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9장 과학 혁명과 계몽주의
1. 과학 혁명
2. 계몽주의의 기반
3. 계몽 사상가들의 세계
4. 과학의 진보
5. 고전주의, 그리고 예술과 문학의 혁신
6. 바로크와 고전음악
1. 과학 혁명
2. 계몽주의의 기반
3. 계몽 사상가들의 세계
4. 과학의 진보
5. 고전주의, 그리고 예술과 문학의 혁신
6. 바로크와 고전음악
본문내용
종두의 발전이었다. 예방 접종의 실시에 큰 기여를 한사람은 미국의 코튼 매터였으며, 1796년 영국인 에드워드 제너는 “종두법”을 도입하였다.
5. 고전주의, 그리고 예술과 문학의 혁신
예술 경향에 미친 다양한 영향 : 17세기말과 18세기의 예술 운동은 과학 혁명과 계몽주의 정신 뿐 만 아니라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받았다. 즉 각국의 양식상의 전통, 종교적 요구, 정치사회적 맥락의 차이, 그리고 이에 못지 않는 특정 창조적 분야에서 전개된 예술적 발전의 내적 역동성 등이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이다.
프랑스의 고전주의 : 1600년경과 18세기 초 사이에 유럽 예술의 주된 양식은 바로크였다. 이 양식은 에스파냐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조의 취향에 따른 것이었다. 이들 국가와 계속적인 대립 상태 있었던 프랑스는 자신의 정치적 경쟁자들의 예술 양식을 모방하여 문화적 열등성을 인정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으므로 화려한 바로크 대신 절제된 고전주의를 추구하였다. 대표적 예론느 17세기 프랑스의 화가 푸생(1594-1665)이 있다.
루이 14세와 고전주의 : 고전주의는 루이 14세(1651-1715)의 치세 동안 프랑스의 주된 양식으로 자리 잡았는데, 그 이유로 첫째, 루이 14세는 국가적 이유 때문에 프랑스 자체의 특징적인 양식을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둘째, 루이 자신이 웅장하면서도 수수한 양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고전주의에 나타나는 균형 감각이 당시 데카르트주의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이 제시한 고도로 균형 잡힌 자연 질서와 가장 잘 어울렸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베르사유에 궁전을 세웠을 때 바로크적 경향이 도입되었지만 매우 절제되어 있었다.
프랑스 고전주의 문학 : 코르네유(1606-1684)와 라신(1639-1699)의 비극에서 잘 나타나는데, 이들은 고전 고대의 신화와 역사에 등장한 영웅과 여걸들을 주제로 삼았고, 고전기 그리스의 비극 작가들의 이론과 구성 원리를 모방하려 하였다. 프랑스 희극의 최고 거장 몰리에르(1622-1673)는 로마 시대의 테렌티우스와 플라우투스의 희극을 모델로 삼았으며, 등장 인물들이 가운을 지닌 대구로 말할 정도로 균형을 강조하는 형식주의에 경도되어 있었다. 그는 현재의 시점에서 작품을 썼다.
네덜란드의 예술과 영국의 건축 : 네덜란드와 영국은 프로테스탄트 국가였기 때문에 로마와 카톨릭을 믿는 에스파냐령 네덜란드로부터 나오는 바로크의 영향을 당연히 제한하려 하였다. 화가 베르메르(1632-1675)등의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유행한 다른 대부분의 장르들에서 바로크풍을 배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국 역시 카톨릭에 경도된 찰스 1세 통치 기간에 바로크 양식이 잠시 유행한 후로 주된 예술 양식은 고전주의적 절제가 되었다. 워렌(1632-1723)은 성바울 성당건축당시 일부 바로크적 요소를 도입했지만, 기둥과 지붕에서 고전주의를 강조하였다. 18세기 전반의 영국 건축을 주도한 “팔라디오 양식의 부할”에서 고전주의적 경향은 한층 강렬했다.
영문학의 황금 시대 : 1660-1760년 사이의 작가들은 그들 스스로를 “아우구스투스 시대인”이라 불렀다. 여기에는 두가 지 이유가 잇는데 먼저 영국 혁명에 뒤이은 1660년의 왕정복고는 고대 로마의 아우구스투스가 내란을 끝내고 연 형화와 정중함의 시대와 같은 조건을 보여준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둘째, 이 시대 영국문인들은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로마인들의 시 양식을 좋아했기 때문이다. 17세기 말에 이르러 영문학이 고전주의적 취향을 강하게 띠게된 또 다른 이유는 루이 14세 시대에 프랑스가 유럽의 예술적 유향을 주도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영국은 이러한 프랑스의 주도권을 뒤
5. 고전주의, 그리고 예술과 문학의 혁신
예술 경향에 미친 다양한 영향 : 17세기말과 18세기의 예술 운동은 과학 혁명과 계몽주의 정신 뿐 만 아니라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받았다. 즉 각국의 양식상의 전통, 종교적 요구, 정치사회적 맥락의 차이, 그리고 이에 못지 않는 특정 창조적 분야에서 전개된 예술적 발전의 내적 역동성 등이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이다.
