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패러글라이더의 역사와 정의
제 2장 패러글라이더의 구성 및 구조
제 3장 패러글라이더의 비행 원리
제 4장 지상훈련
제 5장 이륙 활공 착륙
제 6장 비행기술
제 7장 기상
제 8장 패러글라이딩 안전 수칙
제 9장 비행(수업)후 감상문 및 사진
*참고문헌
제 2장 패러글라이더의 구성 및 구조
제 3장 패러글라이더의 비행 원리
제 4장 지상훈련
제 5장 이륙 활공 착륙
제 6장 비행기술
제 7장 기상
제 8장 패러글라이딩 안전 수칙
제 9장 비행(수업)후 감상문 및 사진
*참고문헌
본문내용
목차
제 1장 패러글라이더의 역사와 정의
제 2장 패러글라이더의 구성 및 구조
제 3장 패러글라이더의 비행 원리
제 4장 지상훈련
제 5장 이륙 활공 착륙
제 6장 비행기술
제 7장 기상
제 8장 패러글라이딩 안전 수칙
제 9장 비행(수업)후 감상문 및 사진
*참고문헌
제 1장 패러글라이더의 역사와 정의
1.패러글라이더 역사
1984년 프랑스의 등산가 Jean Mark Cuovins가 낙하산을 개조하여 처음 패러글라이더를 만들어 비행에 성공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으로 인기를 얻고있는 패러글라이더의 효시라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쉽고, 간단하게 배워 비행을 즐기자 그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를 하였고 각국의 항공협회에서는 앞다투어 새로운 비행장르로서 수용하게 되었다.
그 결과 각국 항공협회 산하 행글라이딩 협회 내에 패러글라이딩 위원회를 구성하게 되었다. 국제 항공 연맹(F.A.I)산하 국제 행글라이딩 위원회(CIVL)에서도 그 조직내에 패러글라이딩 분과를 구성하여 이제 새로운 항공 스포츠로 성장하게 되었다.
국내에는 1986년 처음으로 소개되어 레저 항공 스포츠로 널리 각광을 받기 시작하여 한국 활공 협회에 패러글라이딩 분과가 개설되어 오늘날 대중 스포츠로 자리 매김 하고 있다.
패러글라이더의 날개는 낙하산에서 출발 하였기 때문에 초기의 패러글라이더는 모양 및 성능이 사각형 낙하산(램에어 패러슈트)과 비교하여 조금 나은 성능을 보였을 뿐이나 현재의 글라이더는 안전성이 확보화 함께 활공성능이 7-9:1 이상의 성능을 보이는 장비들이 국내에서 개발되어 외국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많은 선수들이 패러글라이더 월드컵 경기에 출전하여 많은 선전을 하고 있다.
2001년 우리나라 패러글라이더 국가랭킹 9위로 유럽 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2.패러글라이더 정의
패러글라이더(Paraglider)는 낙하산(Parachute)과 행글라이더(Hangglider)의 특성을 결합한것으로 낙하산의 안정성, 분해, 조립, 운반의 용이성 그리고 행글라이더의 활공성과 속도(speed)를 고루 갖춘 이상적인 날개형태로 만들어졌다. 패러글라이더는 최초 이륙을 위해 동력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사람의 힘으로 끌고 나아가 이륙을 하기 때문에 인력활공기라 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동력장치없이 사람이 달려가면서 이륙을 하거나, 또는 제자리에서 이륙을하여 비행을 한 후 다시 사람의 발로 착륙한다
1)항공기(aircraft)의 정의
국제법 - 대기의 반작용에 의해 공기중에 떠 있을 수 있는 기기를 항공기라한다.
국내법 - 사람이 탑승 조종하여 민간항공에 사용하는 \'비행기, 비행선, 활공기, 회전익항 공기\'를 말한다.
2)항공기(aircraft)의 정의
항공기 외에 사람이 탑승 조종하여 비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통령이 정하는 동력비행장 치, 인력 활공기, 기구류등을 말한다.
3)동력 비행장치 : 다음 요건을 갖춘 비행장치를 말한다.
