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강화 유리 개요
Ⅱ. 화학강화 유리의 특성
Ⅲ. 화학강화유리 제조공정
Ⅳ. 화학강화 유리의 응용분야
Ⅴ. 화학강화유리의 주요 분야별 현황
Ⅵ. 화학강화 유리의 향후 전망
Ⅶ. 참고 문헌 및 출처
Ⅱ. 화학강화 유리의 특성
Ⅲ. 화학강화유리 제조공정
Ⅳ. 화학강화 유리의 응용분야
Ⅴ. 화학강화유리의 주요 분야별 현황
Ⅵ. 화학강화 유리의 향후 전망
Ⅶ. 참고 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건을 바꿔야하는데 이에 대한 거부감도 작용하고 있다.
3) OLED 유리
세계최대 OLED 생산기업인 삼성 SMD에서 아직 LCD 기판유리를 사용하고 있어 적극적인 대응은 미진한 상태이나 삼성코닝정밀소재에서 미국 코닝과 OLED용 유리생산을 협의 중이다.
2. 광학유리
국내 광학유리 산업은 2가지 시장이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 첫 번째는 CCTV, 두번째는 핸드폰 렌즈이다. 한편으로 주목 받고 있는 것이 대형광학 소재 개발이다.CCTV용 렌즈의 경우 대부분의 연마 가공을 중심으로 하는 광학유리 회사의 주력 생산품목이다.
○업체현황
삼성테크윈과 같은 CCTV 전문 생산업체의 경우 현재 세계 7~8위 정도의 위치에 있으나 CCTV 분야 3위권 내 진입을 위한 노력을 진행 중. CCTV용 광학유리 시장의 지속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와 같은 CCTV성장의 이유는 국내 CCTV로 불리는 네트워카메라(IP camera)가 방범용, 자동차용 등으로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기 때문.
국내 GMP용 비구면 렌즈 시장의 성장을 배경으로 이글래스에서 중기청의 지원으로 비구면 광학유리 모재유리 제조기술 개발을 진행중이다. 중국의 GMP용 비구면 광학유리 제조에는 최근 들어 개발 생산을 진행하기 시작하여, 2009년 한국에 수입되어 국내 대기업에서 시험 평가된 바 있다. 조만간 관련 분야도 중국산 소재유리의 수입이 예상되고 있으나, 아직 그 품질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어 시급히 국산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3. 태양전지용 기판유리
국내 대표적인 태양전지 모듈업체는 아래 <표 4-12>과 같으며 2009년 저 철분 무늬유리 사용량은 약 200억 원 규모이며, 2008년부터 태양전지 모듈생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2009년 판매량은 전년대비 약 40% 이상 성장하였으나 태양전지모듈의 가격 하락으로 매출액은 전년과 비슷한 규모이다. 2008년에 수입산 모듈이 70% 이상을 점유하였으나 2009년에는 약 47%로 수입산 모듈의 점유율이 하락되었다. 국내 태양전지 모듈업체는 생산량의 80% 이상을 해외에 수출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태양전지 모듈시장의 경우 발전차액지원제도 폐지로 시장성장에는 한계 있어 수출에 주력하고 있다.
<표> 국내 주요 태양전지 모듈업체 현황
구 분
2009년
저 철분유리
사용량(억 원)
생산능력(MW)
생산량(MW)
현대중공업(주)
200
80
50
(주)에스에너지
100
40
30
심포니에너지(주)
100
30
20
LS산전(주)
80
30
20
(주)경동솔라
50
15
10
(주)티앤솔라
30
10
3
(주)경원
10
5
2
솔라월드코리아(주)
200
80
60
SDA(주)(서울마린)
30
10
5
합계
800
300
200
Ⅵ. 화학강화 유리의 향후 전망
화학강화유리의 사용은 점점 넓혀지면서 곧곧에서 쓰이고 있는데 자료를 보자면 전 세계 터치스크린 패널시장은 특히 2007년 이후 내비게이션, 닌텐도 게임기, I-Phone의등장으로 인해 그 시장은 가속 되었다.
<전세계의 터치스크린 페널시장 총규모)>
수량기준으로 연평균(2007~2011) 42.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1년 12억만대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금액 기준으로는 2007년 69억 달러 규모의 시장에서 2011년에는 213억 달러 규모로 3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휴대용 기기 터치스크린패널시장의 성장성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되며 그중에서도 휴대폰용 터치스크린 패널 비중이 2011년 87%를 차지 연평균’07~’11) 54.2%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 \'07년 현재 전체 휴대폰 시장에서 터치스크린 패널 탑재 비중은 14% 정도에 불과하나 2011년 49%로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의 스마트폰에서는 터치스크린패널 채용이 일반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가전분야에서의 터치스크린패널 연평균’07~’11) 증가율도 31.9%로 나타나 휴대용기기에 이어 향후 터치스크린패널 채용분야로서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표는 분야별 터치스크린 패널 규모 변화 추이를 보여 준다.
