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요약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간호학 요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20장 위험요인의 사정

21장. 태아감시

22장 임신 합병증

23장 분만 합병증

24장 산욕 합병증

28장 생식과 관련된 건강문제

29장 불임과 피임관리

30장 생식기계 감염

본문내용

0 ~ 300 ml 감소
2) 40주 후에 태반기능이 불충분 -> 태아질식 증가
3) 과숙아들은 사망률이 높고 수유나 수면문제가 증가하며, 더 잘 아프고, 발달 늦으며 지능지수 낮다
4) 기능부전성 자궁수축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산모의 진통양상을 정확히 사정
5. 양수과다증 : 양수의 양이 2000ml 이상으로 지나치게 많을 때
1) 원인 : 태아가 식도폐쇄증 같은 기형 -> 양수 과다증 초래 , 무뇌아, 이분척추, 당뇨임신, 임신성 고혈압, 다태아
2) 증상 : 약간의 호흡곤란과 하지부종이 수반되며 과다한 복부팽대
6. 양수과소증 : 양수의 양이 500ml 이하, 신장 결손증에서 많이 발생, 임신 초기에 생겼을 때 양막과 태아의 일부분이 유착 -> 기형
7. 비정상 분만 양상
1) 지연분만 : 미산부 多, 총 분만시간이 24시간 이상 or 잠재기가 20시간 이상 지속
(1) 분류
① 분만 1기의 잠재기는 자궁수축이 시작되어 경관개대가 빨리지기 전까지
② 경관개대 양상에 따라
㉠ 잠재기 지연(미산부는 20시간 이상, 경산부는 14시간 이상, 고긴장성 자궁 수축 동반)
㉡ 활성지 지연(미산부는 1,2cm/hr이하, 경산부는 1.5cm/hr 이하)
(2) 간호
① 분만1기중 활성기가 15시간 이상, 자궁파열, 감염시 -> 태아 사망률 증가
② 기능 부전성 분만의 원인 될 수 있는 요인(임신 합병증 or 분만합병증 기왕력)을 발견
③ 태아 두피 pH는 태아질식 여부를 알려주고, 초음파 촬영은 태아, 모체골반과 관련된 잠재적인 자궁수축 부전, 관장, 체위측정 자주
2) 유도분만 : 자연적인 수축전에 인위적으로 수축 유도
(1) 적응증
① 모체측 : 임신기간 42주 이상
② 태아측 : 자궁내 태아 성장장애, 사산
③ 초음파를 이용하여 폐의 성숙정도 검사
④ 경관상태 파악하여 유도분만 성공가능성 사정
⑤ 50% 경관소실과 2cm정도의 경관개대, 선진부 진입 -> 9점 이상으로 분만가능
(2) 종류
① Prostaglandin
㉠ 경관의 소실과 개대에 도움, Biship 3점 감소
㉡ 경관내 삽입(파수되면 x) 4 ~ 5점 질내삽입
㉢ 부작용 : 고긴장성 자궁수축, 구토, 고열과 설사
㉣ 부작용 나타나면 좌측위, 산소공급, IV로 수액주입 -> 태반순환 증진
② 양막절제술
㉠ 경관상태 좋을 때
㉡ 파막 후 12시간 이내 분만 x -> 지연 : 감염유발하므로 옥시토신 의해 진행된 후 실시
㉢ 후 간호 : 양수의 색, 냄새 사정, 파막시간 기록, 제대 압박 or 탈출 여부
㉢ 옥시토신 : 이미 진행중인 분만촉진 or 자궁수축 stress에 견디는 태아의 반응사정시
4) 겸자분만 : 손상 증가
5) 흡입만출
(1) 회전실패 or 분만 2기 진행 x
(2) 선행조건 : 선진부가 두정위여야 하고, 양막파열 그리고 아두골반 불균형 x
6) 외회전술
(1) 초임부는 32 ~ 34주, 경산부는 34 ~ 36주 시행
