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대교육>>
1. 고대의 교육
2.고대사회의 교육
<<중세교육>>
1. 중세교육의 개관
2. 기독교의 교육
3. 스콜라 철학과 교육
4. 카알대제의 세속교육
5. 기사도 교육(비교: 화랑도교육)
6. 대학교육
7. 시민교육
<<근세교육>>
1. 문예부흥과 교육(인문주의 교육)
2. 종교개혁과 교육
3. 실학주의 교육
4. 계몽주의 시대의 교육(18C)
5. 신인문주의 교육
6. 국가주의와 교육
7. 과학적 실리주의와 19세기의 교육사상가
8. 산업혁명과 빈민교육운동
<<현대의 교육>>
1. 현대교육의 특질
2. 신교육운동
3. 새로운 학습방법의 발달
4. 신교육운동의 교육사상가
5. 각국의 현대교육
6. 교육사상가
1. 고대의 교육
2.고대사회의 교육
<<중세교육>>
1. 중세교육의 개관
2. 기독교의 교육
3. 스콜라 철학과 교육
4. 카알대제의 세속교육
5. 기사도 교육(비교: 화랑도교육)
6. 대학교육
7. 시민교육
<<근세교육>>
1. 문예부흥과 교육(인문주의 교육)
2. 종교개혁과 교육
3. 실학주의 교육
4. 계몽주의 시대의 교육(18C)
5. 신인문주의 교육
6. 국가주의와 교육
7. 과학적 실리주의와 19세기의 교육사상가
8. 산업혁명과 빈민교육운동
<<현대의 교육>>
1. 현대교육의 특질
2. 신교육운동
3. 새로운 학습방법의 발달
4. 신교육운동의 교육사상가
5. 각국의 현대교육
6. 교육사상가
본문내용
교구학교, 습자학교, 자선학교
중등학교: 라틴어학교, 아카데미(프랭클린)→ 펜실바니아 대학으로 발전
<<현대의 교육>>
1. 현대교육의 특질
⑴ 교육의 민주화, 교육의 기회균등, 교육의 대중화
⑵ 민주주의 교육사상이 바탕
⑶ 현대교육의 경향: 과학화, 민주화, 전인교육에의 추구
2. 신교육운동
⑴ 신교육운동이란 자유롭게 자기 운명을 개척하는 인간을 양성하는 학교교육의 내용적 운 동이다.
⑵ 신학교: 아보스홈에 설립된 신교육운동의 최초학교(최초의 사람은 데모랑)
⑶ 전원학교: 릿츠가 세움. 환경론에 입각한 실과적 교육과정
교훈→ 빛, 사랑, 삶에 충실하자
⑷ 노작학교: 케르셴슈타이너, 노작교육
⑸ 평화의 집: 타골르, 아동은 자연을 벗삼아 숲에서 자유로운 생활과 학습
⑹ 아동의 집: 몬테소리. 빈민자제교육
⑺ 실험학교: 듀이가 시카고 대학에서 세운학교
⑻ 지역사회학교: 올센『학교와 지역사회』
학구적 학교→ 진보적 학교→ 지역사회학교
⑼ 닐의 섬머힐학교
3. 새로운 학습방법의 발달
⑴ 달톤 플랜
① 파커스트여사
② 자유와 협동을 통한 자율적 개별적 학습방법
③ 한정된 시간에 학습자 스스로가 시간에 구애없이 실험 연구
④ 과제 학습 후 시험부과하여 진급여부 결정
⑵ 위네스카 시스템
① 워시 번
② 학생 개인차에 따라 개별지도를 시행한 교수체제의 일종
③ 공통 기본과목과 창조적 활동의 두 영역으로 나눔. 기본 과목은 교과서에 의해 교육
④ 학년단계 없다.
⑤ 교육의 사회화와 개별화 시도한 것으로 무학년제에 영향을 줌
⑶ 몬테소리법
① 몬테소리
② 근본원리: 자유, 정리된 환경, 감각교육의 중시
⑷ 구안법
① 킬패트릭
② 주입식교육배제→ 자발적 능동적 학습활동 추구
③ 학생 스스로가 계획 구안하여 문제 해결에 대한 실천을 통해서 지식과 경험을 종합적으 로 획득하며, 현실적인 실제적 생활이나 생활호나경 속에서 전개시키는 방법
⑸ 문제 해결법: 반성적 사고과정 중시
4. 신교육운동의 교육사상가
⑴ 엘렌키
① 개인주의, 자유주의, 자연주의 교육사상가
② 교육의 비결은 교육하지 않는데 있으며 주지주의 교육은 정신적 살인이다.
