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적공사의 개요
2. 벽돌구조
3. 벽돌구조의 장단점
4. 벽돌의 강도 및 흡수율
5. 벽돌공사
6. 벽돌제품
7. 벽돌 마름질
8. 벽돌쌓기 기준량
9. 벽돌쌓기 준비
10. 벽돌쌓기법의 종류
11. 벽돌 물 축이기
12. 벽돌쌓기
13. 줄눈 및 치장줄눈
14. 벽돌벽의 구조기준
15. 개구부
16. 기초 쌓기
17. 벽의 홈파기
18. 벽돌벽의 균열원인
19. 벽돌쌓기 시공상의 주의사항
20. 블록공사
21. 블록쌓기의 종류
22. 시멘트블록(Cement Block)제품
23. 블록 쌓기(Block Masonry)
2. 벽돌구조
3. 벽돌구조의 장단점
4. 벽돌의 강도 및 흡수율
5. 벽돌공사
6. 벽돌제품
7. 벽돌 마름질
8. 벽돌쌓기 기준량
9. 벽돌쌓기 준비
10. 벽돌쌓기법의 종류
11. 벽돌 물 축이기
12. 벽돌쌓기
13. 줄눈 및 치장줄눈
14. 벽돌벽의 구조기준
15. 개구부
16. 기초 쌓기
17. 벽의 홈파기
18. 벽돌벽의 균열원인
19. 벽돌쌓기 시공상의 주의사항
20. 블록공사
21. 블록쌓기의 종류
22. 시멘트블록(Cement Block)제품
23. 블록 쌓기(Block Masonry)
본문내용
형식의 블록 장막벽과 조적식 블록조가 주로 사용된다.
21. 블록쌓기의 종류
가) 조적식 블록조
상부의 하중을 받아 기초에 전달하는 내력벽체로, 블록을 단순히 모르타르로 적층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형식이다.
나) 블록 장막벽
철근콘크리트 라멘 구조체의 벽을 단순히 간막이벽으로 쌓는 구조형식으로 실내건축공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형식이다.
다) 보강 블록조
블록의 빈속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보강한 것으로 수직 및 수평하중에 견딜 수 있는 블록구조이다.
라) 거푸집 블록조
블록의 모양이 ㄱ자형, ㄷ자형, T자형 등으로 살 두께가 적고 속이 빈 블록을 의미하며, 이것을 콘크리트조의 거푸집으로 쓰고, 그 안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부어넣어 구성한 구조이다.
22. 시멘트블록(Cement Block)제품
가) 시멘트 블록
시멘트와 골재를 배합하여 가압성형한 후 양생한 것으로 콘크리트 블록 또는 속빈 시멘트 불록이라고 하며 건축물의 내외벽에 사용된다. 시멘트 블록은 형상 및 치수에 따라 기본 블록(BI형, BS형, BM형, 재래형), 이형 블록(인방블록, 창대블록, 창쌤블록 등), 특수블록(거푸집 블록, 포도 블록)으로 구분하고 중량에 따라 중량블록, 일반블록, 경량블록으로 구분하며 강도에 따라 1급, 2급, 3급 블록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기본블록 중 BI형이 주로 사용되며 한국공업구격 KSF 4002에도 BI형만 규정되어 있다.
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ALC 블록)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Autoclaved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Block : ALC Block)은 석회질 원료(시멘트 또는 석회)와 규산질 원료인 고로 슬래그, 규사, 규석 등을 분말상태로 하여 혼합한 것에 적당량의 물 및 기포제, 그리고 혼화재료를 가하여 다공질화한 것을 오토클레이브 양생(고온, 고압에 있어서의 포화 증기양생)에 의하여 충분히 경화시켜 제조한 경
량제품이다. ALC 블록의 특징은 그 중량이 보통 콘크리트의 약 1/4 정도로 가벼워 건물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필요한 크기로 쉽게 절단할 수 있으며, 못 박기 구멍 뚫기 등의 작업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조과정 중 발포된 수많은 미세기포로 인해 단열성 및 차음성이 우수 하며, 수축율 및 팽창율도 적은 우수한 재료이다.
