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기][24절기][세시풍속]절기의 세시풍속과 24절기(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분석(절기, 24절기, 세시풍속)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절기][24절기][세시풍속]절기의 세시풍속과 24절기(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분석(절기, 24절기, 세시풍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절기의 세시풍속
1. 설
1) 유래
2) 풍속
2. 정월 대보름
1) 유래
2) 풍속
3. 한식(寒食)
4. 단오(端午)

Ⅱ. 24절기
1. 입춘(立春)
2. 우수(雨水)
3. 경칩(驚蟄)
4. 춘분(春分)
5. 청명(淸明)
6. 곡우(穀雨)
7. 입하(立夏)
8. 소만(小滿)
9. 망종(芒種)
10. 하지(夏至)
11. 소서(小暑)
12. 대서(大暑)
13. 입추(立秋)
14. 처서(處暑)
15. 백로(白露)
16. 추분(秋分)
17. 한로(寒露)
18. 상강(霜降)
19. 입동(立冬)
20. 소설(小雪)
21. 대설(大雪)
22. 동지(冬至)
23. 소한(小寒)
24. 대한(大寒)

참고문헌

본문내용

절기의 세시풍속과 24절기(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분석
Ⅰ. 절기의 세시풍속
1. 설
1) 유래
2) 풍속
2. 정월 대보름
1) 유래
2) 풍속
3. 한식(寒食)
4. 단오(端午)
Ⅱ. 24절기
1. 입춘(立春)
2. 우수(雨水)
3. 경칩(驚蟄)
4. 춘분(春分)
5. 청명(淸明)
6. 곡우(穀雨)
7. 입하(立夏)
8. 소만(小滿)
9. 망종(芒種)
10. 하지(夏至)
11. 소서(小暑)
12. 대서(大暑)
13. 입추(立秋)
14. 처서(處暑)
15. 백로(白露)
16. 추분(秋分)
17. 한로(寒露)
18. 상강(霜降)
19. 입동(立冬)
20. 소설(小雪)
21. 대설(大雪)
22. 동지(冬至)
23. 소한(小寒)
24. 대한(大寒)
참고문헌
Ⅰ. 절기의 세시풍속
1. 설
1) 유래
설날은 새해 첫날을 의미하며 원일(元日),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두, 연시, 정초라고도 하며 연중 가장 큰 명절중의 하나다. 설은 근신(謹愼)한다는 의미를 갖기도 하는데 해가 시작되는 첫날은 모든 말과 행동을 삼가고 지나간 해를 되돌아보며 새해를 맞는 마음의 자세를 새롭게 한다는 의미이다.
2) 풍속
차례(茶禮)
설날 아침에는 일찍이 세찬(歲饌)과 세주(歲酒)를 사당에 진설하고 제사를 지낸다. 설날의 차례는 추석의 차례와 똑같으며 무축단잔(無祝單盞)이라는 것이 기제사와 다르다.
성묘(省墓)
차례를 마치고 조찬을 마친 다음에 조상의 묘를 찾아가 송구영신(送舊迎新)의 인사를 고한다.
세배(歲拜)
차례를 마치면 어른께 세배를 하며, 덕담을 나눈다.
세찬·세주(歲饌·歲酒)
세찬(歲饌)이란 설날의 음식을 총칭하며 세배하러온 손님에게 반드시 이 세찬(歲饌)을 대접하는데 떡국이 따른다. 또한 이때 내어놓는 술을 세주(歲酒)라고 한다.
2. 정월 대보름
1) 유래
대보름은 그해 맨 먼저 보름이 되는 날로서 한자로는 상원(上元, 으뜸 되는 밤)이라고하며 우리나라 전체 세시풍속 행사 중 5분의1이 넘는 행사가 집중 될 만큼 중요한 날이다. 이 날은 동제나 줄다리기 등 뜻이 깊고 대형적인 행사들이 많이 개최되는데 이는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우리 민족이 대보름을 풍요의 원점으로 삼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2) 풍속
부럼과 귀밝이술(茶禮)
정월 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밤, 잣, 호두, 은행 등을 소리나게 깨물어 먹으면 1년 동안 이가 강해지고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를『부럼이라 하며,『귀밝이술이라 하여 보름날 아침에 청주(淸酒)를 데우지 않고 마시기도 하는데 이렇게 하면 귀가 밝아지고 귓병이 생기지 않으며 일년 내내 좋은 소식만 있다고 한다.
오곡밥(省墓)
다섯 가지 이상의 곡식(쌀, 보리, 콩, 조, 기장)을 섞어 지은 밥을 나누어 먹었으며 세 집 이상의 타성 집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아진다고 전해온다.
보름나물(묵은나물)
호박고시, 무고시, 외고시, 가지나물, 버섯고사리 등 여름에 말려둔 나물을 삶아 먹는데 이를 진채식(陣菜食)이라고도 한다. 대보름날 이를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하였다.
달맞이
저녁 달이 동쪽에서 솟아오를 때 달맞이하며 햇불을 땅에

키워드

절기,   세시풍속,   24절기,   우수,   동지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0.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65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