(2) 시술전에 방광 비우고 태아심박동 청취
(3) 금기증 : 양수과다, 임신기간 중 출현, 양막의 파열 or 수축, 자궁근종절제술 경험자
7) c/s
(1) 적응증 : 난산, 반복 c/s, 둔위, 절식, 제대탈출 등
(2) 방법
① 자궁하부 c/s : 혈액 손실 감소, 치유 잘된다 & 다음 임신시 흉터 파열 감소
② 재래식 c/s : 방광 및 자궁하부가 과거 c/s으로 유착 & 횡/전방 전치태반일 때 34주 이하 조산, c/s 후 바로 자궁절제술할 때
(3) 단점 : 모아결속 방해, 수술 후 절개부위 동통
(4) 퇴원교육
① 수유 영향주지 x, 진통제
② 북부 통증 완화될 때까지 산후운동 제한
③ 2 ~ 3주 동안 무거운 물건들지 x
④ 임신계획은 1년후(성생활은 오로배설 끝나고 복부 & 회음부 불편감 x)
8. 조산 : 임신 20주 ~ 37주전에 불만 발생
1) 원인 : 모체측 위험요인과 관련
2) 예방
(1) 충분한 수분섭취는 탈수와 비뇨기계 감염 위험성 감소
(2) 경관 2-3cm 개대시 휴식과 수액공급
(3) 교육
① 휴식시간 늘리고 자동차 운전은 1시간 이하
② 임신후반기 성생활 제한
③ 유방간호는 분만 예정일 2주전까지 삼가 - 옥시토신 분비초래하므로
3) 조기진단 : 최소한 30초이상 지속되는 자궁수축이 7 ~ 10분마다 발생하며 1시간 이상 지속
4) 간호
(1) 자국수축이 진진통인지 가진통인지 확인 - 태아질식여부, 출혈유무, 모체감염증상, 예정일 확인
(2) 치료대상 x
① 조기파수가 25 ~ 45% 발생
② 태반조기박리, 융모양막염, 자간전증, HELLP 증후군
③ 경관개대가 6cm 이상 진행
(3) 임신유지
① 좌측위로 침상안정, 수액공급 증가(vasopressin, 옥시토신, porstaglandin 분비감소)
② 분만억제제
a. Ritodrine(Yutopar) : 베타-아드레날린 2형, 자궁근 이온, 혈액이완, 기관지 확장
b. Terbutaline : 베타-아드레날린, 구강, 피하, 해독제 : propranolol
c. Mg+ sulfate : IV, IM, oral 심부건 반사 사정, 해독제 : Ca+ glucanate
(4) 임신유지 실패
① 태아 폐성숙 증진 : 조산아 출산 24 ~ 48시간 전에 glucoeorticoid 투여 -> RDS 빈도 감소, 임신 34주 이전에 출산 전 24시간에 약물 투여 & 7일 이내 분만
② 분만중에는 narcotics, barbiturate x -> 태아호흡 억제
9. 자궁내번
1) 태아분만 후 or 태반박리 직후
2) 출혈(800 ~ 1800cc), 쇼크
3) 원인 : 태반박리 전에 탯줄 잡아당겨서 등
4) 관리 : 태반만출 서두르지 x
(1) 정맥내 주입시스템 확보
(2) 산소투여
(3) 자궁 이완 위해 마취제
(4) 자궁수축제, 항생제 투여
10. 자궁파열 : 자궁근육이 열상을 입어 파열되는 현상
1) 원인
(1) 유도분만 위한 자궁수축제 투여
(2) 과거 c/s, 겸자분만, 아두 골반 불균형
2) 증상
(1) 어깨로 방사되는 제대 & 심와부의 산재성 or 국소적 동통
(2) 질 출혈, 쇼크
24장 산욕 합병증
1. 산후 출혈 : 출혈 500cc 이상의 출혈
-> 원인 : 분만 3기의 잘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5.11.17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1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