23. 블록 쌓기(Block Masonry)
가) 블록 쌓기 준비
(1) 바탕정리 및 청소
블록 쌓기 바탕 면은 미리 청소하고 우묵한 곳은 모르타르로 채우고 볼록한 곳은 깎아내어 수평지게 고르고 모르타르가 굳은 다음 규준틀을 설치한다.
(2) 규준틀(Gallows) 설치
세로규준틀은 벽체의 모서리와 간막이벽이 되는 곳에 반드시 설치하고, 벽의 길이가 길 때는 중앙부 및 기타 요소에도 설치한다. 세로규준틀은 5㎝각 정도의 뒤틀림이 없는 직선재를 2면 대패질하여 블록줄눈을 명확히 먹매김하고 블록의 단수, 창문틀, 아치, 나무벽돌, 정착철물의 위치 등을 기입한 후 수평규준틀에 의하여 정확히 설치하며, 가새나 버팀대를 사용하여 변형이나 이동이 되지 않도록 튼튼하게 고정한다.
실내건축공사의 비내력벽 쌓기에서는 콘크리트 벽이나 기둥에 벽돌쌓기의 기준이 될 벽돌의 단수, 줄눈의 높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세로규준틀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3) 비계 및 비계발판(Scaffolding Board)
블록쌓기용 비계 및 비계발판의 설치는 비계공사에 준하여 작업에 편리하고 안전하게 설치한다.
<비계발판>
(4) 블록나누기
블록을 벽면에 맞추어 줄눈이 일정하고 가급적 토막블록을 쓰지 않도록 실제로 나란히 배치해 보는 것을 블록나누기라 한다.
나) 조적식 블록 및 장막블록 쌓기
(1) 쌓기 방법
실내건축공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장막블록 쌓기에서는 콘크리트 벽이나 기둥에 블록쌓기의 기준이 도리 블록의 단수, 줄눈의 높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세로규준틀이 필요하지 않거나 기타의 건축행위에서는 규준틀을 설치해야만 한다. 세로규준틀은 벽체의 모서리와 간막이벽 세로규준틀 또는 블록 나누기의 먹매김에 따라 모서리 및 중간부 등 기준이 되는 부분을 먼저 쌓은 다음, 수평실을 치고, 먼저 쌓은 블록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실에 맞추어 모서리부터 순차적으로 쌓는다. 블록은 살 두께가 두꺼운 쪽이 위로 가게하며, 조적식 블록 쌓기의 세로줄눈은 막힌줄눈으로 한다. 블록의 하루 쌓기 높이는 1.5m(7켜) 이내를 표준으로 한다.
(2) 사춤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배합은 밑에 표에 따르고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를 사춤하는 높이는 3켜 이내로 하고, 이어 붓는 위치는 블록의 윗면에서 5cm 정도 밑에 두어 수평줄 눈과 일치되도록 한다. 블록의 이음새 및 블록의 빈속에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때는 가느다란 둥근 막대를 사용하여 틈이 생기지 않게 다지면서 채워 넣는다.
◎ 조적용 사춤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배합비
구분
용도
시멘트
석회
모래
자갈
비고
모르타르
줄눈용
1
1
3
-
줄눈은 가로, 새로 1㎝를 표준으로 함
치장용
1
-
3
-
치장줄눈용
1
-
1
-
콘크리트
사춤용
1
-
2
4
사춤 콘크리트용 자갈 최대지름은 2㎝ 이하
구조용
1
-
2.5
3.5
24. 블록쌓기 시공상의 주의사항
가) 블록을 운반하거나 부리기 할 때는 깨지거나 모서리가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나) 반입된 블록은 즉시 검사하고 검사에 불합격한 블록은 즉시 장외로 반출한다.
다) 블록은 모르타르, 콘크리트의 접착부분에만 적절히 물 축이기를 한다.
라) 하루 쌓는 높이는 1.5m(7켜) 이상으로 하지 않으며 또한 국부적으로 높이 쌓는 것을 피하고 균등한 높이로 쌓는다.
마) 블록쌓기가 끝나면 거적 등을 씌워 보양하고 충격이나, 압력, 진동 등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바) 기타 주의 사항은 벽돌쌓기에 따른다.
