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매일 태동측정법(daily fetal movement count, DFMC)
2. 복부촉진(레오폴드 Leopold 복부촉진법)
3. 산부의 정상적인 요검사 결과와 대상자의 결과 정상 여부
4. 태아사정 (자궁저부 높이 측정, 맥도날드Mcdonald 법칙)
5. 태아사정(태아 재태연령과 BPD: 아두 두정골간 경선)
6. 임신중 정상적인 산모의 체중변화와 대상자의 증가 수준 비교
2. 복부촉진(레오폴드 Leopold 복부촉진법)
3. 산부의 정상적인 요검사 결과와 대상자의 결과 정상 여부
4. 태아사정 (자궁저부 높이 측정, 맥도날드Mcdonald 법칙)
5. 태아사정(태아 재태연령과 BPD: 아두 두정골간 경선)
6. 임신중 정상적인 산모의 체중변화와 대상자의 증가 수준 비교
본문내용
자, 자궁저저부의 높이, 태아심음 청취일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좀더 정확한 재태연령을 추산할 때는 초음파를 이용한다. 초음파를 이용해 재태연령을 측정하는 4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아낭 직경(gestational sac dimension)측정
(LMP 후 7~8주는 낭내에, 9~10주에는 태아의 움직임이 감지된다.)
Crown-rump 길이 측정(7~14주)
대퇴길이 측정(12주이후)
아두의 BPD(Biparietal diameter)아두 두정골간 경선 측정
※ 아두 두정골간 경선BPD 에 따른 재태연령(2.6~9.7cm)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2.6
13.9
4.4
19.2
6.2
25.3
8.0
32.5
2.7
14.2
4.5
19.5
6.3
25.7
8.1
32.9
2.8
14.5
4.6
19.9
6.4
26.1
8.2
33.3
2.9
14.7
4.7
20.2
6.5
26.4
8.3
33.8
3.0
15.0
4.8
20.5
6.6
26.8
8.4
34.2
3.1
15.3
4.9
20.8
6.7
27.2
8.5
34.7
3.2
15.6
5.0
21.2
6.8
27.6
8.6
35.1
3.3
15.9
5.1
21.5
6.9
28.0
8.7
35.6
3.4
16.2
5.2
21.8
7.0
28.3
8.8
36.1
3.5
16.5
5.3
22.2
7.1
28.7
8.9
36.5
3.6
16.8
5.4
22.5
7.2
29.1
9.0
37.0
3.7
17.1
5.5
22.8
7.3
29.5
9.1
37.5
3.8
17.4
5.6
23.2
7.4
29.9
9.2
38.0
3.9
17.7
5.7
23.5
7.5
30.4
9.3
38.5
4.0
18.0
5.8
23.9
7.6
30.8
9.4
38.9
4.1
18.3
5.9
24.2
7.7
31.2
9.5
39.4
4.2
18.6
6.0
24.6
7.8
31.6
9.6
39.9
4.3
18.9
6.1
25.0
7.9
32.0
9.7
40.5
6. 임신중 정상적인 산모의 체중변화와 대상자의 증가 수준 비교
임신중 최적의 체중증가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없으나 임신 중 체중증가량은 임신과정과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정상적인 임신기간 동안의 체중증가는 개별
배아낭 직경(gestational sac dimension)측정
(LMP 후 7~8주는 낭내에, 9~10주에는 태아의 움직임이 감지된다.)
Crown-rump 길이 측정(7~14주)
대퇴길이 측정(12주이후)
아두의 BPD(Biparietal diameter)아두 두정골간 경선 측정
※ 아두 두정골간 경선BPD 에 따른 재태연령(2.6~9.7cm)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BPD(cm)
Gestational
Age(week)
2.6
13.9
4.4
19.2
6.2
25.3
8.0
32.5
2.7
14.2
4.5
19.5
6.3
25.7
8.1
32.9
2.8
14.5
4.6
19.9
6.4
26.1
8.2
33.3
2.9
14.7
4.7
20.2
6.5
26.4
8.3
33.8
3.0
15.0
4.8
20.5
6.6
26.8
8.4
34.2
3.1
15.3
4.9
20.8
6.7
27.2
8.5
34.7
3.2
15.6
5.0
21.2
6.8
27.6
8.6
35.1
3.3
15.9
5.1
21.5
6.9
28.0
8.7
35.6
3.4
16.2
5.2
21.8
7.0
28.3
8.8
36.1
3.5
16.5
5.3
22.2
7.1
28.7
8.9
36.5
3.6
16.8
5.4
22.5
7.2
29.1
9.0
37.0
3.7
17.1
5.5
22.8
7.3
29.5
9.1
37.5
3.8
17.4
5.6
23.2
7.4
29.9
9.2
38.0
3.9
17.7
5.7
23.5
7.5
30.4
9.3
38.5
4.0
18.0
5.8
23.9
7.6
30.8
9.4
38.9
4.1
18.3
5.9
24.2
7.7
31.2
9.5
39.4
4.2
18.6
6.0
24.6
7.8
31.6
9.6
39.9
4.3
18.9
6.1
25.0
7.9
32.0
9.7
40.5
6. 임신중 정상적인 산모의 체중변화와 대상자의 증가 수준 비교
임신중 최적의 체중증가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없으나 임신 중 체중증가량은 임신과정과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정상적인 임신기간 동안의 체중증가는 개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