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르네상스,
종교개혁,
서유럽의 절대주의,
자본주의의 발전과 산업혁명,
17세기 영국 혁명,
미국혁명,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
자유주의 이념과 그 발전,
중국전통 문명의 완숙,
열강의 침략과 중국의 변혁,
일본의 근대적 성장,
국제 긴장과 제1차 세계대전,
반식민지 독립 운동의 전개(중국),
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
제2차 세계대전,
냉전체제의 성립
종교개혁,
서유럽의 절대주의,
자본주의의 발전과 산업혁명,
17세기 영국 혁명,
미국혁명,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
자유주의 이념과 그 발전,
중국전통 문명의 완숙,
열강의 침략과 중국의 변혁,
일본의 근대적 성장,
국제 긴장과 제1차 세계대전,
반식민지 독립 운동의 전개(중국),
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
제2차 세계대전,
냉전체제의 성립
본문내용
시장의 축소(러시아 혁명, 아시아 민족운동)
② 발생: 주가의 대폭락(1929), 산업 마비, 실업자 증가 - 전세계로 확산
③ 영향: 통제 경제 강화, 전체주의의 대두
2)공황대책
① 미국 * 뉴딜(NewDeal)정책(1933) - 수정 자본주의(혼합경제체제)
목표- 구제(Relief), 부흥(Recovery), 개혁(Reform)
성격- 자유방임을 포기하고 사회주의 통제경제 정책을 반영
중앙정부의 권한 증대 - 복지국가 지향
국가 산업 부흥법(NIRA)-생산조절, 고용 증대, 최저가격제, 농업 조정법(AAA)-농업 생산 억제, 농산물 수요 공급 조정
테네시 계곡 개발 공사(TVA)-국토 개발, 실업자 구제, 와그너법 - 노동자의 단결권, 단체 교섭권 인정
사회 보장법 - 노인 연금, 실업자 수당, 연방정부의 지원
* 선린외교- 고립주의 완화, 국제협조 지향, 쿠바 독립 승인, 필리핀 독립 약속
② 영국: 맥도날드 거국 연립 내각(노동당- 통제 경제, 보호관세), 파운드 불럭 형성
③ 프랑스 : 프랑 블럭 형성, 인민 전선 내각 성립
④ 독일, 이탈리아, 일본 : 자국 중심의 경제권을 확대하기 위해 대외 침략
2. 전체주의의 대두
1)전체주의
① 배경 : 자본주의 경제력이 약하고 자원 식민지가 적은 국가에서 공황 타개책
② 성격 : 전체를 위해 개인의 희생을 강요하는 사상
③ 특징 : 개인주의 자유주의 합리주의 공리주의적 세계관 부정
일당독재체제, 국가 지상주의. 언론 사상 통제
2)이탈리아의 파시즘- 군국주의, 팽창주의
① 배경: 베르사유체제 불만, 공산주의 세력 증대, 자원 빈곤, 산업 부진
② 무솔리니 ; 공산당 타도 주장, 자본가, 군인, 지주들의 지지, 로마 진군 독재 정권 장악(1922)
③ 대외 침략: 알바니아 보호국화, 에티오피아 침략 - 국제 연맹의 탈퇴(1935)
3)독일의 나치즘- 인종주의적 성격 가미
① 배경 : 베르사유체제 불만, 공황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경제 불안
② 나치당(NAZIS) 성장-베르사유 조약 폐기, 식민지 재분배, 대독일 건설, 의회 정치 반대, 유대인 배척
③ 히틀러의 집권 - 총선에서 제1당(1932), 바이마르헌법 정지-제3제국 성립(1934)
④ 대외 정책 : 국제 연맹 탈퇴(1933), 재무장선언(9135), 라인란트 진주(1936)
⑤ 동유럽 침입 : 오스트리아 병듄(1938), 수데텐 병합(1938)요구
-영 프의 유화 정책(뭔헨 회담으로 승인), 체코슬로바키아 병합, 폰란드 회랑 요구
4)일본의 군국주의
① 배경 : 공황의 여파로 군부 재벌 등 보수 세력의 득세
② 대륙침략으로 정국 타개 시도
만주사변(1931)- 만주국 수립(1932), 리튼 조사단 파견, 국제 연맹의 탈퇴(1933)
중일전쟁(1937-1945)-상하이, 난징 점령, 제2차 국공합작, 미 소의 중국 원조
5)추축 세력의 형성
① 에스파냐의 내란(1936-39): 인민전선내각 수립-프랑코의 파시스트 반란-독이의 후원, 영프의 무간섭 주의-프랑코의 집권
② 3국 추축(Axis) 형성: 베를린 -로마 주축 성립(1936), 3국 방공(防共)협정 체결(독 일 이, 1937)
3.제2차 세계대전
1)대전의 시작
① 독일의 폰란드 침략: 독 소불가침 조약 체결(1939)-폰란드 침략(1939.9)- 영 프의 선전포고
② 서유럽 침공 : 프랑스 함락(1940.6), 영국의 항전
③ 독 소 개전(1941- 우크라이나의 곡물 코카서스의 석유로 장기전 준비)- 미국의 연합군 지원
④ 태평양 전쟁(1941) : 대동아 공영권 - 인도차이나 침략 -연합군의 경제 봉쇄- 진주만 기습
⑤ 연합군의 반격 : 미국의 원조, 대서양 헌장 발표, 미드웨이 해전(1942), 노르망디 상륙작전, 로마점령
⑥ 이탈리아 항복(1943), 독일 항복(1945), 일본 항복(1945)
2)대전중의 회담
① 카이로 회담(1943)- 한국 독립 약속 등 전후 일본의 처리 문제 논의
② 테헤란 회담(1943)- 유럽 상륙 작전 결정
③ 얄타 회담(1945)- 독일의 전후 처리 문제 논의,. 소련의 대일 참전 논의
④ 포츠담 회담(1945) - 미영소의 회담,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
#제2차대전중 독일의 입장에서 볼때 일본의 역할은?
