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서 론
본론 Ⅰ 무릎의 이해
1. 해부학적 구조
2. Anatomy, Function, Injury mechanism, Sports injury에 따른 분류
3. 구체적인 상해
본론 Ⅱ 여성과 스포츠
1. 여성 스포츠의 역사
2. 여성의 생리적, 생역학적 차이
3. 여성의 무릎 손상
4. 여성무릎의 특징
결 론
참 고 문 헌
서 론
본론 Ⅰ 무릎의 이해
1. 해부학적 구조
2. Anatomy, Function, Injury mechanism, Sports injury에 따른 분류
3. 구체적인 상해
본론 Ⅱ 여성과 스포츠
1. 여성 스포츠의 역사
2. 여성의 생리적, 생역학적 차이
3. 여성의 무릎 손상
4. 여성무릎의 특징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어있다. Lateral Meniscus는 거의 원형에 가까우며, 만곡경이 작고 깊으며, Medial Meniscus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의 경골 관절면을 덮고 있다. 전체적인 폭은 일정하고 전각부는 ACL의 전방, 경골과간융기 앞에 부착한다. 후각부는 경골과간융기의 뒤, Medial Meniscus 후각부의 앞에 부착한다. Medial Meniscus 보다 느슨하게 관절낭에 부착되어 있고, 경골중심부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해부학적인 특성 때문에 Lateral Meniscus는 Medial Meniscus 보다 유동성이 크며, 전후방으로 약 1cm이상 유동성이 있다고 한다. 내회전시 Medial Meniscus는 내측경골 고평부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Lateral meniscus는 외측경골 고평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외회전시 이동방향은 반대가 된다.
② Function
Meniscus는 슬관절 안정성 증가의 기능을 한다. 특히 Medial Meniscus는 무릎이 90°굴곡할 때, 무릎의 안정을 돕는다. Meniscus는 활액을 균등히 분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슬관절의 윤활 작용을 도와주고, 관절의 영양에 도움을 준다. 또한 관절연골 위에 스트레스를 퍼지게 하여 연골마모를 감소시키며, 과의 접촉 지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체중분산을 증진한다. 특히 내측 부분에서 접촉력의 1/2을 전달하고 외측부분에서의 접촉력은 더 높은 비율로 전달한다. 그 외에도 관절낭이 관절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대퇴관절과의 직접적인 움직임에 의한 관절의 잠김 기전에 관여하고, 슬관절의 회전운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③ Mechanism of knee injury
일반적으로 Meniscus 상해는 무릎의 굴곡 또는 신전상태에서 체중이 부하되면서 발생하는 것이 가장 흔하다. 많은Meniscus 병변이 발이 접지한 상태에서 무릎의 부분적 굴곡에서 갑작스럽고 강한 대퇴골의 내회전을 발생시키는 컷팅 동작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다. 대부분의 Medial Meniscus 병변은 발을 지면에 고정시키고 슬관절을 약간 굴곡한 상태에서 대퇴를 강하고 갑작스럽게 내회전한 결과로 발생된다. 이렇게 미치는 힘의 결과로 연골이 제 위치를 벗어나게 되고 대퇴골과 사이에 꽉 끼게 된다. Medial Meniscus는 자주 파열하며 강한 인대파열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Medial Meniscus가 쉽게 파열되는 이유는 강력히 인대에 부착하여서 가동성이 적은 데다가 대퇴골이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때 경골상에서 잘 잡아 당겨지기 때문이다. Lateral Meniscus는 대퇴골이 외회전되고 슬관절이 강하게 신전됨으로써 사선 열상을 받을 수 있다.
④ Sports injury
Meniscus injury는 전체 knee injury의 6.9% 정도이다. Meniscus는 체조의 착지, 농구에서의 급격한 정지로 인하여 손상을 쉽게 받는다. 달리는 도중의 갑자기 멈추는 동작은 Medial meniscus를 비틀리게 한다. 또한 전형적으로 축구 선수가 발이 고정된 채 태클이 걸린 경우, 중앙 연골 조직이 강제적인 굴곡과 회전으로 인해 손상 받게 된다.
3. 구체적인 상해
무릎손상은 무릎의 인대와 반월판에서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한다.
