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본문
1. 경극이란
2. 경극의 유래
3. 경극연기의 상징화
4. 경극의 연출
5. 경극의 음악과 대사
6. 경극의 무대 - 소도구
7. 경극의 배역
8. 경극의 분장
9. 경극의 의상
10. 주요 경극 작품
11. 경극의 4대 명단
나오는말
참고문헌
본문
1. 경극이란
2. 경극의 유래
3. 경극연기의 상징화
4. 경극의 연출
5. 경극의 음악과 대사
6. 경극의 무대 - 소도구
7. 경극의 배역
8. 경극의 분장
9. 경극의 의상
10. 주요 경극 작품
11. 경극의 4대 명단
나오는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성을 띤 극의 종류로 전신은 휘조(안휘성에서 유행되던 곡조)인데 통칭 피황극이라 부른다. 한때 평극이라고도 불렀다가 후에 경극으로 고쳤는데 약 200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청조 건륭 시기에 휘조가 북경에 진입해 곤강(하북 북경 일대에 유행했던 곡조)과 진강(진섬서성 일대에 유행했던 곡조)의 극내용, 음악곡조, 표현방법 등에서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발전한 것이다. 표현면에서 춤과 노래가 동시에 진행되고 기교가 있으며 허의성의 동작을 많이 사용하여 강렬한 인상을 준다. 경극은 극본 연기 음악 노래 소도구 분장 의상 등의 예술적 요소를 다채롭게 결합한 총체적 예술인 동시에, 서양의 공연예술과는 달리 이러한 다양한 예술적인 요소를 사실적이 아닌 상징적 원리 아래 세련시켰다는 점에서 최고의 약속적 예술이라고 볼 수 있다. 중국에서는 경극을 희곡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관극하는 것을 청희라고 한다. 이것은 보는 것 못지않게 듣는 것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희곡은 극도로 양식화되어 있고 지키고 따라야 할 요소가 많다. 우선 창(노래), 과(연기), 백(대사)의 삼위일체를 요구하면서 춤이 곁들여지는 것이 특징이다. 경극은 중국의 전통적인 음악, 노래, 낭독, 춤, 서커스, 무술 등을 교묘하게 융합시킨 것으로서 서양의 노래, 춤, 연극이 각각 분리되어 있는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따라서 경극은 중국 고유의 전통적인 종합무대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2. 경극의 유래는?
경극의 기원에 대해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다만 청나라 건륭 55년(1790) 건륭 황제의 탄생 80년을 맞아 4대 휘반(안휘성, 강소성, 절강성, 강서성에서 유행한 지방극)이 안휘성으로부터 북경에 들어와 새로운 형태의 연극으로 태어나 북경 관중들의 절찬을 받았고 이후에도 계속 북경에 남아 발전하게 되었다는 설이 가장 믿을만하다. 즉, 경극의 형성과정은 2백년 전인 건륭 55년(1790) 황제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하여 이황조를 위주 로 한 안휘성의 극 공연팀이 보내졌는데 건륭 44년(1779)에 또다시 천파라는 섬서의 극이 북경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삼경반의 원명은 삼경휘인데 휘는 이 극의 근거지가 안휘에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극의 중요한 지지자들도 안휘사람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도백은 음악성을 가지고 있어 노래, 행동, 도백, 서로 싸우는 무술장면 등이 경극의 예술성을 띠고 있어서 각 지역의 극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삼경휘의 명성이 높아지자 건륭 말년에는 사경휘 오경휘 등이 계속 나타나게 되었다. 그 중 이름이 있는 것으로는 사희, 화춘, 춘태, 합삼경인데 이것을 가리켜 사대휘반이라고 한다. 이렇듯 휘반의 유행은 새로운 극종류의 출현을 늦추는 계기가 되었다. 경극이 언제 형성되었는가 하는 문제는 학자들의 견해가 분분하지만 기본적인 표준은 피와 황의 합주 및 노래하고 읊는 음운이 북경화 되었다는데 일치를 보고 있다. 경극의 형성 및 그것의 예술성은 중국 희곡 발전에 큰 기여를 했으며 경극은 희곡예술, 희곡 무대 예술의 우수한 성과의 집대성이라고 하겠다. 경극을 \"동방가극\"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경극과 가극은 노래, 춤, 음악, 미술, 문학 등이 일체된 특수극 형식이며 형식상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각각 서로 다른 문화 배경 속에서 경전적인 지위를 획득했다.
