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및 Methods
Result
Discussion
Materials 및 Methods
Result
Discussion
본문내용
에 중간 고사 끝나고 만들기로 하였고 sample시약 같은 경우 머캅토 에탄올 때문에 중간고사 끝나고 만들기로 하였다. 그리고 변질 위험이 있어 염색시약 또한 나중에 만들기로 하였다. Tris라고 적힌 약은 물에 잘 용해 되지 않기 때문에 HCl을 한 방울 떨어뜨리면 잘 녹는다는 것을 조교님께 배울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Extraction buffer만들때 필요한 TE buffer (pH 8.0)를 만드는 것은 M수 계산이 필요했는데 150ml에 1M이 들어있는 용액을 100ml 따와야 되는 고난이도의 계산식이 요구 되었다. (=150mM)
1M의 기준은 1L임으로 100ml의 증류수에 10을 곱해주어 1000ml로 바꾸어 계산해 주는 것이 편하다.
그리고 Tris-base의 분자량은 121.14이므로
이 된다. 여기서 나온 값은 18.171인데 처음에 분모에 1L를 맞춰 주기 위해 10을 곱한 것을 나누어 주어야한다.
이 식의 결과 값인 1.8171g의 Tris-base가루를 100ml의 증류수에 녹여 주면 150mM의 TE buffer를 얻을 수 있다.
한 학기를 거쳐 이루어 지는 이 실험, 다른 실험과 느낌이 사뭇 달라져 좀 더 실험에 참여를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고 생각한다. 배운 전공과 이제 배우는 전공과목에 좀 더 관련이 높은 실험이여 실험이 재미있고 무언가를 한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다. 여러 가지 처음 보는 기계를 조작하고 단순해 보이는 피펫도 함부로 조작하면 안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시약의 완벽성을 위해 더 정밀한 작업이 되었던 이번 실험처럼 이번학기를 계속 이어 갔으면 한다.
1M의 기준은 1L임으로 100ml의 증류수에 10을 곱해주어 1000ml로 바꾸어 계산해 주는 것이 편하다.
그리고 Tris-base의 분자량은 121.14이므로
이 된다. 여기서 나온 값은 18.171인데 처음에 분모에 1L를 맞춰 주기 위해 10을 곱한 것을 나누어 주어야한다.
이 식의 결과 값인 1.8171g의 Tris-base가루를 100ml의 증류수에 녹여 주면 150mM의 TE buffer를 얻을 수 있다.
한 학기를 거쳐 이루어 지는 이 실험, 다른 실험과 느낌이 사뭇 달라져 좀 더 실험에 참여를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고 생각한다. 배운 전공과 이제 배우는 전공과목에 좀 더 관련이 높은 실험이여 실험이 재미있고 무언가를 한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다. 여러 가지 처음 보는 기계를 조작하고 단순해 보이는 피펫도 함부로 조작하면 안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시약의 완벽성을 위해 더 정밀한 작업이 되었던 이번 실험처럼 이번학기를 계속 이어 갔으면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