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 정책(한중일 대기오염 현황과 대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과 정책(한중일 대기오염 현황과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1. 한국의 대기오염

-서울의 대기오염

-서울 대기오염 왜 이렇게 심각한가?(원인분석)

-배출량 추이분석
-SOx, NOx, PM10, CO부문별, VOC 부문별,

1999-2004년 배출량 변화추이

-<고 찰>




2. 중국의 대기오염


-중국의 대기오염 현황

-폐가스 배출 및 처리

-중국정부 대책 및 수요전망

가.중국정부의 대책

(1)대기오염 개선대책

나.환경개선 관련 주요 프로젝트

◇대기오염 개선 관련


다.수요 전망 및 진출유망분야

(1)수요전망

(2)진출유망분야

-◇대기오염 제거설비

-현지 전시회 및 박람회 적극 활용

-프로젝트 연계 자금 공여 활동




3. 일본의 대기오염

-도쿄의 대기오염 현황과 대책

<도쿄의 대기 상태>

<도쿄의 대기 오염 상태>


4. 대책

- 한중일 3국간 대기오염 물질에 대한 공동연구 기반의

토대를 구축으로 하는 대책수립.

<Chairperson's Summary>

<배출원-수용지 모델링 영역 및 배출량>


<결론>

본문내용

ionic components (O3 and PM2.5 optional). Aircraft measurement will be conducted depending on availability in each country. Korea will study research methodology for utilization of satellite data and other alternative tools (other countries may also conduct this research).
12. Sub-Working group for monitoring agreed to continue the research activities during Phase II (2009.1~2011.12) of the 3rd Stage, based on the outcomes of Phase I. The Sub-Working group agreed to conduct the intensive analyses of results for stages 1 & 2.
13. Sub-Working group for monitoring will continue the research activities during Phase III (2012. 1~2012.12), based on the outcomes of Phases I and II, and summarize integrated results of monitoring data for the 3rd Stage.
14. The participants tentatively agreed that the next meeting of Working Group and Sub-Working Group will be held on November 11 through 13, 2008 in Korea.
15.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deep appreciation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of Korea for their generous hospitality and successful organization of the 10th Working Group and the 9th Sub-Working Group meeting for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in Northeast Asia.
<붙임 2>
배출원-수용지 모델링 영역 및 배출량
각 권역별 SO2 배출량 (단위: 톤/년, 기준년도: 1998)
국가
권역
SO2
중국
I
2,540,189
II
12,238,715
III
5,893,221
한국
IV
1,146,000
일본
V
922,056
<붙임 3>
배출원-수용지 관계 결과
표 1. 2002년 지역별 황 침적량 (단위: kton)
구분
I
(중국 북부)
II
(중국 중부)
III
(중국 남부)
IV
(한국)
V
(일본)
2002년
습성침적
394
1400
1069.4
43.8
301.7
건성침적
307.4
2022.1
871.9
124.8
315.4
총량
701.1
3422.1
1941.1
169.1
617.2
표 2. 2002년 지역별 질소 침적량 (단위: kton)
구분
I
(중국 북부)
II
(중국 중부)
III
(중국 남부)
IV
(한국)
V
(일본)
2002년
습성침적
615.2
1737
1152.7
161.7
1904.4
건성침적
1007.8
3276.5
2294.7
277.4
1800.9
총량
1622.9
5013.3
3447.1
439.1
3705.8
표 3. 2002년 봄철 지역 상호간 황 기여율 (단위: %)
배출원
수용지
I
(중국 북부)
II
(중국 중부)
III
(중국 남부)
IV
(한국)
V
(일본)
I
(중국 북부)
51.4
46.3
1.2
1.1
0.0
II
(중국 중부)
2.0
84.1
12.9
0.9
0.1
III
(중국 남부)
0.5
14.7
84.5
0.1
0.0
IV
(한국)
3.0
15.4
5.3
73.8
2.4
V
(일본)
7.3
32.7
12.2
12.4
35.5
표 4. 2002년 여름철 지역 상호간 황 기여율 (단위: %)
배출원
수용지
I
(중국 북부)
II
(중국 중부)
III
(중국 남부)
IV
(한국)
V
(일본)
I
(중국 북부)
52.0
42.3
1.1
4.0
0.5
II
(중국 중부)
2.9
87.9
8.2
1.0
0.1
III
(중국 남부)
0.9
18.5
80.2
0.3
0.1
IV
(한국)
2.3
13.3
5.3
74.9
4.2
V
(일본)
3.9
25.9
8.2
12.6
49.4
표 5. 2002년 가을철 지역 상호간 황 기여율 (단위: %)
배출원
수용지
I
(중국 북부)
II
(중국 중부)
III
(중국 남부)
IV
(한국)
V
(일본)
I
(중국 북부)
41.3
55.3
2.4
0.7
0.2
II
(중국 중부)
2.4
83.4
13.8
0.3
0.0
III
(중국 남부)
0.5
19.2
79.7
0.5
0.1
IV
(한국)
5.8
23.3
2.3
66.5
2.1
V
(일본)
10.7
38.0
8.4
16.1
26.8
표 6. 2002년 겨울철 지역 상호간 황 기여율 (단위: %)
배출원
수용지
I
(중국 북부)
II
(중국 중부)
III
(중국 남부)
IV
(한국)
V
(일본)
I
(중국 북부)
42.8
53.7
2.3
1.1
0.1
II
(중국 중부)
2.4
87.0
10.5
0.1
0.0
III
(중국 남부)
0.4
19.8
79.7
0.1
0.0
IV
(한국)
7.2
22.8
4.5
64.7
0.8
V
(일본)
11.1
41.6
10.0
16.5
20.8
<결론>
3국의 대표는 LTP 사업이 동북아 지역의 장거리
대기오염물질을 해결하기 위해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고 한중일 LTP 공동연구사업은 동북아 지역의
대기오염 물질의 월경성 장거리 이동 및 침적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기 질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오염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9.11.19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1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