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 제주도내 아동복지 사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복지] 제주도내 아동복지 사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 도내 아동복지 사업 개관

Ⅱ.본론 : 도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아동복지 사업
1.아동의 안전 및 권리
1)드림스타트
①드리스타트란?
②제주도내 드림스타트 사업
2.가정 보호사업
1)입양
① 목적 및 기본방향
②입양가정 지원
③제주도내 입양기관
*홍익아동 복지센터
2)가정위탁보호
①가정위탁의 목적 및 기본방향
②제주도내 가정 위탁보호 사업
*가정위탁지원센터
*제주도 양성평등정책과 지원현황(2008년)
3)공동생활가정(그룹홈) 보호
①공동생활가정의 목적 및 기본 방향
②제주도내 공동생활 가정보호기관
3.지역사회아동보호
1)아동급식
①아동급식의 목적 및 기본방향
②제주도내 아동급식 사업
*제주도 양성평등정책과 지원현황(2008년)
2)지역아동센터 운영 및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①지역아동센터의 목적 및 기본방향과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
②제주도내 지역 아동센터의 운영 및 아동교사 지원사업
가. 제주도내 지역 아동센터의 운영
나. 아동교사지원사업
4.아동시설보호및 자립지원
1)아동시설보호
①아동시설보호의 목적과 기본방향
②제주도내 아동 시설 현황
2)아동발달지원계좌(CDA) 지원사업
①아동발달지원계좌 사업의 목적과 기본방향
②제주도내 아동발달지원계좌(CDA)사업

Ⅲ.결론 : 제주 아동복지 사업과 향후 방향에 대한 논의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Hong Ik Orphanage
51.10. 1
김 종 철
(48. 6. 21)
13
105
제주시도련1동 2043-1
755-0844
홍익보육원
(김경식)

3
제주보육원
Jeju Orphanage
55. 4.20
강 도 아
(40.12.12)
8
120
제주시내도동 887
743-5020
제 주 원
(강도아)

4
제남보육원
Jenam Orphanage
53.11.22
이 상 준
(\'58. 2. 27)
8
100
서귀포시 서호동 584
(064)739-1020
영산복지재단
(김상철)

5
천사의 집
Cheonsa‘s House
56.10.20
박 희 순
(\'31. 5. 21)
8
60
남제주군 대정읍 하모리 1100
(064)794-2227
천사보육원
(정덕일)


소 계 (5)



58
415


2)아동발달지원계좌(CDA) 지원사업
①아동발달지원계좌 사업의 목적과 기본방향
아동발달지원계좌사업은 만18세 미만 아동으로서 아동복지시설 생활아동, 가정위탁아동, 소년소녀가정, 공동생활가정 및 장애인시설 생활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진출 시 학자금, 취업창업주거마련 등에 소요되는 초기비용 마련을 위한 자산형성을 적극적장기적으로 지원할 필요성에 따라 CDA통장을 개설하여 아동의 후훤금을 적립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②제주도내 아동발달지원계좌(CDA)사업
제주도는 2007년부터 부모(요보호아동의 경우 후원자)가 한도액 범위내에서 일정액을 적립하면 국가가 매칭펀드를 지원하는 자산형성제도인 아동발달지원계좌가 도입 지원되기 시작하였다. 추진배경으로는 현재의 아동정책은 생계유지, 학비지원 등의 최소한의 단기적ㆍ사후적 지원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 진출시 학자금, 기술습득 등 경제활동에 소요되는 초기비용 마련을 위한 자산형성을 적극적이고 장기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어 미래 성장 동력인 아동에 대한 사회투자로 저소득아동에게는 빈곤의 대물림을 방지하고 일반아동에게는 경제교육 등을 통한 건전한 사회인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주요 사업내용으로는 부모(요보호아동의 경우 후원자)가 한도액 범위내에서 일정액을 적립하면 국가가 매칭펀드를 지원하게 되며, 지원대상은 요보호아동(시설보호, 가정위탁, 소년소녀가정, 공동생활가정 아동 등)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부모(후원자)와 국가의 매칭비율은 1:1비율로 하게 되고 18년간 장기 적립함을 원칙으로 실시되며, 적립금은 만18세 이후 학자금ㆍ창업지원금ㆍ취업훈련비용ㆍ주거마련 등으로 사용용도를 제한하게 된다. 아동발달지원계좌의 지원예정금액은 월6만원(국가 3만원, 본인 3만원)을 지원하게 되고 제주도의 지원대상아동은 737명이다.(시설보호아동 347명, 가정위탁아동 236명, 소년·소녀가정 140명, 그룹홈보호아동 14명 등)
Ⅲ.결론 : 제주 아동복지 사업과 향후 방향에 대한 논의
위에서는 제주도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아동복지 사업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도내의 아동복지 사업인 아동보호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서비스 사업으로 드림스타트 사업, 아동발달지원계좌사업(CDA), 소년소녀가정 및 가정위탁아동 상해보험가입, 빈곤결손아동을 위한 「지역아동센터」운영, 위기상황 아동 긴급지원 사업 등은 정부주도하의 아동복지 사업을 바탕으로 하여 도내에서 세부적,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하지만 제주도내의 아동인구대비 아동학내 판정건수가 상위권이라는 사실을 통해 볼 때, 도내 아동복지의 문제가 다른 지역들과 비교했을 때, 아동복지의 수준이 미흡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동복지의 문제는 아동학대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다. 특히 아동복지 내에서도 장애아동들은 법적인 혜택에서 소외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대학 학자금, 자립자금 등 일반 아동양육시설 출신자들에게 지원되는 각종 자립혜택이 장애인생활시설 아동들에게는 미흡한 실정이다.
도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아동복지- 드림스타트 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천 초등학교의 꿈의 교실에서 방과 후 봉사활동을 하며 내가 보고 느낀 것은 아이들을 위한 교육적 다양한 프로그램의 활용 뿐 만 아니라 봉사자의 인원확충 및 드림스타트활동의 홍보, 아이들을 위한 지속적인 아동 상담의 중요성이 절실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더불어 참여하고자 하는 아동의 숫자가 많은데 비해 극히 일부 학생만이 분기별로 참여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또한 강구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사실 지금까지의 사회복지개념이 사후 관리적 단일 서비스였다면 앞으로는 사전 예방적 통합 서비스로 가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처방이거니와, 이를 위해 제주도내의 자발적인 프로그램과 사업 운영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한국 아동복지 연구 협회- http://sos1004.ohpy.com/221103/28
제주 특별자치도 보육정보 -http://childcare.jeju.go.kr/contents/index.php?mid=06
제주특별자치도 여성,가족 -http://woman.jeju.go.kr/
제주특별자치도-http://www.jeju.go.kr/index.php
지역아동정보센터: http://www.icareinfo.info/USR_main.asp??=ABOUTUS02/LOCALCENTER/search
제주 가정위탁 지원센터 - www.jeju-foster.or.k
제주사랑의집(그룹홈) -http://happylog.naver.com/1227song/post/PostList.nhn?pcatno=101
제주 뉴시스 (신문기사)- http://www.jejunewsi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27
제민일보 -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196324
드림스타트-http://www.hopestart.org
2008년 아동복지 사업안내-보건복지부 자료
2007년 아동복지 사업안내문-보건복지부 자료
2008년 제주도 양성평등정책과 관련문의 및 아동복지 지원현황자료
한천초등학교- 드림스타트 방과 후 활동관련 문의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11.10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