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 대해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붓다의 삶과 업적
2. 우리나라에 불교가 들어오게된 배경
3.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4. 사성제와 팔정도

본문내용

음가짐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곧 정당한 방법으로 의식주를 구하는 것으로 남과 나를 나같이 이롭게 하는 바른 직업을 갖는 것도 그뜻의 하나입니다.
여섯째로 정정진(正精進)은 올바른 노력, 한 마음으로 노력해 나가는 것을 뜻합니다. 이는 곧 노력으로 인하여 아직 발생하지 아니한 악을 나지 못하게 하며, 나지 아니한 선을 발생하게 하는 일이며, 옳은 일에는 물러섬이 없고 밀고 나가는 정열과 용기를 뜻하기도 하는 것으로 이는 바로 불자의 구도 자세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일곱 번째 정념(正念)은 올바른 정신과 생각, 사념을 버리고 항상 향상을 위하여 정신을 집중시키는 것을 말하며 바른 생각을 말합니다. 또한 ‘바르게 기억하는것’으로 생각할 바에 따라 잊지 않는 것입니다. 참된 진리를 항상 명심하고 기억하여 다른 잡념이 일어 나지 않도록 하는 것 입니다. 이것은 정사유와 함께 내면적인 마음의 기초를 확고하게 다니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여 그 마음속에 정견이 가득차고 항상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정정(正定)은 ‘바르게 집중’한다는 말로서, 마음을 한 곳에 모으는 것인데 ‘삼매’라는 음역어를 통해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수행법입니다. 이는 정념이 더욱 깊어진 상태로서, 정념의 성취로 몸과 마음의 조화가 이루어지고 지극히 잘 조화되고 통일된 마음에 온갖 번뇌와 어지러운 대상이 모두 쉬게 되면서 마치 가을 하늘에 지혜의 달이 뚜렷이 빛나는 경지를 뜻하는 것입니다.
*참고 도서*
1. 이기영 < 한국의 불교 > 세종 대왕 기념 사업회 1974
2. 박태원 이영근 옮김 <불교의 역사와 기본사상> 대원정사 1989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0.29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6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