> 자체 중량이 115Kg미만인것
> 연료 용량이 19이하인것
> 최대 출력 사용시 수평비행속도가 시속 102Km이하인것
> 느린 속도를 운전하는경우 실속속도가 시속 44Km이하인것
> 차륜, 스키드, 플로트( FLOAT)등의 착륙장치가 부착된 고정익 비행장치인것
4)인력 활공기
자체 중량이 70Kg 미만인 행글라이더 및 패러글라더
5)초경량 비행장치의 비행
초경량 비행장치를 이용하여 비행하고자 하는 자는 미리 비행계획을 수립하여 교통부장관 의 승인을 얻어야한다. 다만 교통부령이 정하는 공역에서 비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 니하다.
6)초경량 비행장치의 비행승인
초경량 비행장치의 비행계획의 승인을 얻고자하는 자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기재한 비행 계획승인 신청서를 교통부 장관에게 제출하여야한다. 비행 예정 일시 및 비행 예정 구역 비행의 방식, 경로 및 고도
제 2장 패러글라이더 구성 및 구조
1.패러글라이더는 크게 캐노피(날개),산줄 및 라이저, 하네스로 이루워져 있다.
1.brake line(제동줄,조종줄) 2.toggle(손잡이)
3.rapid link(연결고리) 4.front riser(앞 라이저) 5.rear riser(뒷 라이저)
6.front suspension lines(앞쪽 지지 산줄) 7.hole(기공) 8.harness seat(조종석)
9.stabilizer(수직 안정판) 10.upper camber(윗 캠버) 11.lower camber(아래 캠버) 12.trailing edge(뒷전,후연) 13.leading edag(앞전,전연) 14.rear suspension lines(뒷쪽 지지산줄) 15.seperator
2.패러글라이더 각 부분의 역활
1)캐노피(canopy,날개)의 역활
날개 윗면과 아래 면에 공기를 지나가게 함으로써 압력 차이에 의해 사람을 공
중에 뜨게 하는 역할을 한다.
2)산줄(suspension lines) 및 라이저(riser)의 역활
날개에 연결된 수 십개의 산줄은 비행중 파이로트의 체중을 지탱해 주며, 라
이저(riser)는 이러한 산 줄을 연결고리(rapid rink)를 통해 하네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2~4 개의 끈(띠 belt)이다.
3)하네스(harness)의 역활
파이로트가 장시간 비행할 수 있도록 산줄 및 라이저를 통해 연결 되어 편안
하게 비행 및 조종을 할 수 있는 장치를 하네스라 한다
3.부속 장비의 역활
1)헬멧
헬멧은 파이로트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 장비로서 지상 착륙시 또는 지상
연습 시에 돌발 상황이나 무게 중심을 잃어, 머리부분이 지면 ,돌 또는 기타 장애
물과 부
제 1장 패러글라이더의 역사와 정의
제 2장 패러글라이더의 구성 및 구조
제 3장 패러글라이더의 비행 원리
제 4장 지상훈련
제 5장 이륙 활공 착륙
제 6장 비행기술
제 7장 기상
제 8장 패러글라이딩 안전 수칙
제 9장 비행(수업)후 감상문 및 사진
*참고문헌
제 1장 패러글라이더의 역사와 정의
1.패러글라이더 역사
1984년 프랑스의 등산가 Jean Mark Cuovins가 낙하산을 개조하여 처음 패러글라이더를 만들어 비행에 성공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으로 인기를 얻고있는 패러글라이더의 효시라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쉽고, 간단하게 배워 비행을 즐기자 그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를 하였고 각국의 항공협회에서는 앞다투어 새로운 비행장르로서 수용하게 되었다.
그 결과 각국 항공협회 산하 행글라이딩 협회 내에 패러글라이딩 위원회를 구성하게 되었다. 국제 항공 연맹(F.A.I)산하 국제 행글라이딩 위원회(CIVL)에서도 그 조직내에 패러글라이딩 분과를 구성하여 이제 새로운 항공 스포츠로 성장하게 되었다.
국내에는 1986년 처음으로 소개되어 레저 항공 스포츠로 널리 각광을 받기 시작하여 한국 활공 협회에 패러글라이딩 분과가 개설되어 오늘날 대중 스포츠로 자리 매김 하고 있다.
패러글라이더의 날개는 낙하산에서 출발 하였기 때문에 초기의 패러글라이더는 모양 및 성능이 사각형 낙하산(램에어 패러슈트)과 비교하여 조금 나은 성능을 보였을 뿐이나 현재의 글라이더는 안전성이 확보화 함께 활공성능이 7-9:1 이상의 성능을 보이는 장비들이 국내에서 개발되어 외국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많은 선수들이 패러글라이더 월드컵 경기에 출전하여 많은 선전을 하고 있다.