프랑스의 고전주의 : 1600년경과 18세기 초 사이에 유럽 예술의 주된 양식은 바로크였다. 이 양식은 에스파냐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조의 취향에 따른 것이었다. 이들 국가와 계속적인 대립 상태 있었던 프랑스는 자신의 정치적 경쟁자들의 예술 양식을 모방하여 문화적 열등성을 인정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으므로 화려한 바로크 대신 절제된 고전주의를 추구하였다. 대표적 예론느 17세기 프랑스의 화가 푸생(1594-1665)이 있다.
루이 14세와 고전주의 : 고전주의는 루이 14세(1651-1715)의 치세 동안 프랑스의 주된 양식으로 자리 잡았는데, 그 이유로 첫째, 루이 14세는 국가적 이유 때문에 프랑스 자체의 특징적인 양식을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둘째, 루이 자신이 웅장하면서도 수수한 양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고전주의에 나타나는 균형 감각이 당시 데카르트주의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이 제시한 고도로 균형 잡힌 자연 질서와 가장 잘 어울렸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베르사유에 궁전을 세웠을 때 바로크적 경향이 도입되었지만 매우 절제되어 있었다.
프랑스 고전주의 문학 : 코르네유(1606-1684)와 라신(1639-1699)의 비극에서 잘 나타나는데, 이들은 고전 고대의 신화와 역사에 등장한 영웅과 여걸들을 주제로 삼았고, 고전기 그리스의 비극 작가들의 이론과 구성 원리를 모방하려 하였다. 프랑스 희극의 최고 거장 몰리에르(1622-1673)는 로마 시대의 테렌티우스와 플라우투스의 희극을 모델로 삼았으며, 등장 인물들이 가운을 지닌 대구로 말할 정도로 균형을 강조하는 형식주의에 경도되어 있었다. 그는 현재의 시점에서 작품을 썼다.
네덜란드의 예술과 영국의 건축 : 네덜란드와 영국은 프로테스탄트 국가였기 때문에 로마와 카톨릭을 믿는 에스파냐령 네덜란드로부터 나오는 바로크의 영향을 당연히 제한하려 하였다. 화가 베르메르(1632-1675)등의 17세기 네덜란드에서 유행한 다른 대부분의 장르들에서 바로크풍을 배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국 역시 카톨릭에 경도된 찰스 1세 통치 기간에 바로크 양식이 잠시 유행한 후로 주된 예술 양식은 고전주의적 절제가 되었다. 워렌(1632-1723)은 성바울 성당건축당시 일부 바로크적 요소를 도입했지만, 기둥과 지붕에서 고전주의를 강조하였다. 18세기 전반의 영국 건축을 주도한 “팔라디오 양식의 부할”에서 고전주의적 경향은 한층 강렬했다.
영문학의 황금 시대 : 1660-1760년 사이의 작가들은 그들 스스로를 “아우구스투스 시대인”이라 불렀다. 여기에는 두가 지 이유가 잇는데 먼저 영국 혁명에 뒤이은 1660년의 왕정복고는 고대 로마의 아우구스투스가 내란을 끝내고 연 형화와 정중함의 시대와 같은 조건을 보여준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둘째, 이 시대 영국문인들은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로마인들의 시 양식을 좋아했기 때문이다. 17세기 말에 이르러 영문학이 고전주의적 취향을 강하게 띠게된 또 다른 이유는 루이 14세 시대에 프랑스가 유럽의 예술적 유향을 주도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영국은 이러한 프랑스의 주도권을 뒤
키워드
추천자료
러시아 혁명의 배경 - 1905년 혁명을 중심으로
[영국청교도혁명][영국명예혁명][미국독립혁명][프랑스혁명][중국신해혁명]영국청교도혁명, ...
[정보혁명][정보][혁명][교육][데이터압축기술][정보상품][전자도서관][물류]정보혁명의 경향...
[정보혁명의 의의][정보혁명의 구조적 배경][정보혁명의 구성][정보혁명의 정책과제][정보혁...
[정보혁명][정보혁명 발달][정보혁명 쟁점][정보혁명 전망][정보혁명 시사점]정보혁명의 개념...
[가치혁명, 가치혁명 특성, CEO가치혁명 특성, 가치혁명 필요성, CEO가치혁명 필요성]가치혁...
[4 19의거][4 19혁명]4 19의거(4 19혁명)의 의의, 동인, 4 19의거(4 19혁명)의 경과, 4 19의...
4 19혁명(4 19의거)의 특징, 의의, 4 19혁명(4 19의거)의 요인, 4 19혁명(4 19의거)의 대상, ...
[4 19혁명]4 19혁명(4 19의거)의 의미, 필요성, 4 19혁명(4 19의거)의 배경, 4 19혁명(4 19의...
신해혁명(辛亥革命) - 중국의 근대화 운동 (양무운동 , 변법자강운동) 신해혁명 (손문의 삼민...
68혁명의 배경과 시작, 노학연대 갈등과 와해,68 혁명과 노동자 참여,파편화된 저항,68의 문...
[4차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의 현황과 전망 ; 4차 산업혁명의 특징 분석
공통교양=다국적기업론=4차 산업혁명의 의미를 밝히고 4차 산업혁명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다국적기업론] 4차 산업혁명의 의미를 밝히고 4차 산업혁명이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어떠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