③ 아동의 세기
④ 결혼을 교육의 입장에서 규제하려함
⑤ 신루소주의, 아동중심주의
⑵ 몬테소리
① 케이 굳리트 중심의 자유주의 교육에서 영향 받음
② 몬테소리법: 유아교육에 공헌
5. 각국의 현대교육
⑴ 미국
① 목적: 단선형 학제 가운데 중등교육 충실히 하며 대학 교육의 수준을 높이는데 목적 둠
⑵ 영국
① 1차세계대전 이후의 교육: 초등교육법 성안, 적극적 초등교육정책, 중등교육개방
② 2차세계대전 이후의 교육: 중등교육의 보편화
⑶ 프랑스
① 랑쥬벵안: 역사적 현실적 입장에서 교육문제 분석. 교육개혁의 기본이념 명시
② 베르뜨웽 개정안: 의무교육의 연장을 규정한 대통력 포고령
프랑스의 세대별 교육법안
18세기: 콩도르세안→ 교육의 기회균등(무차별)
교육의 자주성(종교(교회)로부터 간섭배제)
나폴레옹안: 중등교육에 관심. 중앙집권적
라사로테안, 디드로안, 탈레이랑안
19세기: 귀조안, 페리안
20세기: 베르뜨웽안, 랑쥬벵안
6. 교육사상가
⑴ 듀이
① 업적: 미국진보주의 교육의 제일인자. 아동중심교육을 강조(루소 자연주의 수용)
② 교육목표: 전인교육
③ 특징: ㉠ 물리학적 사회학적 교육→ 진화론 수용
㉡ 사회축도로서의 교육. 아동중심적 교육
④ 학습방법: 행함으로 배운다. 흥미중심훈련 강조. 반성적 사고
교육방법과 교재는 경험에서 분류되는 것이므로 일원적이다.
⑤ 듀이사상종합→ 프레이저와 아망드로『교육입문서』
㉠ 교육은 생활이다. ㉡ 교육은 성장이다. ㉢ 교육은 계속적인 경험의 재구성이다.
㉣ 교육은 사회적 과정이다.
⑥ 저서: 『학교와 사회』→ 교육이념, 『나의 교육신조』→ 처녀작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사상집대성, 『경험과 교육』
⑵ 킬패트릭
① 진보주의 교육사상가. PEA조직
② \"민주주의 전신\" 편집인
③ 교유사상: 교육이 곧 생활이고 생활이 곧 교육
④ 교육목적: 전인교육
⑤ 교육방법: 구안법
⑥ 저서: 구안법, 방법의 기초, 민주주의를 위한 집단교육
⑦ 학습의 구분
㉠ 동시학습: 동시에 많은 종류의 학습이 행하여 지는 것
㉡ 기본학습: 소정의 학습 장면에 있어서 특정의 지식을 정리하는 것
㉢ 연합학습: 학습과정 중 우연히 얻어진 지식이 기본학습에 관련하여 나타나는 학습
⑶ 나토르프
① 기초사상: 플라톤의 이념, 비판 철학, 페스탈로찌의 교육연구
② 의지적 사회적 교육학 주장
③ 이상적 사회적 교육설 주장→ 사람은 오직 사회를 통해서 사람이 된다.
④ 의지 활동의 단계는 충동의지→ 이성의지→ 완전한 자아의식에 도달
⑷ 케르셴슈타이너
① 노작교육사상가이며 통일학교 사상의 대표자
② 국가시민교육(공민교육) 주장
⑸ 슈프랑거
① 문화적 교육사상가: 신인문주의의 도야적 문화교육관에 사상기초 둠
② 교육이란 양육, 문화재전달 내면성을 자각케 하는 것
③ 정신생활의 가치유형: 이론형(眞), 경제형(利), 심미형(美), 사회형(善), 권력형(力), 종교 형(聖)
④ 교육의 개념을 도야의 개념으로 봄
도야의 단계: 기초적→ 전문적→ 일반적 도야
⑤ 저서: 생활양식, 청년기의 심리학, 교사양성에 관한 사항, 문화화 교양
⑹ 베르게만
① 독일의 사회적 교육힉지
② 개인에 대한 사회의 우위성 주장
③ 경험과학적 귀납법으로 생물학을 기초로함
④ 저서: 사회적 교육학
⑺ 오이켄
① 정신생활교육 주장. 절대적 인격주의자
⑻ 딜타이
① 문화적 교육힉 주장
② 무의도적 교육 중시: 인간은 자연의 학생이고 지구는 인루의 학교이다.
⑼ 크리크
① 현상학적 교육사상가
② 사람을 깨우쳐주는 모든 것은 교사이고, 사람을 깨우쳐주는 모든 활동은 교육이다. 그리 고 인간형성에 영향을 주는 모든 것은 교육자이다.
③ 교육을 사회생활의 근본기능으로 사회의 동화작용으로 보았다.
