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세의 大案的 共同體 (대안적 공동체)
2. 왕권의식 : 대항문화의 대항
3. 예언자적 비판
4. 예언자적 동력화 와 당혹의 출현
2. 왕권의식 : 대항문화의 대항
3. 예언자적 비판
4. 예언자적 동력화 와 당혹의 출현
본문내용
이 하나님에게 버림 받았다는 사실에 대해 말해야 할 뿐만 아니라 바빌론의 구체성에 대해서도 말해야한다. 왕권적 절망과 희망 없는 상태를 가로지르는 예언의 희망적 언어는 당혹의 언어이다. 그것은 공동체로 하여 새로운 통찰과 축하에 참여케 하는 언어이다. 이 당혹의 언어는 이스라엘에서 궁극적인 동력적 요소이다. 하나님의 예언자들은 가장 동력을 발휘하는 이 언어를 실천하는 소명을 받은 것이다. 제2이사야는 절망에 빠진 왕들에게 희망을 말하는 예언자로서는 모범적인 역할을 한다. 이 희망은 이스라엘의 역사적 상황을 근본적으로 꿰뚫어본 데 근거하고 있다. 예레미야는 무감각상태에 침투해 들어가려고 애썼으나 제2이사야는 절망과 씨름해야 했다. 예레미야에게서 비통과 파산으로 결판난 듯 보였던 하나님이 이제 역사의 수레바퀴를 역전시키려고 하는 분으로 등장한다. 제2이사야의 의도는 이스라엘을 동력화 시켜 신선한 신앙을 가지게 하는 데 있다. 바빌론의 신들이 묵사발 당하게 되는데 퇴위한 왕이 다시 등극하는 그때 역사는 역전된다. 장례식은 축제로 변하고 곡성은 송영으로 바뀌고 절망은 당혹으로 돌아선다.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새로움은 활력을 낳는 단 하나의 결정적인 근원이 되었다.
추천자료
도스토예프스키 <이중인격> 비평
찬양으로 가슴 벅찬 예배 회중 예배
설교자론 요약(정장복교수의 설교학 서설을 중심으로)
조용기 목사의 ‘설교는 나의 인생’을 읽고
청록파와 박두진
스가랴 이해
5차원전면교육학습법
윤동주 시 연구
[목회자][목회자 역할][목회자상 역사][목회자와 교인 관계][목회사역][교회에서 목회자 비전...
평화통일과 북한선교를 위한 교회의 과제
[사회복지실천기술론]벡(Beck)의 인지치료에서 자동적 사고의 원리를 정리한 후, 인지적 왜...
알도 레오폴드(Aldo Leopold)의 『대지의 윤리(Land Ethic)』에 대해 논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