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절대왕정기의 각국의 발전(1) : 서유럽
2. 절대왕정기의 각국의 발전(2) : 동유럽
3. 영국의 절대왕정과 혁명
2. 절대왕정기의 각국의 발전(2) : 동유럽
3. 영국의 절대왕정과 혁명
본문내용
관료집단과 상비군을 거느린 강력한 절대왕권의 전제적 지배라는 기본적인 성격에서는 서유럽의 절대왕정과 별로 다를 바가 없었다. 하지만, 서유럽과 차이점이 있었다. 성립연대가 17세기 후반으로 서유럽보다 늦었다. 그리고 자율적인 왕권의 강화가 아니라 타율적이면서 군사적인 성격이 강하였다. 또한 계몽절대주의라는 특징을 지니면서 왕과 귀족이 협력하여 시민 계급을 억누르면서 전제정치를 하였고, 재판 농노제가 절대왕정 성립의 기반이 되었다. 이 시기의 귀족은 고급관리와 군 장교로서 왕권에 봉사하는 봉사귀족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귀족들의 대가로 동유럽의 절대왕정은 영지에서의 농노 지배를 인정하였다. 이렇듯 동유럽과 서유럽의 절대왕정은 차이가 있었고, 동유럽에서는 도시와 부르주아지의 미발달 및 왕권과 귀족의 유착으로 인해 밑으로부터의 개혁이나 혁명의 가능성은 희박하였고 위로부터의 개혁만이 가능한 상황이었다.
30년 전쟁
독일에서는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의 화의(和議) 후 곧 신· 구 양교의 대립이 다시 일어나, 17세기에 접어들자 일촉즉발의 상황에 있었는데 전란은 먼저 보헤미아에서 발발하였다.
보헤미아에서는 1609년 귀족들이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루돌프 2세로부터 신앙의 자유 승인을 얻었지만, 17년 페르디난트가 보헤미아왕위에 오르자 신교파를 압박하였으므로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전쟁의 경과는 황제파의 대전국에 따라 다음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보헤미아 - 팔츠 전쟁(1618~1623)
내란의 와중인 1619년에 페르디난트가 황제로 즉위하자, 보헤미아 의회는 페르디난트의 왕위를 취소하고 신교파인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를 국왕으로 뽑았다. 이 때문에 전쟁은 독일 전체에 파급될 형세가 되었지만 프리드리히가 칼뱅파였기 때문에 약간의 신교파 제후의 협력밖에 얻지 못하였다. 다른 한편의 황제는 구교파 제후의 지도자 바이에른 공 막시밀리안의 협력과 에스파냐의 원조를 얻어, 반격으로 나가 1620년에는 프리드리히군을 프라하 서쪽의 바이서베르크에서 격파하였다. 계속해서 황제는 반란에 가담한 신교파 제후군을 각지에서 제압하였고 에스파냐군도 팔츠령에 침입하였다.
2. 덴마크 전쟁(1625~29)
덴마크왕 크리스티안 4세는 이 기회를 틈타서 영국과 네덜란드의 원조를 확보하고 1625년 북독일에 침입하였다. 곤경에 빠진 황제는 발렌슈타인을 황제군총사령관으로 임명하였고, 발렌슈타인은 바이에른 사령관 틸리와 협력하여 크레스
30년 전쟁
독일에서는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의 화의(和議) 후 곧 신· 구 양교의 대립이 다시 일어나, 17세기에 접어들자 일촉즉발의 상황에 있었는데 전란은 먼저 보헤미아에서 발발하였다.
보헤미아에서는 1609년 귀족들이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루돌프 2세로부터 신앙의 자유 승인을 얻었지만, 17년 페르디난트가 보헤미아왕위에 오르자 신교파를 압박하였으므로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전쟁의 경과는 황제파의 대전국에 따라 다음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보헤미아 - 팔츠 전쟁(1618~1623)
내란의 와중인 1619년에 페르디난트가 황제로 즉위하자, 보헤미아 의회는 페르디난트의 왕위를 취소하고 신교파인 팔츠 선제후 프리드리히 5세를 국왕으로 뽑았다. 이 때문에 전쟁은 독일 전체에 파급될 형세가 되었지만 프리드리히가 칼뱅파였기 때문에 약간의 신교파 제후의 협력밖에 얻지 못하였다. 다른 한편의 황제는 구교파 제후의 지도자 바이에른 공 막시밀리안의 협력과 에스파냐의 원조를 얻어, 반격으로 나가 1620년에는 프리드리히군을 프라하 서쪽의 바이서베르크에서 격파하였다. 계속해서 황제는 반란에 가담한 신교파 제후군을 각지에서 제압하였고 에스파냐군도 팔츠령에 침입하였다.
2. 덴마크 전쟁(1625~29)
덴마크왕 크리스티안 4세는 이 기회를 틈타서 영국과 네덜란드의 원조를 확보하고 1625년 북독일에 침입하였다. 곤경에 빠진 황제는 발렌슈타인을 황제군총사령관으로 임명하였고, 발렌슈타인은 바이에른 사령관 틸리와 협력하여 크레스
추천자료
영화`머스킷티어`속의경제
서양근현대사 프랑스혁명
사회복지정책사
‘라클로’의 『위험한관계』에 나타난 18세기 프랑스적인 요소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문학에 대한 분석
시민혁명 - 영국혁명,프랑스혁명,미국독립혁명을 중심으로
[윤리][신문윤리][기업윤리][의학윤리][환경윤리][행정윤리][광고윤리][경제윤리][시민윤리]...
fta 논제
[학습지도안] -중학교 사회 2, 서양 근대 사회의 시작
복지국가는 비효율을 가져오는가?
공공부조(공공부조, 공공부조, 공공부조 생성과정, 공공부조적용대상, 공공부조의 기본원리, ...
몽테스키외 법의 정신 레포트
[요약] 제5장 관료제의 역사적 전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