<분야별 터치스크린 패널 규모 변화 추이>
화학강화유리 시장은 2011년을 기점으로 급속한 성장이 기대되고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분석을 기준으로 터치스크린패널에 화학강화유리가 적용되는 비율을 예상해 보면 대략 40~50% 수준으로 판단된다.
화학강화 유리 시장의 가장 큰 근접한 미국 코닝사의 고릴라유리 매출액은 2009년과 2010년에 각각 7500만 달러과 2억5000만달러이었다. 2011년 예상 매출액은 10억 달러로 급성장이 예상되고 있다33). 이는 상기에 기술한 시장 규모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최근 아이패드형 타블렛 PC와 LCD TV의 터치패널화 등의 새로운 제품의 출시로 인한 수요 증가로 말미암아 2010년 말에는 강화유리 시장의 심각한 기판 부족 현상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 시장 규모는 보수적 관점에서 2010년 현재 약 5.6억달러 규모로 예상되며, 1년간 CAGR 300% 수준 이상으로 성장할것이며 2015년까지 CAGR 20%이상의 고속 성장이 기대된다.
또한 세계 시장에도 국내 막강한 기업들의 발전이 기대된다.
<화학강화유리 세계및국내시장 예측>
디스플레이 기판유리
LCD, PDP, OELD의 향후전망
*LCD 향후전망
CCFL를 채택한 BLU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색재현도 향상과 슬림화 추구를 위해 LED BLU, 면광원 등 새로운 BLU 출시가 본격화 될 것이다.
LED를 채택한 BLU는 기존의 CCFL형 BLU시장을 점차 대체해 나갈 것으로 보는 가장 유망한 BLU이다. LED형 BLU는 광원으로서 LED를 사용하며, CCFL대비 낮은 소비전력, 고취도, 높은 색재현성 측면에서 경쟁의 우위를 보인다. 특히, LED BLU는 104% 이상의 색재현도을 지원해 80~90% 대의 PDP 및 CCFL 대비 성능이 우수하다. 이러한 장점들을 보유하고 있으나, 해결해야 할 문제도 많다. LED의 칩 제조 및 높은 휘도를 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수명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또 대량 생산이 지연되고 있어 칩 가격이 상대적으로
3) OLED 유리
세계최대 OLED 생산기업인 삼성 SMD에서 아직 LCD 기판유리를 사용하고 있어 적극적인 대응은 미진한 상태이나 삼성코닝정밀소재에서 미국 코닝과 OLED용 유리생산을 협의 중이다.
2. 광학유리
국내 광학유리 산업은 2가지 시장이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 첫 번째는 CCTV, 두번째는 핸드폰 렌즈이다. 한편으로 주목 받고 있는 것이 대형광학 소재 개발이다.CCTV용 렌즈의 경우 대부분의 연마 가공을 중심으로 하는 광학유리 회사의 주력 생산품목이다.
○업체현황
삼성테크윈과 같은 CCTV 전문 생산업체의 경우 현재 세계 7~8위 정도의 위치에 있으나 CCTV 분야 3위권 내 진입을 위한 노력을 진행 중. CCTV용 광학유리 시장의 지속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와 같은 CCTV성장의 이유는 국내 CCTV로 불리는 네트워카메라(IP camera)가 방범용, 자동차용 등으로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기 때문.
국내 GMP용 비구면 렌즈 시장의 성장을 배경으로 이글래스에서 중기청의 지원으로 비구면 광학유리 모재유리 제조기술 개발을 진행중이다. 중국의 GMP용 비구면 광학유리 제조에는 최근 들어 개발 생산을 진행하기 시작하여, 2009년 한국에 수입되어 국내 대기업에서 시험 평가된 바 있다. 조만간 관련 분야도 중국산 소재유리의 수입이 예상되고 있으나, 아직 그 품질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어 시급히 국산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3. 태양전지용 기판유리
국내 대표적인 태양전지 모듈업체는 아래 <표 4-12>과 같으며 2009년 저 철분 무늬유리 사용량은 약 200억 원 규모이며, 2008년부터 태양전지 모듈생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2009년 판매량은 전년대비 약 40% 이상 성장하였으나 태양전지모듈의 가격 하락으로 매출액은 전년과 비슷한 규모이다. 2008년에 수입산 모듈이 70% 이상을 점유하였으나 2009년에는 약 47%로 수입산 모듈의 점유율이 하락되었다. 국내 태양전지 모듈업체는 생산량의 80% 이상을 해외에 수출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태양전지 모듈시장의 경우 발전차액지원제도 폐지로 시장성장에는 한계 있어 수출에 주력하고 있다.
