없어야 한다.
- 퇴비화 조건 - 물리적 척도 : 퇴비 더미의 통기성을 유지시켜주기 위해서 입자 가 클수록 좋으며, 퇴비재료에 미생물이 잘 부착 되어 생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입자가 적을 수록 좋다.
- 화학적 성질 : C/N비의 상태에 따라 최고 온도 도달 시간과 최고 온도 지속 시간이 변한다. 일반적으로 이 비가 낮을수록 최고 온도 도달 시간과 최고 지속 시간이 짧으며, 이 비가 높 을 수록 길다.
- 함수율 : 수분이 많을수록 퇴비 재료의 공기 유통로를 폐쇄시켜 호기성 조건에서 퇴비생산이 불가능하므로 장시간 소모되며,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 수분이 너무 적으면 공기 유통로를 확보 하는 대신 미생물의 수분이 결핍되어 미생물의 활동이 위축된 다.
- pH : 적당한 pH 조건은 6-8 이다.
- 온도 : 퇴비화에 이용되는 미생물군은 친열성 미생물군으로 최적온도는 55℃ 정도일 때 가장 분해속도가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퇴비화 공법 : 퇴비화 공법에는 주로 공기를 주입하는 호기적 퇴비화 방법이 많 이 이용되고 있다.
2. 소각 : 소각은 연소 가능한 폐기물을 태워서 처리하는 방법으로 매립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폐기물 처리 방식 중의 하나이다.
- 소각 시설의 구성 : 폐기물 저장소, 폐기물 투입장치, 소각로 본체, 대기 오염 방지 장치, 연돌,폐수 처리 장치, 소각재 추출 장치;일반적으 로 대기 오염 방지를 위해서 전기 집진기, 습식 및 건식기 세정기, 백필터 등이 많이 이용되어 유해 폐기물 소각 의 경우에는 촉매를 이용한 방법이 이용되기도 한다.
- 소각 방법 : 일반 폐기물의 소각에는 스토커식 소각 방식과 유동 상시 소각 방 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성남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스토커식 소각 방식을 쓰고 있다. 스토커식 소각 시설의 경우, 대용량에 적합하며, 비교적 건설 및 운전이 용이하 다는 장점 이 있어, 생활 폐기믈 소각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유동 상식의 경우 에는 스토커식에 비하여 완전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기 오염 문 제를 많이 저감시킬 수 있고 배출되는 소각제의 양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대규모 용량에는 적합하지 않고 운전상에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2-1. 일반 폐기물 관리 대책
: 일반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위생적인 처리 시설의 확충, 발생 원에서부터의 감량 화, 재활용증대 등의 대책이 계속 추진되어야 한다.
- 폐기물 관리의 중.장기 종합 대책 수립
: 시, 군 또는 강역시, 도 단위의 폐기물 관리 대책을 수립하여 폐기물의 발생으로 부터 최 종 처분 에 이르는 과정을 체계화하여 폐기물 처리비의 효율적 사용, 처 리 시설의 적당한 시기의 확보를 기할 수 있다.
- 쓰레기 위생 처리 시설과 소각 시설 확충
: 우리 나라의 폐기물 처리는 대부분이 단순 투기식 매립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환 경오염 및 국토 훼손이 문제되고 있어, 무엇보다 쓰레기 위생 처리 시설의 확충이 가장 시급하다. 광역 및 단독 위생 매립지를 계속 건설함과 아울러 소각 시설 확 충으로 위생 처리율을 높여야 한다. 완벽한 위생 매립 시설 설치는 최근 심화된 님비 현상을 극복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 폐기물 발생량 감량 화
: 문제의 근원적인 해결 방안으로서 폐기물의 발생을 발생원에서부터 감량화 하여 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품의 과대 포장, 1회 용품, 사용을 억제하여야 하며, 난방 용, 취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탄은 도시 가스 등으로 시급히 대체되어야 한다. 발생된 쓰레기는 최대한 감량화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쓰레기 분리 수거 제도 를 조기 정착 시키고, 재활용 회수 체계를 확립하여 재활용율을 높인다.
- 정부의 예산 투자 증대와 재활용 업체의 세제 감면 혹은 경제적 지원.