#제2차대전중 소련의 역할(예 -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대한 평가는?
냉전체제의 성립
1. 전후의 세계 질서
1)국제 연합의 창설
① 대서양 헌장에서 구상, 덤바튼 오크스 회의 초안작성, 샌프란시스코회의에서 헌장채택(1945)
② 특징 : 강력한 평화 유지책, 안전 보장 이사회의 권한 강화(미 소의 대립 빈번)
2)패전국 처리: 1947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개별 강화 조약 체결
① 독일 : 동 서 분리후 국가 수립(1949), 주권 회복(1954)
② 일본 : 미국 점령=샌프란시스코회의(1951)로 주권 회복- 국제 연합 가입(1956년), 한일국교(1965)
③ 오스트리아 : 연합국 관리 - 영세 중립국화(1955)
④ 이탈리아 : 1946년 이탈리아 공화국 수립
3)냉전체제의 성립
① 자유 민주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의 대립
② 냉전의 전개 * 소련의 팽창-동유럽의 공산화, 그리스 공산주의자 반란 지원
* 미국의 대응-트루먼 독트린(공산세력 확대 저지 선언), 마설플랜 (서유럽 부흥 계획)
* 소련의 대항 - 코민포름 조직(공산당 정보국)
③ 냉전의 격화 * 소련의 베를린 봉쇄(1948): 베를린과 서독의 교통 차단
* 자유 진영의 결속 - NATO(1949), COCOM(1949)
* 공산 진영의 결속 - COMECON(1949), WTO(1955)
④ 냉전의 완화 : 데탕트(긴장완화)의 추세
* 소련 스탈린 사후(1953) 평화 공존 표방(흐르시초프)
* 미국의 닉슨 독트린(1969)-국제 분쟁 직접 개입회피, 공산권에 융통성 부여
미군의 베트남 철수, 중국의 유엔 가입, 닉슨의 중국 방문
⑤ 아시아에서 공산권 대응조직: 동남아시아 조약기구(SEATO), 중앙 조약기구(CENTO), 태평양 안전보장 조약(ANZUS)
② 발생: 주가의 대폭락(1929), 산업 마비, 실업자 증가 - 전세계로 확산
③ 영향: 통제 경제 강화, 전체주의의 대두
2)공황대책
① 미국 * 뉴딜(NewDeal)정책(1933) - 수정 자본주의(혼합경제체제)
목표- 구제(Relief), 부흥(Recovery), 개혁(Reform)
성격- 자유방임을 포기하고 사회주의 통제경제 정책을 반영
중앙정부의 권한 증대 - 복지국가 지향
국가 산업 부흥법(NIRA)-생산조절, 고용 증대, 최저가격제, 농업 조정법(AAA)-농업 생산 억제, 농산물 수요 공급 조정
테네시 계곡 개발 공사(TVA)-국토 개발, 실업자 구제, 와그너법 - 노동자의 단결권, 단체 교섭권 인정
사회 보장법 - 노인 연금, 실업자 수당, 연방정부의 지원
* 선린외교- 고립주의 완화, 국제협조 지향, 쿠바 독립 승인, 필리핀 독립 약속
② 영국: 맥도날드 거국 연립 내각(노동당- 통제 경제, 보호관세), 파운드 불럭 형성
③ 프랑스 : 프랑 블럭 형성, 인민 전선 내각 성립
④ 독일, 이탈리아, 일본 : 자국 중심의 경제권을 확대하기 위해 대외 침략
2. 전체주의의 대두
1)전체주의
① 배경 : 자본주의 경제력이 약하고 자원 식민지가 적은 국가에서 공황 타개책
② 성격 : 전체를 위해 개인의 희생을 강요하는 사상
③ 특징 : 개인주의 자유주의 합리주의 공리주의적 세계관 부정
일당독재체제, 국가 지상주의. 언론 사상 통제
2)이탈리아의 파시즘- 군국주의, 팽창주의
① 배경: 베르사유체제 불만, 공산주의 세력 증대, 자원 빈곤, 산업 부진
② 무솔리니 ; 공산당 타도 주장, 자본가, 군인, 지주들의 지지, 로마 진군 독재 정권 장악(1922)
③ 대외 침략: 알바니아 보호국화, 에티오피아 침략 - 국제 연맹의 탈퇴(1935)
3)독일의 나치즘- 인종주의적 성격 가미
① 배경 : 베르사유체제 불만, 공황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경제 불안
② 나치당(NAZIS) 성장-베르사유 조약 폐기, 식민지 재분배, 대독일 건설, 의회 정치 반대, 유대인 배척
③ 히틀러의 집권 - 총선에서 제1당(1932), 바이마르헌법 정지-제3제국 성립(1934)
