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강목 34柏實잣나무열매 수치 기미 발명 부방 잣나무잎 수치 기미 주치 발명 부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강목 34柏實잣나무열매 수치 기미 발명 부방 잣나무잎 수치 기미 주치 발명 부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백실 잣나무열매

수치 기미 발명 부방

백엽 잣나무잎

수치 기미 주치 발명 부방

본문내용

에 들어가면 하늘과 땅과 같은 해이다.
祝畢服藥。
주문이 끝나면 약을 복용한다.
斷 斷(끊을 단; -총18획; duan)은 원문은 忌(꺼릴 기; -총7획; ji)이다.
諸雜肉、五辛。
여러 잡다한 고기와 5신채를 금단한다.
神仙服餌
신선 복이
五月五日,采五方側柏葉三斤,遠志(去心)二斤,白茯(去皮)一斤,爲末,煉蜜和丸梧桐子大。
5월5일에 오방의 측백잎 1.2kg을 채집하고 심을 제거한 원지 1.2 kg, 껍질을 제거한 백복령 600g을 가루내어 제련한 꿀로 오동나무씨 크기로 환을 만든다.
每以仙靈脾酒下三十丸,日再服。
매번 선령비 술로 30환을 연하하니 하루에 두 번 복용한다.
無所忌。
함께 꺼림이 없다.
勿示非人。
비법을 사람같지 않은 사람에게 보여주지 말라.
中風不省,
중풍 인사불성
涎潮口禁,語言不出,手足 (넓고 두터울, 몸, 신체 타; -총19획; ta)

침을 흘리며 입을 벌리지 못하고 말이 안나옴과 손발이 끌림을 치료한다.
得病之日,便進此藥,可使風退氣和,不成廢人。
병을 얻은 날에 곧 이 약을 진상하면 풍이 물러나고 기가 조화롭게 하여 폐인을 만들지 않는다.
柏葉一握(去枝),蔥白一握(連根如泥),無灰酒一升,煎一、二十沸,溫服。
가지를 제거한 잣나무 잎 1줌, 뿌리를 남기고 진흙처럼 간 총백 한줌, 무회주1되, 10, 20번 끓게 하여 따뜻하게 복용한다.
如不酒,分作四、五服,方進他藥。(《楊氏家藏方》)
만약 술을 마시지 못하면 4,5번 나눠서 바로 다른 약을 진상한다. 양씨가장방
時氣疫
유행성 장역
社中西南柏樹東南枝,取曝 曝(쬘 폭; -총19획; pu,bao)은 원문은 暴(사나울 폭,햇볕 쪼일 폭; -총15획; bao,pu)이다.
乾末。
사당의 서쪽 남쪽 잣나무와 동남쪽으로 가지를 뻣음을 취하여 햇볕에 건조하여 갈아 가루낸다.
每服一錢,新水調下,日三、四服。(《聖惠方》)
매번 4g을 새로운 물에 연하하길 하루에 3,4번 복용한다. 성혜방
亂轉筋
곽란과 전근
柏葉搗爛,上,及煎汁淋之。(《聖惠方》)
잣나무 잎을 찧어 미란되게 하여 다리 위에 싸고 달인 즙으로 적신다. 성혜방
吐血不止張仲景柏葉湯
토혈이 그치지 않음에 장중경 잣나무잎탕이다.
用柏葉一把,乾薑二片,阿膠一挺(炙),三味,以水二升,煮一升,去滓,別絞馬通汁一升,合煎取一升,綿濾,一服盡之。《聖惠方》
파란 잣나무 잎 한줌을 사용해, 건강 2조각 구운 아교 1막대, 3약미를 물 2되를 1되가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며 따로 쥐어짠 말오줌 1되를 달여 1되를 취하여 솜으로 걸러서 한번 다 복용하다. 성혜방
用柏葉,米服二錢。
측백엽과 미음을 사용하여 8g을 복용한다.
或蜜丸、或水煎服,良。
혹은 꿀환이나 혹은 물에 달여 복용하여도 모두 좋다.
憂嘔血,
근심과 분노로 피를 토함
煩滿少氣,胸中疼痛
번만과 기가 적음과 가슴 속이 아픔
柏葉爲散,米調服二方寸匕。(《聖惠方》)
잣나무 잎을 가루내어 미음으로 2번 1촌 수저로 복용해 조복한다. 성혜방
血不止
코피가 그치지 않음
柏葉、榴 榴(석류나무 류{유}; -총14획; liu)
花末,吹之。(《普濟方》)
잣나무잎, 꽃을 갈아 가루내어 불어 쓴다. 보제방
小便尿血
소변의 혈뇨
柏葉、黃連焙,酒服三錢。(《濟急方》)
잣나무 잎, 황련을 불에 구워 갈아서 술로 12g을 복용한다. 구급방
大腸下血
대변하혈
隨四時方向,采側柏葉,燒。
사계절의 방향을 따라서 측백엽을 채집하여 태워 가루낸다.
每米服二錢。
매번 미음으로 8g을 복용한다.
王渙之舒州病此,陳宜父大夫傳方,二服愈。(《百一選方》)
왕환지가 서주에서 이 병으로 진의보 대부이 전한 처방으로 두 번 복용하고 나았다. 백일선방
酒毒下血或下痢
주독하혈과 혹은 하리
嫩柏葉(九蒸九)二兩,陳槐花(炒焦)一兩,爲末,蜜丸梧桐子大。
9번 찌고 9번 햇볕에 말린 어린 잣나무 잎 80g, 태워 볶은 묵은 회화나무 꽃 40g을 가루내어 오동나무씨 크기로 꿀로 환을 만든다.
每空心溫酒下四十丸。(《普濟方》)
매번 빈 속에 따뜻한 술로 40환을 복용한다. 보제방
蠱痢下血
고독 이질 하혈
男子、婦人、小兒大腹,下黑血茶色,或膿血如澱 澱(앙금 전; -총16획; dian)은 원문은 淀(얕은 물, 괸물 정{원음(原音);전}; -총11획; dian)
色。
남자, 부인, 소아의 대복이 흑색 출혈로 차다리 색으로 혹은 농혈이 괸물과 같다.
柏葉焙幹爲末,與黃連同煎爲汁,服之。(《本草圖經》)
잣나무 잎을 약한 불로 구워 건조하여 가루내어 황련과 함께 달여 즙을 복용한다. 본초도경
小兒洞痢
소아 통하는 이질
柏葉煮汁,代茶之。(《經驗後方》)
잣나무잎을 달인 즙을 차대신 마신다. 경험후방
月水不斷
월경이 끊이지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1.27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33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