◎ 참고문헌
동계조적공사의 시공상 류의사항에 관하여
건설기술연구회 ㆍ 추영수
건축공사 수량산출기준지침서
건설교통부 ㆍ 이유섭
모의 건축공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작업기간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ㆍ 김옥규
건설정보 관리의 효율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ㆍ 김선호
21. 블록쌓기의 종류
가) 조적식 블록조
상부의 하중을 받아 기초에 전달하는 내력벽체로, 블록을 단순히 모르타르로 적층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형식이다.
나) 블록 장막벽
철근콘크리트 라멘 구조체의 벽을 단순히 간막이벽으로 쌓는 구조형식으로 실내건축공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형식이다.
다) 보강 블록조
블록의 빈속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보강한 것으로 수직 및 수평하중에 견딜 수 있는 블록구조이다.
라) 거푸집 블록조
블록의 모양이 ㄱ자형, ㄷ자형, T자형 등으로 살 두께가 적고 속이 빈 블록을 의미하며, 이것을 콘크리트조의 거푸집으로 쓰고, 그 안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부어넣어 구성한 구조이다.
22. 시멘트블록(Cement Block)제품
가) 시멘트 블록
시멘트와 골재를 배합하여 가압성형한 후 양생한 것으로 콘크리트 블록 또는 속빈 시멘트 불록이라고 하며 건축물의 내외벽에 사용된다. 시멘트 블록은 형상 및 치수에 따라 기본 블록(BI형, BS형, BM형, 재래형), 이형 블록(인방블록, 창대블록, 창쌤블록 등), 특수블록(거푸집 블록, 포도 블록)으로 구분하고 중량에 따라 중량블록, 일반블록, 경량블록으로 구분하며 강도에 따라 1급, 2급, 3급 블록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기본블록 중 BI형이 주로 사용되며 한국공업구격 KSF 4002에도 BI형만 규정되어 있다.
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ALC 블록)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Autoclaved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Block : ALC Block)은 석회질 원료(시멘트 또는 석회)와 규산질 원료인 고로 슬래그, 규사, 규석 등을 분말상태로 하여 혼합한 것에 적당량의 물 및 기포제, 그리고 혼화재료를 가하여 다공질화한 것을 오토클레이브 양생(고온, 고압에 있어서의 포화 증기양생)에 의하여 충분히 경화시켜 제조한 경
량제품이다. ALC 블록의 특징은 그 중량이 보통 콘크리트의 약 1/4 정도로 가벼워 건물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고 필요한 크기로 쉽게 절단할 수 있으며, 못 박기 구멍 뚫기 등의 작업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조과정 중 발포된 수많은 미세기포로 인해 단열성 및 차음성이 우수 하며, 수축율 및 팽창율도 적은 우수한 재료이다.
23. 블록 쌓기(Block Masonry)
가) 블록 쌓기 준비
(1) 바탕정리 및 청소
블록 쌓기 바탕 면은 미리 청소하고 우묵한 곳은 모르타르로 채우고 볼록한 곳은 깎아내어 수평지게 고르고 모르타르가 굳은 다음 규준틀을 설치한다.
(2) 규준틀(Gallows) 설치
세로규준틀은 벽체의 모서리와 간막이벽이 되는 곳에 반드시 설치하고, 벽의 길이가 길 때는 중앙부 및 기타 요소에도 설치한다. 세로규준틀은 5㎝각 정도의 뒤틀림이 없는 직선재를 2면 대패질하여 블록줄눈을 명확히 먹매김하고 블록의 단수, 창문틀, 아치, 나무벽돌, 정착철물의 위치 등을 기입한 후 수평규준틀에 의하여 정확히 설치하며, 가새나 버팀대를 사용하여 변형이나 이동이 되지 않도록 튼튼하게 고정한다.
실내건축공사의 비내력벽 쌓기에서는 콘크리트 벽이나 기둥에 벽돌쌓기의 기준이 될 벽돌의 단수, 줄눈의 높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세로규준틀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3) 비계 및 비계발판(Scaffolding Board)
블록쌓기용 비계 및 비계발판의 설치는 비계공사에 준하여 작업에 편리하고 안전하게 설치한다.
