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계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 심장 이란?
- 심장의 특징
- 심방자극전도계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흥분전도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흥분전도 기능의 전체를 자극전도계라 한다. 그럼 지금부터 자극 전도계에 대해 알아보자.
1) 동방결절
자극전도의 발생이 시작되는 부위로 상대정맥이 개구되는 오른 심방의 벽에 국한해서 존재하는 특수한 심장섬유의 작은 집단이다. 이렇게 발생한 흥분은 오른 심방, 왼 심방과 방실결절로 전달된다.
2) 방실결절, 방실다발
방실결절은 오른 심방의 관상정맥동이 개구하는 부위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방실결절에서 시작된 굵은 섬유다발을 방실다발이라 하며 방실다발은 아래로 연장되면서 두 개의 가지로 갈라진다.
3) 푸르키니에 섬유
두개로 갈라진 방실다발은 심실중격의 양쪽벽을 따라 심장 끝까지 내려간 후 다시 가는 섬유다발이 되어 심실 근육 층의 내면에 그물처럼 분포한다. 이와 같이 심실에 분포되어 있는 망상의 심근섬유를 푸르키니에 섬유라 한다.
이와 같이 동방결절에서 시작된 흥분이 자극 전도계를 통하여 모든 심장근육을 수축시키며 이러한 자극 전도계는 심장에서 작은 전류를 발생시켜 신체의 표면까지 이르게 된다. 병원에서 심장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시행하는 심전도 검사는 심근이 수축할 때 발생하는 흥분을 전압계를 사용하여 신체의 표면에서 얻어내는 검사방법이다.
3. 결론 (느낀점)
생각보다 광범위한 작은 물체라서 자료는 너무나도 많았으나 다 적어내리지 못해 아쉬웠다. 내 생명과 관련된 장기라 그랬는지 더 애정이 갔던 파트였던 것 같다. 시험 볼 때도 가장 많이 이해되었고 나름 모식도도 잘 그릴 수 있었고……. 사람의 신체는 참으로 신기하다는 것을 느꼈다. 이 작고 작은 주먹만 한 것이 나의 생명을 손에 쥐고 있으며 너무나도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심장이 대단하게 느껴졌다. 분명 심장뿐만 아니라 다른 장기들도 너무나도 신비하고 엄청나다는 것을 알겠지만 그래도 나는 펄떡펄떡 거리며 뛰는 심장이 너무나도 매력 있는 장기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4. 참고문헌
- http://100.naver.com/100.nhn?docid=103221 (네이버 지식인)
- 해부생리학 책 P. 198 / P. 191 / P.203
-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0239600 네이버 백과사전
- http://www.koreapediatrics.com/ency/chp11/photo/anatomy_of_heart_2-1s.jpg
(구글 심장 이미지)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0.28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4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