켈달법에 의한 단백질 정량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켈달법에 의한 단백질 정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목적과 원리

2.재료및 시약

3.실험방법

4. 데이터 및 계산

5.고찰

본문내용

산화제2수은)를 사용하면 분해 속도가 2∼3배 빠름.
ㆍ분해촉진제(K2SO4 : CuSO4 = 9 : 1 의 혼합분말) : 막자사발로 분쇄하여 조제
ㆍ0.1N H2SO4용액
ㆍ0.1N NaOH
ㆍ혼합지시약 - 0.1% methyl red alcohol 용액과 0.1% methylene blue alcohol 용액의 혼합액으로 ph 5 에서 적자색, ph 4.5에서 무색, ph 5.6에서 녹색을 띤다.
ㆍ분해장치 - 분해용기는 300㎖~500㎖ 경질 플라스크를 사용하고 열원은 전열기나 버어너를 사용한다. SO2가스가 발생하므로 Hood안에서 분해시키거나 micro kjeldahl 장치로 분해한다.
ㆍ증류장치 - kjeldahl 증류장치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나 질소 증류 장치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ㆍ뷰렛 , 피펫 , 필러 , 삼각플라스크 , 깔대기 , 비커
3. 실험방법
1) 분해
① 시료(두부 : 단백질함량 8.6%) 12g + 분해촉진제 1g +비등석을 유산지에 싸서 Kjeldhl 플라스크에 취함.
② Kjeldhl 플라스크에 진한 황산 30ml를 취하여 가열.
③ 시료가 황록색 or 투명한 청색이 될 때까지 분해 (Hood내에서)
④ 냉각 및 희석(250ml fill up)
2) 증류 및 중화
A : 수증기 발생장치 B : 역류병
C : 증류플라스크 D : 냉각관
E : 수기(삼각플라스크) F : 깔대기
G : 냉각관 선단 a, b, c, d : 콕
- 조작
① 수기(E)에 0.1N H2SO4 표준용액 20ml + 혼합지시약 4~5방울
② 증류플라스크(C)에 희석 분해액 (10ml)를 깔대기(F)를 통해서 넣음.
(증류수로 용기에 묻은 시료액을 씻어 넣음)
③ 수증기 발생플라스크(A)에 물(1/2)을 넣고 항온기로 가열
④ 플라스크(A)에서 수증이가 밀려나오면 깔대기(F)를 통하여 중화용 NaOH용액을 적당량 가하여 증류플라스크(C)의 액이 알칼리가 되도록 한다.
⑤ 증류플라스크(C)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는 플라스크(A)에서 나오는 수증기에 밀려서 냉각관(D)를 통하여 수기(E)로 들어가서 황산과 반응하여 (NH4)2SO4를 형성한다. (약 30~40분간 증류)
⑥ 증류가 끝나면 수기(E)를 들어내고 냉각관의 끝부분(G)을 증류수로 잘 씻어 수기(E)안에 넘은 후 가열을 멈춘다.
⑦ 세척 : 수기(E)를 들어내고 증류수를 넣은 용기를 놓고, 코크(c)를 열고, 코크(b)를 닫으면 감압에 의하여 용기의 물이 역류되어 증류플라스크(C)는 세척된다. 역류병(B)에 모인 물은 코크(a)를 열어 제거.
<조작 과정은 처음 공실험 (증류 플라스크에 물을 넣고 실험)을 한후 두 번째 본실험 (증류 플라스크에 분해액을 넣고 실험) 을 하는 두 번의 조작을 거친다>
3) 적정
중화되고 남은 황산을 0.1N NaOH 표준용액으로 적정.
(혼합지시약 : 자색 회색(종말점) 녹색)
<종말점인 회색은 아주 잠깐 이어서 보이지 않으므로 녹색의 시작점을 종말점으로 인식하고 적정한다. >
4. 데이터 및 계산
조단백질 (g%) = × 100
A : 0.1N NaOH용액 1ml에 반응하는 질소의 양(g) -0.0014
V0 : 공실험의 0.1NaOH용액의 적정 소비량(ml)
V1 : 본실험의 0.1N NaOH용액의 적정 소비량(ml)
F : 0.1N NaOH 표준용액의 역가
D : 희석배수 - 25
N : 질소 계수 - 6.25
S: 시료채취량
공실험에서 소비된 NaOH - 본실험에서 소비된 NaOH = 소비된 NaOH
19.4ml 13.9ml = 5.5ml
즉, 시료는 10.026%의 조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5. 고찰
이 실험을 통해 kjeldahl 질소분석법은 단백질, 우유, 곡류, 밀가루 등에 존재하는 질소의 량을 알아내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일단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를 산성 용액 속에 가열해서 분해를 시키면 시료 속 질소가 암모늄이온(NH4+)으로 되는데 이 암모늄이온은 산. 그럼 산염기 적정을 통해 암모늄이온의 양을 알 수 있고 암모늄이온의 양을 알면 그 안에 함유된 질소의 양도 알 수 있는데 적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NH4+ + OH- ------> NH3 + H2O
이 암모늄이온을 중화시켜 HN3로 만든다. 이 NH3를 H2SO4과 반응시켜 중화시킨 다음 과량의 미반응 H2SO4을 표준 NaOH 용액으로적정하여 H2SO4이 NH3에 의해 얼마나 소모되었나를 정량하면 단백질의 양을 알 수 있다는 원리라 여겨진다. 그리고역적정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의 분해단계는 하루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관계로 교수님이 해놓으신 분해액을 가지고 증류, 중화, 적적 단계만을 실험하게 되었다.
처음엔 공실험을 왜 하는지 몰랐는데 계산을 할때 황산과 NaOH가 전부 반응한 양과 황산과 암모늄이 반응하고 남은 황산의 양을 알기 위해 공실험을 한다는 것을 알게 돼었다.
분해액은 단백질이 녹아 있어서 그런지 부옇게 탁해 보였다.
수증기 발생플라스크에서 수증기가 생겨 증류 플라스크 방향으로 흘러 깔대기(F)를 지나면 NaOH용액을 넣어 주는데 그 이유는 증류플라스크에서 생긴 암모니아는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수증기가 미는 힘으로 냉각관 을 통해 수기로 밀려 들어가 황산과 반응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암모니아가 들어오는 유리관은 황산액 중에 그 끝이 오도록 하여야하는데 이유는 수증기와 액체를 반응시키기 위해서는 액체 중에 수증기가 들어가 액체와 수증기가 만나도록 해주기 위해서 이다. 실험 중 황산용액속의 유리 관 끝에서 뽀글뽀글 기포가 올라오는 것을 보고 실험이 잘되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그런데 실험을 시작한지 몇분되지 않아 수기병의 황산이 냉각관 쪽으로 올라오고 있었다. 우리 조는 당황했는데 항온기의 온도를 높여 주니 황산액이 점점 제자리로 돌아갔다.
생각해 보니 증류장치내의 수증기압이 너무 많이 올라가면 플라스크가 터질수도 있다는 말에 (H)관을 통해 물이 많이 올라가면 (C)코크로 수증기를 조금씩 뺐었는데 그 과정에서 증류장치내의 수증기압이 내려가면서 황산이 딸려 올라 온것 같다.
이것을 보니 증류장치내에 수증기압이 일정할수 있도록 항온기의 온도를 잘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2.1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7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