<비계발판>
(4) 블록나누기
블록을 벽면에 맞추어 줄눈이 일정하고 가급적 토막블록을 쓰지 않도록 실제로 나란히 배치해 보는 것을 블록나누기라 한다.
나) 조적식 블록 및 장막블록 쌓기
(1) 쌓기 방법
실내건축공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장막블록 쌓기에서는 콘크리트 벽이나 기둥에 블록쌓기의 기준이 도리 블록의 단수, 줄눈의 높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세로규준틀이 필요하지 않거나 기타의 건축행위에서는 규준틀을 설치해야만 한다. 세로규준틀은 벽체의 모서리와 간막이벽 세로규준틀 또는 블록 나누기의 먹매김에 따라 모서리 및 중간부 등 기준이 되는 부분을 먼저 쌓은 다음, 수평실을 치고, 먼저 쌓은 블록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실에 맞추어 모서리부터 순차적으로 쌓는다. 블록은 살 두께가 두꺼운 쪽이 위로 가게하며, 조적식 블록 쌓기의 세로줄눈은 막힌줄눈으로 한다. 블록의 하루 쌓기 높이는 1.5m(7켜) 이내를 표준으로 한다.
(2) 사춤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배합은 밑에 표에 따르고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를 사춤하는 높이는 3켜 이내로 하고, 이어 붓는 위치는 블록의 윗면에서 5cm 정도 밑에 두어 수평줄 눈과 일치되도록 한다. 블록의 이음새 및 블록의 빈속에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때는 가느다란 둥근 막대를 사용하여 틈이 생기지 않게 다지면서 채워 넣는다.
◎ 조적용 사춤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배합비
구분
용도
시멘트
석회
모래
자갈
비고
모르타르
줄눈용
1
1
3
-
줄눈은 가로, 새로 1㎝를 표준으로 함
치장용
1
-
3
-
치장줄눈용
1
-
1
-
콘크리트
사춤용
1
-
2
4
사춤 콘크리트용 자갈 최대지름은 2㎝ 이하
구조용
1
-
2.5
3.5
24. 블록쌓기 시공상의 주의사항
가) 블록을 운반하거나 부리기 할 때는 깨지거나 모서리가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나) 반입된 블록은 즉시 검사하고 검사에 불합격한 블록은 즉시 장외로 반출한다.
다) 블록은 모르타르, 콘크리트의 접착부분에만 적절히 물 축이기를 한다.
라) 하루 쌓는 높이는 1.5m(7켜) 이상으로 하지 않으며 또한 국부적으로 높이 쌓는 것을 피하고 균등한 높이로 쌓는다.
마) 블록쌓기가 끝나면 거적 등을 씌워 보양하고 충격이나, 압력, 진동 등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바) 기타 주의 사항은 벽돌쌓기에 따른다.
◎ 참고문헌
동계조적공사의 시공상 류의사항에 관하여
건설기술연구회 ㆍ 추영수
건축공사 수량산출기준지침서
건설교통부 ㆍ 이유섭
모의 건축공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작업기간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ㆍ 김옥규
건설정보 관리의 효율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ㆍ 김선호
추천자료
방수공사
석공사 시공계획서
공사중 교통처리대책의 방안
방수공사
도장공사
공사 하도급 부도 관리 강의
[아스팔트][아스팔트방수층][아스팔트흄]아스팔트 방수층의 재료, 아스팔트 방수층의 시공, ...
[토목][토목공사][터널굴착][토목(토목공사) 범위][터널굴착 공법][터널굴착 신기술]토목(토...
방수공사의 하자원인
역타설공법의 내용 설명 및 특징(시공흐름 등)
칠공사(도장공사)
[점포설계][점포설계 환경][점포설계 조명][점포설계 레이아웃][점포설계 인테리어공사]점포...
건설공사의 안전관리, 건설공사의 하자보수책임기간, 건설공사 공정관리의 목적, 건설공사 공...
[감리제도][감사보고서][코스닥시장][건설공사][책임감리제도][제도개선][감리]감리제도와 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