<표> 국내 주요 태양전지 모듈업체 현황
구 분
2009년
저 철분유리
사용량(억 원)
생산능력(MW)
생산량(MW)
현대중공업(주)
200
80
50
(주)에스에너지
100
40
30
심포니에너지(주)
100
30
20
LS산전(주)
80
30
20
(주)경동솔라
50
15
10
(주)티앤솔라
30
10
3
(주)경원
10
5
2
솔라월드코리아(주)
200
80
60
SDA(주)(서울마린)
30
10
5
합계
800
300
200
Ⅵ. 화학강화 유리의 향후 전망
화학강화유리의 사용은 점점 넓혀지면서 곧곧에서 쓰이고 있는데 자료를 보자면 전 세계 터치스크린 패널시장은 특히 2007년 이후 내비게이션, 닌텐도 게임기, I-Phone의등장으로 인해 그 시장은 가속 되었다.
<전세계의 터치스크린 페널시장 총규모)>
수량기준으로 연평균(2007~2011) 42.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1년 12억만대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금액 기준으로는 2007년 69억 달러 규모의 시장에서 2011년에는 213억 달러 규모로 3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휴대용 기기 터치스크린패널시장의 성장성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되며 그중에서도 휴대폰용 터치스크린 패널 비중이 2011년 87%를 차지 연평균’07~’11) 54.2%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 \'07년 현재 전체 휴대폰 시장에서 터치스크린 패널 탑재 비중은 14% 정도에 불과하나 2011년 49%로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의 스마트폰에서는 터치스크린패널 채용이 일반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가전분야에서의 터치스크린패널 연평균’07~’11) 증가율도 31.9%로 나타나 휴대용기기에 이어 향후 터치스크린패널 채용분야로서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표는 분야별 터치스크린 패널 규모 변화 추이를 보여 준다.
<분야별 터치스크린 패널 규모 변화 추이>
화학강화유리 시장은 2011년을 기점으로 급속한 성장이 기대되고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분석을 기준으로 터치스크린패널에 화학강화유리가 적용되는 비율을 예상해 보면 대략 40~50% 수준으로 판단된다.
화학강화 유리 시장의 가장 큰 근접한 미국 코닝사의 고릴라유리 매출액은 2009년과 2010년에 각각 7500만 달러과 2억5000만달러이었다. 2011년 예상 매출액은 10억 달러로 급성장이 예상되고 있다33). 이는 상기에 기술한 시장 규모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최근 아이패드형 타블렛 PC와 LCD TV의 터치패널화 등의 새로운 제품의 출시로 인한 수요 증가로 말미암아 2010년 말에는 강화유리 시장의 심각한 기판 부족 현상을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 시장 규모는 보수적 관점에서 2010년 현재 약 5.6억달러 규모로 예상되며, 1년간 CAGR 300% 수준 이상으로 성장할것이며 2015년까지 CAGR 20%이상의 고속 성장이 기대된다.
또한 세계 시장에도 국내 막강한 기업들의 발전이 기대된다.
<화학강화유리 세계및국내시장 예측>
디스플레이 기판유리
LCD, PDP, OELD의 향후전망
*LCD 향후전망
CCFL를 채택한 BLU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색재현도 향상과 슬림화 추구를 위해 LED BLU, 면광원 등 새로운 BLU 출시가 본격화 될 것이다.
LED를 채택한 BLU는 기존의 CCFL형 BLU시장을 점차 대체해 나갈 것으로 보는 가장 유망한 BLU이다. LED형 BLU는 광원으로서 LED를 사용하며, CCFL대비 낮은 소비전력, 고취도, 높은 색재현성 측면에서 경쟁의 우위를 보인다. 특히, LED BLU는 104% 이상의 색재현도을 지원해 80~90% 대의 PDP 및 CCFL 대비 성능이 우수하다. 이러한 장점들을 보유하고 있으나, 해결해야 할 문제도 많다. LED의 칩 제조 및 높은 휘도를 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수명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또 대량 생산이 지연되고 있어 칩 가격이 상대적으로
추천자료
한국 중소기업의 현실과 경쟁력 강화
핵심인재 관리방안
기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지식경영 활용과 기업의 성공 및 실패 사례
[사회과학] 중소기업 수출경쟁력 강화와 종합상사
[경영학원론]기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지식경영 사례분석
[경제학경영학]중국 경제성장에 따른 중국시장진출의 대처방안
사회 복지정책론
[기업 아이덴티티][브랜드 아이덴티티][브랜드 아이덴티티]아이덴티티 요소설정, 기업 아이덴...
[소프트웨어산업][소프트웨어]소프트웨어산업의 특징과 중요성, 소프트웨어산업의 경제사회적...
[민영건강보험] 민영건강보험의 문제점 및 활성화방안
플라즈마의 응용, 반도체공정에서 사용되는 플라즈마
MP3 PLAYER 제품설계
KB국민은행 마케팅,경영전략 케이스연구- (KB국민은행 기업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
미국 중국 무역전쟁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무역전쟁미중보복관세관세폭탄반덤핑슈퍼3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