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및재활] 어깨 견관절 충돌 증후군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해및재활] 어깨 견관절 충돌 증후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1. 주제 선정 이유
2. 어깨의 해부학적 이해
3. 어깨의 운동
• 본 론 -Ⅰ, 어깨의 다양한 상해 및 질환
1. 견관절 탈구
2. 오십견
3. 슬랩 병변
4. 석회화건염
5. 회선근개 파열
6. 쇄골골절
7. 견갑골절
8. 상완골절
9. 견쇄관절 염좌
10. 견와상완관절 염좌
• 본 론 -Ⅱ,Impingement Syndrome(충돌증후군)
1. Definition(정의)
2. 발병원인 및 기전
3. 운동 기전
4. 충돌증후군의 원인
5. Symptoms(증상)
6. Diagnosis (진단)
7. Treatments(치료)
8. Physical Therapy : 운동과 물리치료
• 본 론 -Ⅲ, 어깨충돌증후군의 재활
1. 충돌증후군의 재활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점.
2. 시기에 따른 재활
3. 재활 사례
• 결 론
• 고 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절와(glenoid fossa)에서 상완골두와 관절한다. 관절와는 견갑골의 내측연에 대해 약 5°정도 상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안정상태에서, 견갑골은 흉곽의 후외측면쪽에 위치하는데 이때 관절와는 전두면에서 약 35°정도 전방을 향하고 있다. 견갑골의 이러한 방향을 견갑면(scapular plane)이라 한다.
관절와의 위쪽 가장자리에 위치된 결절을 관절상결절(supraglenoid tubercle)이라 하고 아래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결절을 관절하결절(infraglenoid tubercle)이라 한다. 이 결절들은 상완이두근의 장두와 상완삼두근의 장두가 기시하는 곳이다. 관절와의 위쪽 가장자리 근처에 \"까마귀의 부리\"를 닮은 돌출된 오훼돌기(coracoid process)가 있다. 오훼돌기는 견갑골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는데, 인대와 근육들을 위한 다양한 부착부위를 제공한다. 견갑하와 내측의 오목한 곳에는 두꺼운 견갑하근이 위치한다.
관절(Articulation)
어깨 주변에는 4개의 중요한 관절이 있다 : 흉쇄관절(sternoclaviclular joint), 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견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
- 흉쇄관절(sternoclaviclular joint)
쇄골은 상지와 몸통사이의 유일한 관절인 흉쇄관절을 형성하기 위해 흉골병(manubrium of the sternum)과 연결 된다. 쇄골이 흉골과 닿는 면은 흉골보다 크기 때문에 쇄골은 흉골보다 높게 위피하게 된다. 섬유연골판은 두 견와면 사이에 있다. 연골판은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상방으로의 변위를 막는다. 연골판이 있으므로 쇄골은 연골판 쪽으로 움직이고 연골판은 반대로 독자적으로 흉골쪽으로 움직인다. 쇄골은 전후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회전도 일어난다.
- 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견쇄관절은 쇄골의 바깥쪽 끝과 견봉이 만나는 평면 관졸로서 결합력은 약하다. 섬유연골판이 관절면 사이에 있으며 얇은 섬유낭이 관절을 둘러싸고 있다.
- 견상완관절(glenohumeral joint)
견상와 관절은 구성관절로서 둥근 상완골두가 견갑골의 얕은 견와강과 결합한다. 견와강은 견와순(glenoid labrum) 이라고 하는 섬유성 인대에 의해 결합력이 높아진다. 견상완관절은 능동적, 수동적 안정성에 의해 유지되는데 수동적 안정성은 견와순과 견와낭 인대와 관련되며 능동적 안정성은 삼각근과 어깨 회전근(rotator cuff muscles)과 관련된다.
-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
견흉관절는 정식 견와는 아니지만 흉곽벽에 대한 견갑골의 움직임은 견와의 움직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견갑골의 척추에 부착시키는 견갑골 근육들의 수축은 견갑골을 안정시키는데 중요하며 따라서 견와가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인대(lLigaments)
- 흉쇄 관절 인대(sternoclavicular Joint Ligaments)
흉쇄관절은 뼈의 배열상 매우 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쇄골의 흉골쪽을 흉골 아랫방향으로 당겨서 효과적으로 지탱하고 있는 강한 인대들에 의해 안정돼 있다. 중요한 인대들로는 쇄골이 상방으로 변위되는 것을 막아주는 전흉쇄인대(anterior sternoclavicular ligament)와 후흉쇄인대(posterior sternoclavicular ligament)가 있으며 쇄골의 측방변위를 막아주는 쇄골간 인대(interclavicular ligament)와 측상방으로의 변위를 막아주는 늑쇄(costoclavicular)인대가 있다.
- 견쇄관절인대(Acomioclavicular Joint Ligaments)
견쇄관절인대는 전, 후 , 상, 하 부분으로 구성된다. 견쇄관절 외에도 오구쇄골인대(coracoclavicaular ligament)는 오구돌기와 쇄골을 결합시켜 견봉에 대한 쇄골의 위치를 견고히 한다. 오구쇄골인대는 쇄골이 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견쇄관절에서 견갑골에 약간의 움직임을 일으킬 수 있다. 오구견봉인대(coracoacromial)는 오구돌기를 견봉에 결합시키며 견봉을 EK라 오구견봉 아치를 형성한다.
- 견와상완견와인대( Glenohumeral Joint Ligaments)
견와상완견와는 느슨한 연골성 낭이다. 이 낭은 상, 중, 하 견와상완견와인대와 오구돌기 및 상완의 대결절에 부착하는 오구상완 인대에 의해 지지된다. 견와상완견와인대는 어깨의 굴곡, 신전, 회전시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전견와상완견와인대는 어깨가 신전, 외전, EH는 외회전할 때 긴장한다. 후견와상완견와인대는 외 회전 하면서 신전할 때 장력이 가장 커지며 중견와상완견와인대는 굴곡과 외회전시에 가장 장력이 커진다. 후견와상완견와낭은 어깨가 굴곡, 외전, 내회전 중 어떤 것이라도 서로 복합되어 나타나면 긴장을 일으킨다. 후견와상완견와낭의 상부 및 중앙부분은 어깨가 내회전할 때 긴장이 극대화된다. 하견와상완견와인대는 상완골두의 전 후방 탈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완이두근의 장두건(long tendon)은 상완골두를 지나 결절사이간구(bicipital groove)를 통과한다. 해부학적 위치에서 보면 상완이두근의 장두는 상완골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움직인다. 횡인대는 소결절과 대결절에서 시작하여 결저라이간구내에 장두건(long biceps tendon)이 위치해 있도록 한다.
근육(muscelature)
- 견와상완절에 작용하는 근육들
견와상완관절을 통과하는 근육들은 동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낼 뿐만 아니라 QU와 인대 조직의 운동범위가 크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견와상완견와의 움직임은 굴곡, 신전, 외전, 내전, 수평 내외전, 내외회전 그리고 회선등이다. 견와상완견와에 작용하는 근육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 첫 번째 그룹은 척추에서 기시하여 상완에 부착하는 근육둘로서 광배근과 대흉근이다. 두 번째 그룹은 견갑골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에 부착하는 근육들로 삼각근, 대원근, 오구완근 등이 이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9.12.07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5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