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mi RNA
2. si RNA
3. RNAi
4. 출처
2. si RNA
3. RNAi
4. 출처
본문내용
, 둘째는 RISC와 결합하여 target mRNA를 분해하는 방법이다. dsRNA가 dicer라는 단백질 합성물과 결합하고, dicer는 dsRNA를 21-23 bp 정도 크기의 작은 조각으로 분해한다. 이때, RISC complex가 이 분해된 dsRNA과 결합하고 RISC complex의 RNAse인 argonaute를 통해 이중가닥 중 하나의 RNA를 제거한다. 남은 RNA 가닥과 RISC complex는complement
ary binding에 의해 target mRNA와 연결되고 그 mRNA를 분해한다.
RNAi의 발견은 신약개발의 패러다임도 변화시켰다.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내는 데 걸리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단축시켰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2001년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서도 RNAi 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SiRNA가 개발되면서 게놈 연구 및 의약품 개발 분야에 획기적 전기를 이룰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예를 들어 전혀 정체를 알 수 없는 유전자가 있다고 하자. 그 유전자의 염기서열만 알면 상보적인 SiRNA를 인위적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세포에 집어넣고 정상세포와 비교하면 발생하는 현상의 차이를 통해 특정 유전자의 비밀을 풀 수 있다.
4. 출처(참고)
http://tt.paper6.com/tt/924
http://blog.naver.com/yanglife/20059870579
http://blog.naver.com/yigiyong.do?Redirect=Log&logNo=80002569574
http://blog.naver.com/jaegalhyun/70030083664
ary binding에 의해 target mRNA와 연결되고 그 mRNA를 분해한다.
RNAi의 발견은 신약개발의 패러다임도 변화시켰다.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내는 데 걸리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단축시켰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2001년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서도 RNAi 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SiRNA가 개발되면서 게놈 연구 및 의약품 개발 분야에 획기적 전기를 이룰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예를 들어 전혀 정체를 알 수 없는 유전자가 있다고 하자. 그 유전자의 염기서열만 알면 상보적인 SiRNA를 인위적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세포에 집어넣고 정상세포와 비교하면 발생하는 현상의 차이를 통해 특정 유전자의 비밀을 풀 수 있다.
4. 출처(참고)
http://tt.paper6.com/tt/924
http://blog.naver.com/yanglife/20059870579
http://blog.naver.com/yigiyong.do?Redirect=Log&logNo=80002569574
http://blog.naver.com/jaegalhyun/7003008366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