3. 경극연기의 상징화
경극의 연기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일상생활의 모든 활동은 무대위에서 재현될 수 없는 것이기에, 경극에서는 표현을 상징적 방법으로 처리한다. 그러므로 어떤 신체동작은 문을 열거나 닫는 동작을 의미하고, 방으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동작, 또는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가는 동작을 의미하는가 하면, 산을 오르거나 강을 건너가는 동작을 의미하기도 한다. 채찍을 가지고 원을 그리며 도는 것은 말을 타는 모습이다. 마차를 타는 모습은 한 종자가 또 다른 배우의 양쪽에 바퀴가 그려진 깃발을 드는 것으로 표현한다. 원을 그리며 걷는 것은 긴 여행을 의미하며, 네 명의 병사와 네 장수가 무대 양쪽에 횡렬로 서면 수천의 강한 군대를 나타낸다. 두 사람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재주부리기를 하면 어둠속에서 더듬으며 싸우는 것이다. 빈 무대 위에서 배우가 무릎을 꿇은 채 노를 가지고 큰 파도를 헤쳐나가는 듯한 시늉을 하면 이것은 배를 타고 가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근대연극에서 쓰이는 장치는 배우의 연기를 제한할 뿐이여서 경극에선 소용이 없다. 전적으로 배우의 연기로 제시되며, 그것은 사건이 벌어지고 있는 장소를 자유자재로 관객의 상상의 장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렇듯 하나의 장면은 새들이 하늘에서 노래하는 광대한 평원일 수 있으며, 물고기들이 헤엄쳐 노는 넓은 호반일 수가 있다. 모든 것이 관객의 마음의 눈에 비쳐지는 무대인 것이다. 무대동작은 노래대사음악반주에 맞추어 춤과 같은 움직임으로 양식화된다. 극히 추상적이나, 의미 있는 표현 양식을 통해 관객은 무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무대란 어떤 의미에서 장치배경막소품들에 의하지 않음으로써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경극에는 무대장치가 없으며 몇 개의 의자 외에는 소도구와 그 밖의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모든 것은 배우의 몸짓, 흉내내기에 의해 표현되며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약속이 있다.
① 문의 빗장을 벗기고 지르는 동작은 집으로의 출입을 뜻한다.
② 걷는 도중에 오른발을 약간 올리는 것은 문지방을 넘는 모습
③ 내방객이 있어 집 안의 사람이 문을 여는 몸짓을 하지 않고 응답하는 것은 객은 아직 밖에 있음을 나타낸다.
④ 허리를 구부리고 옷자락을 손가락으로 잡고 무대를 가로로 종종걸음으로 걷는 것은 계단을 오르고 혹은 내려오는 모습
⑤ 2개의 의자에 양쪽으로 열리는 막을 잡아 매고 그 막을 열고 앞에 책상을 놓으면 관청 또는 제단
⑥ 채찍을 들면 말을 탔음을 뜻한다. 매우 뒤에 양쪽으로 열리는 막을 휘둘러 올리는 것은 가마을 탄 모양, 노에 천을 단 것을 든 사람이 배우의 배후에 딸리면 배를 탄 모습
⑦ 파도를 그린 깃발이 나오면 水上 또는 水中의 상태
⑧ 다색의 긴 머리띠는 병자
⑨ 붉은 천을 얼굴에 늘어뜨리면 죽은 사람
⑩ 검은 비단을 머리에
2. 경극의 유래는?