2001년 우리나라 패러글라이더 국가랭킹 9위로 유럽 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2.패러글라이더 정의
패러글라이더(Paraglider)는 낙하산(Parachute)과 행글라이더(Hangglider)의 특성을 결합한것으로 낙하산의 안정성, 분해, 조립, 운반의 용이성 그리고 행글라이더의 활공성과 속도(speed)를 고루 갖춘 이상적인 날개형태로 만들어졌다. 패러글라이더는 최초 이륙을 위해 동력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사람의 힘으로 끌고 나아가 이륙을 하기 때문에 인력활공기라 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동력장치없이 사람이 달려가면서 이륙을 하거나, 또는 제자리에서 이륙을하여 비행을 한 후 다시 사람의 발로 착륙한다
1)항공기(aircraft)의 정의
국제법 - 대기의 반작용에 의해 공기중에 떠 있을 수 있는 기기를 항공기라한다.
국내법 - 사람이 탑승 조종하여 민간항공에 사용하는 \'비행기, 비행선, 활공기, 회전익항 공기\'를 말한다.
2)항공기(aircraft)의 정의
항공기 외에 사람이 탑승 조종하여 비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통령이 정하는 동력비행장 치, 인력 활공기, 기구류등을 말한다.
3)동력 비행장치 : 다음 요건을 갖춘 비행장치를 말한다.
> 자체 중량이 115Kg미만인것
> 연료 용량이 19이하인것
> 최대 출력 사용시 수평비행속도가 시속 102Km이하인것
> 느린 속도를 운전하는경우 실속속도가 시속 44Km이하인것
> 차륜, 스키드, 플로트( FLOAT)등의 착륙장치가 부착된 고정익 비행장치인것
4)인력 활공기
자체 중량이 70Kg 미만인 행글라이더 및 패러글라더
5)초경량 비행장치의 비행
초경량 비행장치를 이용하여 비행하고자 하는 자는 미리 비행계획을 수립하여 교통부장관 의 승인을 얻어야한다. 다만 교통부령이 정하는 공역에서 비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 니하다.
6)초경량 비행장치의 비행승인
초경량 비행장치의 비행계획의 승인을 얻고자하는 자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기재한 비행 계획승인 신청서를 교통부 장관에게 제출하여야한다. 비행 예정 일시 및 비행 예정 구역 비행의 방식, 경로 및 고도
제 2장 패러글라이더 구성 및 구조
1.패러글라이더는 크게 캐노피(날개),산줄 및 라이저, 하네스로 이루워져 있다.
1.brake line(제동줄,조종줄) 2.toggle(손잡이)
3.rapid link(연결고리) 4.front riser(앞 라이저) 5.rear riser(뒷 라이저)
6.front suspension lines(앞쪽 지지 산줄) 7.hole(기공) 8.harness seat(조종석)
9.stabilizer(수직 안정판) 10.upper camber(윗 캠버) 11.lower camber(아래 캠버) 12.trailing edge(뒷전,후연) 13.leading edag(앞전,전연) 14.rear suspension lines(뒷쪽 지지산줄) 15.seperator
2.패러글라이더 각 부분의 역활
1)캐노피(canopy,날개)의 역활
날개 윗면과 아래 면에 공기를 지나가게 함으로써 압력 차이에 의해 사람을 공
중에 뜨게 하는 역할을 한다.
2)산줄(suspension lines) 및 라이저(riser)의 역활
날개에 연결된 수 십개의 산줄은 비행중 파이로트의 체중을 지탱해 주며, 라
이저(riser)는 이러한 산 줄을 연결고리(rapid rink)를 통해 하네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2~4 개의 끈(띠 belt)이다.
3)하네스(harness)의 역활
파이로트가 장시간 비행할 수 있도록 산줄 및 라이저를 통해 연결 되어 편안
하게 비행 및 조종을 할 수 있는 장치를 하네스라 한다
3.부속 장비의 역활
1)헬멧
헬멧은 파이로트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 장비로서 지상 착륙시 또는 지상
연습 시에 돌발 상황이나 무게 중심을 잃어, 머리부분이 지면 ,돌 또는 기타 장애
물과 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