1) 내측 측부인대 염좌
-병리기전
MCL은 슬관절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손상되는 인대이다. MCL염좌의 약 65%정도가 대퇴골의 근위 정지부에서 발생한다. 근위부의 손상은 경직이 더 심하나 경골 정지부 인근의 손상보다 이완의 잔존성은 덜하다. 내측 반월판 열상은 종종 1도와 2도 MCL의 염좌와 관련되지만 3도 염좌와 함께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MCL염좌의 진단은 항상 이학적 평가로 이루어지고 일반적으로 MRI까지는 필요하지 않다. 인대 손상의 정도는 관절의 이완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1도 MCL염좌의 경우 미세열상으로 인한 압통이 있으나 이완의 증가가 없고 팽팽한 끝 느낌이 있다. 2도 염좌의 경우 불완전 열상으로 30도 굴곡에서 외반 스트레스로 이완이 다소 증가하지만 팽팽한 끝 느낌이 있따. 촉진 시 압통과 출혈, 외반스트레스 검사 시 통증이 있다. 3도 염증의 경우 완전신전 상태에서 외반 스트레스 검사 시 현저한 이완이 나타나는 완전 열상이다. 끝 느낌이 없으며 1도 또는 2도 염좌보다 통증은 덜하다. 완전신전 상태에서 외반 스트레스 검사 시 현저한 이완은 내측 관절낭과 십자인대의 손상을 의미한다.
-손상기전
MCL염좌는 인대의 강도를 초과하는 외반력이 외측으로부터 슬관절에 충격이 가해져서 대개 발생한다. 이것은 특히 3도 염좌의 경우 그러하다. 매우 드물게 비접촉성으로 MCL염좌가 발생하여 MCL열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2도 염좌의 대부분이 무릎의 외반운동과 관련된 간접적 회전력을 통해 발생한다는 주장도 있다. 발을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무릎 외측에서 가격을 받았고 무릎 내측에서 땅기거나 찢어지는 느낌의 통증이 즉시 나타났다고 선수들은 설명한다. 종창은 즉시 발생하며 3일 이내에 반상출혈이 손상부위에 나타날 수 있다.
2) 외측 측부인대 염좌
-병리기전
다행히도 슬관절의 외측면은 2차적인 안정장치에 의해 잘 지지되고 있따. LCL손상은 선수에게 드물며 발생 시 다른 인대 손상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LCL손상은 무릎의 외측면에 스트레스가 가해져서 발생한다. LCL염좌는 모든 슬관절 염좌 중에 가장 드물게 나타난다. LCL염좌의 경우 약 75&눈 박리가 동반된 또는 동반되지 않은 비골두에서의 파열, 20%는 대퇴골에서의 파열, 5%는 중간부위 열상으로 발생한다. 비골신경이 비골두 주위를 지나기 때문에 비골신경 손상과 관련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LCL의 완전파열은 PCL뿐만 아니라 후외측 관절낭과 자주 관련되며 ACL과 관련되기도 한다.
이완 정도에 따라 손상의 심각성이 결정된다. 1도 염좌의 경우 출혈을 동반한 미세열상 때문에 LCL에 통증이 있고 촉진시 압통이 있다. 그러나 이완의 증가는 없고 팽팽한 끝느낌이 있다. 2도 염좌의 경우 30도 굴곡에서의 내반 스트레스 검사 시 이
② Function
Meniscus는 슬관절 안정성 증가의 기능을 한다. 특히 Medial Meniscus는 무릎이 90°굴곡할 때, 무릎의 안정을 돕는다. Meniscus는 활액을 균등히 분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슬관절의 윤활 작용을 도와주고, 관절의 영양에 도움을 준다. 또한 관절연골 위에 스트레스를 퍼지게 하여 연골마모를 감소시키며, 과의 접촉 지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체중분산을 증진한다. 특히 내측 부분에서 접촉력의 1/2을 전달하고 외측부분에서의 접촉력은 더 높은 비율로 전달한다. 그 외에도 관절낭이 관절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대퇴관절과의 직접적인 움직임에 의한 관절의 잠김 기전에 관여하고, 슬관절의 회전운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③ Mechanism of knee injury
일반적으로 Meniscus 상해는 무릎의 굴곡 또는 신전상태에서 체중이 부하되면서 발생하는 것이 가장 흔하다. 많은Meniscus 병변이 발이 접지한 상태에서 무릎의 부분적 굴곡에서 갑작스럽고 강한 대퇴골의 내회전을 발생시키는 컷팅 동작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다. 대부분의 Medial Meniscus 병변은 발을 지면에 고정시키고 슬관절을 약간 굴곡한 상태에서 대퇴를 강하고 갑작스럽게 내회전한 결과로 발생된다. 이렇게 미치는 힘의 결과로 연골이 제 위치를 벗어나게 되고 대퇴골과 사이에 꽉 끼게 된다. Medial Meniscus는 자주 파열하며 강한 인대파열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Medial Meniscus가 쉽게 파열되는 이유는 강력히 인대에 부착하여서 가동성이 적은 데다가 대퇴골이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때 경골상에서 잘 잡아 당겨지기 때문이다. Lateral Meniscus는 대퇴골이 외회전되고 슬관절이 강하게 신전됨으로써 사선 열상을 받을 수 있다.