경극의 기원에 대해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다만 청나라 건륭 55년(1790) 건륭 황제의 탄생 80년을 맞아 4대 휘반(안휘성, 강소성, 절강성, 강서성에서 유행한 지방극)이 안휘성으로부터 북경에 들어와 새로운 형태의 연극으로 태어나 북경 관중들의 절찬을 받았고 이후에도 계속 북경에 남아 발전하게 되었다는 설이 가장 믿을만하다. 즉, 경극의 형성과정은 2백년 전인 건륭 55년(1790) 황제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하여 이황조를 위주 로 한 안휘성의 극 공연팀이 보내졌는데 건륭 44년(1779)에 또다시 천파라는 섬서의 극이 북경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삼경반의 원명은 삼경휘인데 휘는 이 극의 근거지가 안휘에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극의 중요한 지지자들도 안휘사람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도백은 음악성을 가지고 있어 노래, 행동, 도백, 서로 싸우는 무술장면 등이 경극의 예술성을 띠고 있어서 각 지역의 극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삼경휘의 명성이 높아지자 건륭 말년에는 사경휘 오경휘 등이 계속 나타나게 되었다. 그 중 이름이 있는 것으로는 사희, 화춘, 춘태, 합삼경인데 이것을 가리켜 사대휘반이라고 한다. 이렇듯 휘반의 유행은 새로운 극종류의 출현을 늦추는 계기가 되었다. 경극이 언제 형성되었는가 하는 문제는 학자들의 견해가 분분하지만 기본적인 표준은 피와 황의 합주 및 노래하고 읊는 음운이 북경화 되었다는데 일치를 보고 있다. 경극의 형성 및 그것의 예술성은 중국 희곡 발전에 큰 기여를 했으며 경극은 희곡예술, 희곡 무대 예술의 우수한 성과의 집대성이라고 하겠다. 경극을 \"동방가극\"이라 칭하기도 하는데, 경극과 가극은 노래, 춤, 음악, 미술, 문학 등이 일체된 특수극 형식이며 형식상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각각 서로 다른 문화 배경 속에서 경전적인 지위를 획득했다.
3. 경극연기의 상징화
경극의 연기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일상생활의 모든 활동은 무대위에서 재현될 수 없는 것이기에, 경극에서는 표현을 상징적 방법으로 처리한다. 그러므로 어떤 신체동작은 문을 열거나 닫는 동작을 의미하고, 방으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동작, 또는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가는 동작을 의미하는가 하면, 산을 오르거나 강을 건너가는 동작을 의미하기도 한다. 채찍을 가지고 원을 그리며 도는 것은 말을 타는 모습이다. 마차를 타는 모습은 한 종자가 또 다른 배우의 양쪽에 바퀴가 그려진 깃발을 드는 것으로 표현한다. 원을 그리며 걷는 것은 긴 여행을 의미하며, 네 명의 병사와 네 장수가 무대 양쪽에 횡렬로 서면 수천의 강한 군대를 나타낸다. 두 사람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재주부리기를 하면 어둠속에서 더듬으며 싸우는 것이다. 빈 무대 위에서 배우가 무릎을 꿇은 채 노를 가지고 큰 파도를 헤쳐나가는 듯한 시늉을 하면 이것은 배를 타고 가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근대연극에서 쓰이는 장치는 배우의 연기를 제한할 뿐이여서 경극에선 소용이 없다. 전적으로 배우의 연기로 제시되며, 그것은 사건이 벌어지고 있는 장소를 자유자재로 관객의 상상의 장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렇듯 하나의 장면은 새들이 하늘에서 노래하는 광대한 평원일 수 있으며, 물고기들이 헤엄쳐 노는 넓은 호반일 수가 있다. 모든 것이 관객의 마음의 눈에 비쳐지는 무대인 것이다. 무대동작은 노래대사음악반주에 맞추어 춤과 같은 움직임으로 양식화된다. 극히 추상적이나, 의미 있는 표현 양식을 통해 관객은 무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무대란 어떤 의미에서 장치배경막소품들에 의하지 않음으로써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경극에는 무대장치가 없으며 몇 개의 의자 외에는 소도구와 그 밖의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모든 것은 배우의 몸짓, 흉내내기에 의해 표현되며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약속이 있다.
① 문의 빗장을 벗기고 지르는 동작은 집으로의 출입을 뜻한다.
② 걷는 도중에 오른발을 약간 올리는 것은 문지방을 넘는 모습
③ 내방객이 있어 집 안의 사람이 문을 여는 몸짓을 하지 않고 응답하는 것은 객은 아직 밖에 있음을 나타낸다.
④ 허리를 구부리고 옷자락을 손가락으로 잡고 무대를 가로로 종종걸음으로 걷는 것은 계단을 오르고 혹은 내려오는 모습
⑤ 2개의 의자에 양쪽으로 열리는 막을 잡아 매고 그 막을 열고 앞에 책상을 놓으면 관청 또는 제단
⑥ 채찍을 들면 말을 탔음을 뜻한다. 매우 뒤에 양쪽으로 열리는 막을 휘둘러 올리는 것은 가마을 탄 모양, 노에 천을 단 것을 든 사람이 배우의 배후에 딸리면 배를 탄 모습
⑦ 파도를 그린 깃발이 나오면 水上 또는 水中의 상태
⑧ 다색의 긴 머리띠는 병자
⑨ 붉은 천을 얼굴에 늘어뜨리면 죽은 사람
⑩ 검은 비단을 머리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