④ 대외 정책 : 국제 연맹 탈퇴(1933), 재무장선언(9135), 라인란트 진주(1936)
⑤ 동유럽 침입 : 오스트리아 병듄(1938), 수데텐 병합(1938)요구
-영 프의 유화 정책(뭔헨 회담으로 승인), 체코슬로바키아 병합, 폰란드 회랑 요구
4)일본의 군국주의
① 배경 : 공황의 여파로 군부 재벌 등 보수 세력의 득세
② 대륙침략으로 정국 타개 시도
만주사변(1931)- 만주국 수립(1932), 리튼 조사단 파견, 국제 연맹의 탈퇴(1933)
중일전쟁(1937-1945)-상하이, 난징 점령, 제2차 국공합작, 미 소의 중국 원조
5)추축 세력의 형성
① 에스파냐의 내란(1936-39): 인민전선내각 수립-프랑코의 파시스트 반란-독이의 후원, 영프의 무간섭 주의-프랑코의 집권
② 3국 추축(Axis) 형성: 베를린 -로마 주축 성립(1936), 3국 방공(防共)협정 체결(독 일 이, 1937)
3.제2차 세계대전
1)대전의 시작
① 독일의 폰란드 침략: 독 소불가침 조약 체결(1939)-폰란드 침략(1939.9)- 영 프의 선전포고
② 서유럽 침공 : 프랑스 함락(1940.6), 영국의 항전
③ 독 소 개전(1941- 우크라이나의 곡물 코카서스의 석유로 장기전 준비)- 미국의 연합군 지원
④ 태평양 전쟁(1941) : 대동아 공영권 - 인도차이나 침략 -연합군의 경제 봉쇄- 진주만 기습
⑤ 연합군의 반격 : 미국의 원조, 대서양 헌장 발표, 미드웨이 해전(1942), 노르망디 상륙작전, 로마점령
⑥ 이탈리아 항복(1943), 독일 항복(1945), 일본 항복(1945)
2)대전중의 회담
① 카이로 회담(1943)- 한국 독립 약속 등 전후 일본의 처리 문제 논의
② 테헤란 회담(1943)- 유럽 상륙 작전 결정
③ 얄타 회담(1945)- 독일의 전후 처리 문제 논의,. 소련의 대일 참전 논의
④ 포츠담 회담(1945) - 미영소의 회담,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
#제2차대전중 독일의 입장에서 볼때 일본의 역할은?
#제2차대전중 소련의 역할(예 -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대한 평가는?
냉전체제의 성립
1. 전후의 세계 질서
1)국제 연합의 창설
① 대서양 헌장에서 구상, 덤바튼 오크스 회의 초안작성, 샌프란시스코회의에서 헌장채택(1945)
② 특징 : 강력한 평화 유지책, 안전 보장 이사회의 권한 강화(미 소의 대립 빈번)
2)패전국 처리: 1947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개별 강화 조약 체결
① 독일 : 동 서 분리후 국가 수립(1949), 주권 회복(1954)
② 일본 : 미국 점령=샌프란시스코회의(1951)로 주권 회복- 국제 연합 가입(1956년), 한일국교(1965)
③ 오스트리아 : 연합국 관리 - 영세 중립국화(1955)
④ 이탈리아 : 1946년 이탈리아 공화국 수립
3)냉전체제의 성립
① 자유 민주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의 대립
② 냉전의 전개 * 소련의 팽창-동유럽의 공산화, 그리스 공산주의자 반란 지원
* 미국의 대응-트루먼 독트린(공산세력 확대 저지 선언), 마설플랜 (서유럽 부흥 계획)
* 소련의 대항 - 코민포름 조직(공산당 정보국)
③ 냉전의 격화 * 소련의 베를린 봉쇄(1948): 베를린과 서독의 교통 차단
* 자유 진영의 결속 - NATO(1949), COCOM(1949)
* 공산 진영의 결속 - COMECON(1949), WTO(1955)
④ 냉전의 완화 : 데탕트(긴장완화)의 추세
* 소련 스탈린 사후(1953) 평화 공존 표방(흐르시초프)
* 미국의 닉슨 독트린(1969)-국제 분쟁 직접 개입회피, 공산권에 융통성 부여
미군의 베트남 철수, 중국의 유엔 가입, 닉슨의 중국 방문
⑤ 아시아에서 공산권 대응조직: 동남아시아 조약기구(SEATO), 중앙 조약기구(CENTO), 태평양 안전보장 조약(ANZU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