3. 특정 폐기물
3-1. 특정 폐기물의 분류
: 1991년 이전에는 폐기물을 그 발생 장소에 따라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것은 산 업 폐기물, 가정등에서 발새하는 것은 일반 폐기물로 분류했었다. 그러나 1991년 개정된 폐기물 관리법에서는 특정 폐기물을 \"사업활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슬러 지, 폐유, 폐산, 폐알카리, 폐고무, 폐합성수지 등 환경 및 국민 보건에 유해한 물 질로서 대통령령에 정하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다. 즉 페기물의 특정 폐기물로, 그 이외의 것을 일반 폐기물로 분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특별히 관리해야할 필요 가 있다고 판단되는 20가지(환경부장관 지정폐기물 제외)를 특정 폐기물로 분류해 지정하였다. 그 후 1993년 폐기물관리법 및 시행령의 일부 개정에 으해 특정 폐기 물로 분류되었던 다량의 배출 폐기물을 일반 폐기물로 전환하여 특정 폐기물로 17종의 폐기물을 지정하였다.
<특정 폐기물의 종류>
특정한 폐기물
구 분
。폐산
。폐알카리
。폐유
。폐유기종제
。페합성고분자 화합물
。폐석면
。광재, 분진
폐주물사, 및 샌드블라
- 풍력 선별 : 폐기물의 송풍기를 통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줌으로써 폐기물의 각 성분들이 무게에 따라 떨어지는 속도가 다른 것을 이용하는 방법으 로 가벼운 물질은 멀리 날아가고 무거운 물질은 가까이에 떨어지게 된다.
- 자력 선별 : 영구적인 자석, 또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폐기물로 부터 철근을 선 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이다.
- 광학 선별 : 물질 표면의 광 반사 특성, 즉 색의 차이에 따른 빛의 투과의 차를 감광 장치로서 감지하여 압축공기를 분산시켜 선별하는 방식으로 일 반적으로 색유리와 보통유리를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② 일반 폐기물의 처리, 처분 방법
1. 퇴비화 : 퇴비화는 예로부터 농사 잔재물, 채소 찌꺼기 및 가축 분을 혼합하여 대용 비료로 사용 함으로써 농업 및 축산 잔재물을 처분하고 농업 생 산에 기여하는 처분 방식이었다.
- 완성된 퇴비의 구비 조건- 위생산 농업적을 안전하여야 한다. (병원균, 해충의 충란 등이 사멸되 어야 하고, 유리, 도자기 금속편 및 중금속이 남아 있지 않아야 한다.)
-C/N 의 비가 20이하여야 한다.
-수분이 40% 이하여야한다.
-악취가 없어야 한다.
- 퇴비화 조건 - 물리적 척도 : 퇴비 더미의 통기성을 유지시켜주기 위해서 입자 가 클수록 좋으며, 퇴비재료에 미생물이 잘 부착 되어 생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입자가 적을 수록 좋다.
- 화학적 성질 : C/N비의 상태에 따라 최고 온도 도달 시간과 최고 온도 지속 시간이 변한다. 일반적으로 이 비가 낮을수록 최고 온도 도달 시간과 최고 지속 시간이 짧으며, 이 비가 높 을 수록 길다.
- 함수율 : 수분이 많을수록 퇴비 재료의 공기 유통로를 폐쇄시켜 호기성 조건에서 퇴비생산이 불가능하므로 장시간 소모되며,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 수분이 너무 적으면 공기 유통로를 확보 하는 대신 미생물의 수분이 결핍되어 미생물의 활동이 위축된 다.
- pH : 적당한 pH 조건은 6-8 이다.
- 온도 : 퇴비화에 이용되는 미생물군은 친열성 미생물군으로 최적온도는 55℃ 정도일 때 가장 분해속도가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퇴비화 공법 : 퇴비화 공법에는 주로 공기를 주입하는 호기적 퇴비화 방법이 많 이 이용되고 있다.
2. 소각 : 소각은 연소 가능한 폐기물을 태워서 처리하는 방법으로 매립과 함께 가장 대표적인 폐기물 처리 방식 중의 하나이다.
- 소각 시설의 구성 : 폐기물 저장소, 폐기물 투입장치, 소각로 본체, 대기 오염 방지 장치, 연돌,폐수 처리 장치, 소각재 추출 장치;일반적으 로 대기 오염 방지를 위해서 전기 집진기, 습식 및 건식기 세정기, 백필터 등이 많이 이용되어 유해 폐기물 소각 의 경우에는 촉매를 이용한 방법이 이용되기도 한다.