④ 저서: 『문화민족의 교화조직』『인간형성』『비교철학』
『문화민족의 교화조직』『인간형성』은 비교교육학의 새분야
중등학교: 라틴어학교, 아카데미(프랭클린)→ 펜실바니아 대학으로 발전
<<현대의 교육>>
1. 현대교육의 특질
⑴ 교육의 민주화, 교육의 기회균등, 교육의 대중화
⑵ 민주주의 교육사상이 바탕
⑶ 현대교육의 경향: 과학화, 민주화, 전인교육에의 추구
2. 신교육운동
⑴ 신교육운동이란 자유롭게 자기 운명을 개척하는 인간을 양성하는 학교교육의 내용적 운 동이다.
⑵ 신학교: 아보스홈에 설립된 신교육운동의 최초학교(최초의 사람은 데모랑)
⑶ 전원학교: 릿츠가 세움. 환경론에 입각한 실과적 교육과정
교훈→ 빛, 사랑, 삶에 충실하자
⑷ 노작학교: 케르셴슈타이너, 노작교육
⑸ 평화의 집: 타골르, 아동은 자연을 벗삼아 숲에서 자유로운 생활과 학습
⑹ 아동의 집: 몬테소리. 빈민자제교육
⑺ 실험학교: 듀이가 시카고 대학에서 세운학교
⑻ 지역사회학교: 올센『학교와 지역사회』
학구적 학교→ 진보적 학교→ 지역사회학교
⑼ 닐의 섬머힐학교
3. 새로운 학습방법의 발달
⑴ 달톤 플랜
① 파커스트여사
② 자유와 협동을 통한 자율적 개별적 학습방법
③ 한정된 시간에 학습자 스스로가 시간에 구애없이 실험 연구
④ 과제 학습 후 시험부과하여 진급여부 결정
⑵ 위네스카 시스템
① 워시 번
② 학생 개인차에 따라 개별지도를 시행한 교수체제의 일종
③ 공통 기본과목과 창조적 활동의 두 영역으로 나눔. 기본 과목은 교과서에 의해 교육
④ 학년단계 없다.
⑤ 교육의 사회화와 개별화 시도한 것으로 무학년제에 영향을 줌
⑶ 몬테소리법
① 몬테소리
② 근본원리: 자유, 정리된 환경, 감각교육의 중시
⑷ 구안법
① 킬패트릭
② 주입식교육배제→ 자발적 능동적 학습활동 추구
③ 학생 스스로가 계획 구안하여 문제 해결에 대한 실천을 통해서 지식과 경험을 종합적으 로 획득하며, 현실적인 실제적 생활이나 생활호나경 속에서 전개시키는 방법
⑸ 문제 해결법: 반성적 사고과정 중시
4. 신교육운동의 교육사상가
⑴ 엘렌키
① 개인주의, 자유주의, 자연주의 교육사상가
② 교육의 비결은 교육하지 않는데 있으며 주지주의 교육은 정신적 살인이다.
③ 아동의 세기
④ 결혼을 교육의 입장에서 규제하려함
⑤ 신루소주의, 아동중심주의
⑵ 몬테소리
① 케이 굳리트 중심의 자유주의 교육에서 영향 받음
② 몬테소리법: 유아교육에 공헌
5. 각국의 현대교육
⑴ 미국
① 목적: 단선형 학제 가운데 중등교육 충실히 하며 대학 교육의 수준을 높이는데 목적 둠
⑵ 영국
① 1차세계대전 이후의 교육: 초등교육법 성안, 적극적 초등교육정책, 중등교육개방
② 2차세계대전 이후의 교육: 중등교육의 보편화
⑶ 프랑스
① 랑쥬벵안: 역사적 현실적 입장에서 교육문제 분석. 교육개혁의 기본이념 명시
② 베르뜨웽 개정안: 의무교육의 연장을 규정한 대통력 포고령
프랑스의 세대별 교육법안
18세기: 콩도르세안→ 교육의 기회균등(무차별)
교육의 자주성(종교(교회)로부터 간섭배제)
나폴레옹안: 중등교육에 관심. 중앙집권적
라사로테안, 디드로안, 탈레이랑안
19세기: 귀조안, 페리안
20세기: 베르뜨웽안, 랑쥬벵안
6. 교육사상가
⑴ 듀이
① 업적: 미국진보주의 교육의 제일인자. 아동중심교육을 강조(루소 자연주의 수용)
② 교육목표: 전인교육
③ 특징: ㉠ 물리학적 사회학적 교육→ 진화론 수용
㉡ 사회축도로서의 교육. 아동중심적 교육
④ 학습방법: 행함으로 배운다. 흥미중심훈련 강조. 반성적 사고
교육방법과 교재는 경험에서 분류되는 것이므로 일원적이다.