④ Sports injury
Meniscus injury는 전체 knee injury의 6.9% 정도이다. Meniscus는 체조의 착지, 농구에서의 급격한 정지로 인하여 손상을 쉽게 받는다. 달리는 도중의 갑자기 멈추는 동작은 Medial meniscus를 비틀리게 한다. 또한 전형적으로 축구 선수가 발이 고정된 채 태클이 걸린 경우, 중앙 연골 조직이 강제적인 굴곡과 회전으로 인해 손상 받게 된다.
3. 구체적인 상해
무릎손상은 무릎의 인대와 반월판에서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한다.
1) 내측 측부인대 염좌
-병리기전
MCL은 슬관절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손상되는 인대이다. MCL염좌의 약 65%정도가 대퇴골의 근위 정지부에서 발생한다. 근위부의 손상은 경직이 더 심하나 경골 정지부 인근의 손상보다 이완의 잔존성은 덜하다. 내측 반월판 열상은 종종 1도와 2도 MCL의 염좌와 관련되지만 3도 염좌와 함께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MCL염좌의 진단은 항상 이학적 평가로 이루어지고 일반적으로 MRI까지는 필요하지 않다. 인대 손상의 정도는 관절의 이완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1도 MCL염좌의 경우 미세열상으로 인한 압통이 있으나 이완의 증가가 없고 팽팽한 끝 느낌이 있다. 2도 염좌의 경우 불완전 열상으로 30도 굴곡에서 외반 스트레스로 이완이 다소 증가하지만 팽팽한 끝 느낌이 있따. 촉진 시 압통과 출혈, 외반스트레스 검사 시 통증이 있다. 3도 염증의 경우 완전신전 상태에서 외반 스트레스 검사 시 현저한 이완이 나타나는 완전 열상이다. 끝 느낌이 없으며 1도 또는 2도 염좌보다 통증은 덜하다. 완전신전 상태에서 외반 스트레스 검사 시 현저한 이완은 내측 관절낭과 십자인대의 손상을 의미한다.
-손상기전
MCL염좌는 인대의 강도를 초과하는 외반력이 외측으로부터 슬관절에 충격이 가해져서 대개 발생한다. 이것은 특히 3도 염좌의 경우 그러하다. 매우 드물게 비접촉성으로 MCL염좌가 발생하여 MCL열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2도 염좌의 대부분이 무릎의 외반운동과 관련된 간접적 회전력을 통해 발생한다는 주장도 있다. 발을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무릎 외측에서 가격을 받았고 무릎 내측에서 땅기거나 찢어지는 느낌의 통증이 즉시 나타났다고 선수들은 설명한다. 종창은 즉시 발생하며 3일 이내에 반상출혈이 손상부위에 나타날 수 있다.
2) 외측 측부인대 염좌
-병리기전
다행히도 슬관절의 외측면은 2차적인 안정장치에 의해 잘 지지되고 있따. LCL손상은 선수에게 드물며 발생 시 다른 인대 손상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LCL손상은 무릎의 외측면에 스트레스가 가해져서 발생한다. LCL염좌는 모든 슬관절 염좌 중에 가장 드물게 나타난다. LCL염좌의 경우 약 75&눈 박리가 동반된 또는 동반되지 않은 비골두에서의 파열, 20%는 대퇴골에서의 파열, 5%는 중간부위 열상으로 발생한다. 비골신경이 비골두 주위를 지나기 때문에 비골신경 손상과 관련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LCL의 완전파열은 PCL뿐만 아니라 후외측 관절낭과 자주 관련되며 ACL과 관련되기도 한다.
이완 정도에 따라 손상의 심각성이 결정된다. 1도 염좌의 경우 출혈을 동반한 미세열상 때문에 LCL에 통증이 있고 촉진시 압통이 있다. 그러나 이완의 증가는 없고 팽팽한 끝느낌이 있다. 2도 염좌의 경우 30도 굴곡에서의 내반 스트레스 검사 시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