- 소각 방법 : 일반 폐기물의 소각에는 스토커식 소각 방식과 유동 상시 소각 방 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성남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스토커식 소각 방식을 쓰고 있다. 스토커식 소각 시설의 경우, 대용량에 적합하며, 비교적 건설 및 운전이 용이하 다는 장점 이 있어, 생활 폐기믈 소각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유동 상식의 경우 에는 스토커식에 비하여 완전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기 오염 문 제를 많이 저감시킬 수 있고 배출되는 소각제의 양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대규모 용량에는 적합하지 않고 운전상에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2-1. 일반 폐기물 관리 대책
: 일반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위생적인 처리 시설의 확충, 발생 원에서부터의 감량 화, 재활용증대 등의 대책이 계속 추진되어야 한다.
- 폐기물 관리의 중.장기 종합 대책 수립
: 시, 군 또는 강역시, 도 단위의 폐기물 관리 대책을 수립하여 폐기물의 발생으로 부터 최 종 처분 에 이르는 과정을 체계화하여 폐기물 처리비의 효율적 사용, 처 리 시설의 적당한 시기의 확보를 기할 수 있다.
- 쓰레기 위생 처리 시설과 소각 시설 확충
: 우리 나라의 폐기물 처리는 대부분이 단순 투기식 매립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환 경오염 및 국토 훼손이 문제되고 있어, 무엇보다 쓰레기 위생 처리 시설의 확충이 가장 시급하다. 광역 및 단독 위생 매립지를 계속 건설함과 아울러 소각 시설 확 충으로 위생 처리율을 높여야 한다. 완벽한 위생 매립 시설 설치는 최근 심화된 님비 현상을 극복하는데,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 폐기물 발생량 감량 화
: 문제의 근원적인 해결 방안으로서 폐기물의 발생을 발생원에서부터 감량화 하여 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품의 과대 포장, 1회 용품, 사용을 억제하여야 하며, 난방 용, 취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탄은 도시 가스 등으로 시급히 대체되어야 한다. 발생된 쓰레기는 최대한 감량화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쓰레기 분리 수거 제도 를 조기 정착 시키고, 재활용 회수 체계를 확립하여 재활용율을 높인다.
- 정부의 예산 투자 증대와 재활용 업체의 세제 감면 혹은 경제적 지원.
3. 특정 폐기물
3-1. 특정 폐기물의 분류
: 1991년 이전에는 폐기물을 그 발생 장소에 따라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것은 산 업 폐기물, 가정등에서 발새하는 것은 일반 폐기물로 분류했었다. 그러나 1991년 개정된 폐기물 관리법에서는 특정 폐기물을 \"사업활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슬러 지, 폐유, 폐산, 폐알카리, 폐고무, 폐합성수지 등 환경 및 국민 보건에 유해한 물 질로서 대통령령에 정하는 물질\"로 정의하고 있다. 즉 페기물의 특정 폐기물로, 그 이외의 것을 일반 폐기물로 분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특별히 관리해야할 필요 가 있다고 판단되는 20가지(환경부장관 지정폐기물 제외)를 특정 폐기물로 분류해 지정하였다. 그 후 1993년 폐기물관리법 및 시행령의 일부 개정에 으해 특정 폐기 물로 분류되었던 다량의 배출 폐기물을 일반 폐기물로 전환하여 특정 폐기물로 17종의 폐기물을 지정하였다.
<특정 폐기물의 종류>
특정한 폐기물
구 분
。폐산
。폐알카리
。폐유
。폐유기종제
。페합성고분자 화합물
。폐석면
。광재, 분진
폐주물사, 및 샌드블라
추천자료
UV잉크에 대하여...
8대 트랜드(trend) 분석
주거의 시대별 변화 모습
주조법의 종류와 특징
반응고 성형 가공법(Rheocasting)과 반용융 성형 가공법(Thixocasting)에 대한 조사
음주운전의 실태와 교통범죄.
빌리엘리어트 감상문
토마스 아켐피스 그리스도를 본받아
'느낌표의 예술'을 읽고
교통사고의 시간대별 발생현황에 대한 고찰
재료공학 실험 보고서 마찰실험, 마그네슘
[성악, 성악 유형, 성악 성악가, 성악 연주, 성악 문화, 성악 전망, 성악가, 연주, 문화]성악...
중국민속에 숨은 재미 찾기
[독일어권 지역학] 독일 적군파(Der Baarder Meinhof Komplex, RAF) - 혁명을 꿈꾸었던 테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