⑤ 듀이사상종합→ 프레이저와 아망드로『교육입문서』
㉠ 교육은 생활이다. ㉡ 교육은 성장이다. ㉢ 교육은 계속적인 경험의 재구성이다.
㉣ 교육은 사회적 과정이다.
⑥ 저서: 『학교와 사회』→ 교육이념, 『나의 교육신조』→ 처녀작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사상집대성, 『경험과 교육』
⑵ 킬패트릭
① 진보주의 교육사상가. PEA조직
② \"민주주의 전신\" 편집인
③ 교유사상: 교육이 곧 생활이고 생활이 곧 교육
④ 교육목적: 전인교육
⑤ 교육방법: 구안법
⑥ 저서: 구안법, 방법의 기초, 민주주의를 위한 집단교육
⑦ 학습의 구분
㉠ 동시학습: 동시에 많은 종류의 학습이 행하여 지는 것
㉡ 기본학습: 소정의 학습 장면에 있어서 특정의 지식을 정리하는 것
㉢ 연합학습: 학습과정 중 우연히 얻어진 지식이 기본학습에 관련하여 나타나는 학습
⑶ 나토르프
① 기초사상: 플라톤의 이념, 비판 철학, 페스탈로찌의 교육연구
② 의지적 사회적 교육학 주장
③ 이상적 사회적 교육설 주장→ 사람은 오직 사회를 통해서 사람이 된다.
④ 의지 활동의 단계는 충동의지→ 이성의지→ 완전한 자아의식에 도달
⑷ 케르셴슈타이너
① 노작교육사상가이며 통일학교 사상의 대표자
② 국가시민교육(공민교육) 주장
⑸ 슈프랑거
① 문화적 교육사상가: 신인문주의의 도야적 문화교육관에 사상기초 둠
② 교육이란 양육, 문화재전달 내면성을 자각케 하는 것
③ 정신생활의 가치유형: 이론형(眞), 경제형(利), 심미형(美), 사회형(善), 권력형(力), 종교 형(聖)
④ 교육의 개념을 도야의 개념으로 봄
도야의 단계: 기초적→ 전문적→ 일반적 도야
⑤ 저서: 생활양식, 청년기의 심리학, 교사양성에 관한 사항, 문화화 교양
⑹ 베르게만
① 독일의 사회적 교육힉지
② 개인에 대한 사회의 우위성 주장
③ 경험과학적 귀납법으로 생물학을 기초로함
④ 저서: 사회적 교육학
⑺ 오이켄
① 정신생활교육 주장. 절대적 인격주의자
⑻ 딜타이
① 문화적 교육힉 주장
② 무의도적 교육 중시: 인간은 자연의 학생이고 지구는 인루의 학교이다.
⑼ 크리크
① 현상학적 교육사상가
② 사람을 깨우쳐주는 모든 것은 교사이고, 사람을 깨우쳐주는 모든 활동은 교육이다. 그리 고 인간형성에 영향을 주는 모든 것은 교육자이다.
③ 교육을 사회생활의 근본기능으로 사회의 동화작용으로 보았다.
④ 저서: 『문화민족의 교화조직』『인간형성』『비교철학』
『문화민족의 교화조직』『인간형성』은 비교교육학의 새분야
추천자료
[몬테소리교육][몬테소리교육이론][몬테소리교육프로그램][몬테소리교육방법]몬테소리교육이...
[미국교육개혁][미국교육제도][미국교육과정][미국교육철학]미국교육의 목표, 미국교육의 제...
[기독교교육][기사도교육][시민교육]중세의 기독교교육, 중세의 기사도교육, 중세의 카알대제...
[프레이리][프레이리교육철학][프레이리교육사상][의식화교육][대화의교육][해방의교육]프레...
고등학교 진로교육(진로지도), 고등학교 직업교육(직업지도), 고등학교 철학교육, 고등학교 ...
몬테소리 유아교육(생애와 업적, 교육철학, 교육내용, 교육방법, 일반유치원과차이, 교사역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 사상가들의 이상과 현실 - 서양교육사(로크, 바제도우, 슈타이너)...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4C) 유아교육기관장으로서의 기관 설립 및 운영 철학에 대한 논의(교육...
(교육철학 및 교육사 - 제1차 연구과제) 이상주의 - 이상주의 교육사상의 관점에서 역사교육...
(교육철학 및 교육사 - 제2차 연구과제) 실재주의(Realism) - 실재주의 교육사상이 교육에 미...
교육철학 - 교육철학의 사상가와 교육관에 관해
[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 재건주의 교육 - 재건주의 교육이념, 재건주의 교육철학, 재건주...
몬테소리교육 보고서(몬테소리교육철학, 몬테소리교육이론, 몬테소리교육방법, 일반유치원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