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제1부 중국음식과 문화
제1장 중국의 특성
1.중국의 기후
2.중국의 지리적 특성
제2장 중국의 식사문화
1.식사 예절
2.중국인의 식사습관
제3장 중국음식 문화의 일반적인 특징
1.중국조리의 명칭과 해석
-조미료와 향신료
2.중국요리의 기본코스
-전채
-주요리
-후식
3.중국의 4대요리
-황하 유역- 北京菜(북경요리)
-양자강 유역- 上海菜 (상해요리)
-남부 연안지방 - 廣東菜 (광동요리)
-서부 대 분지- 四川菜(사천요리)
제4장 중국 차(茶)의 기원
1.차(茶)의 분류
참고문헌
제1부 중국음식과 문화
제1장 중국의 특성
1.중국의 기후
2.중국의 지리적 특성
제2장 중국의 식사문화
1.식사 예절
2.중국인의 식사습관
제3장 중국음식 문화의 일반적인 특징
1.중국조리의 명칭과 해석
-조미료와 향신료
2.중국요리의 기본코스
-전채
-주요리
-후식
3.중국의 4대요리
-황하 유역- 北京菜(북경요리)
-양자강 유역- 上海菜 (상해요리)
-남부 연안지방 - 廣東菜 (광동요리)
-서부 대 분지- 四川菜(사천요리)
제4장 중국 차(茶)의 기원
1.차(茶)의 분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불로 천천히 가열하면서 육수 맛이 충분히 배들게 하면, 상어지느러미는 밝은 황금색을 띠며 자르르 윤기가 돈다. 한 입 깨물면 말랑말랑 하면서 산뜻하게 탱탱한 느낌이 혀에 착 달라붙는 것 같은데 깐소요리는 품위 있고 맛 자체도 풍부하다.
4.중국 차(茶)의 기원
중국은 차나무의 원산지로서 차나무를 발견하고, 세계에서 제일 먼저 찻잎을 사용한 나라이다. 따라서 중국차의 기원을 일반적으로 차의 기원이라고 보며,
이에 관해선 여러가지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당나라 육우(陸羽, 쉼터 참조) <다경(茶經)>에 \"신농(神農)이 지은 식경에 따르면, 차를 오래 마시면 사람으로 하여금 힘이 있게 하고, 마음을 즐겁게 한다고 하였으므로 신농 황제 때인 BC 2737년 경에도 차가 기호 음료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농은 중국 삼황의 한 사람으로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고, 그가 온 세상에 모든 식물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그 맛을 보다가 독초에 의해 중독이 되었는데, 어느 날 문득 차잎을 먹고 난 다음 독이 제거된 것을 확인하고,이를 인간에게 널리 보급했다고 한다.
(<神農本草經>의 기록),
신농의 성은 강씨로 불의 덕으로써 임금이 된 까닭에 염제(炎帝)라고도 일컫는다.
중국 전한의 시대인 BC 59년에 노비매매 문서인 <동약>에도
무도에서 차를 사서 양씨가 지다. \'차를 많이 끓여놓으니 한데 모여서 술 마시는 일이 없어졌다. 고 적혀 있음으로 미루어 일찍이 차를 달이고(烹), 차를 사고 팔앗던 것을 알 수 있다. 인류가 차를 마시게 된 것은 어린 찻잎을 먹어보아 해가 없고, 특별한 효능이 있으므로 식용이나 약용으로 쓰이다가 저장법이 발달하여 기호음료로 쓰였을 것이므로 음료차의 유래는 농경사회(農耕社會)의 식생활 문화와 더불어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인도 향지국(香之國)의 왕자 달마(達磨)는 중국 소림굴(少林窟)에서 9년 면벽 후
선조가 되었는데 달마가 정진중 가장 참기 어려운 것이 수마(睡魔)였다고 한다.
이에 잠을 쫓기 위해 눈꺼풀을 떼어 뜰에 던졌고 바로 그 곳에서 자란 나무가 차나무였다는 전설이 전해져 오는데 이것의 진위는 알 길이 없으나 차는 불교와 더불어 중국 한국 일본등 동양 일대로 퍼져 나가게 되었다.
차의 분류
-용정차(龍井茶)
용정차는 중국 녹차의 일종으로서, 용정(龍井, 심한 가뭄에도 물이 마르지 않아 그 속에 용이 산다고 하여 붙혀진 이름)이란 샘옆 용정사란 절에서 재배한 차를 일러 용정차라 한데서 유래된 명차이다. 용정차는 뜨거운 솥에서 누르듯이 해 만들어지는 평평하고도 작설 모양의 차로, 구수한 듯 하면서도 신선하게 어우러지는 향을 지녔으며 차를 우리면 어린 찻싹과 여린 찻잎이 하나 하나 피어나서 아주 아름다우며 황녹색의 수색과 깊은 맛으로 인해 \'녹색의 황후라고도 불린다. 용정차의 주산지는 절강성 항주시 서호 서남의 용정촌 주위의 산 지역으로, 숲이 울창하고 1년 내내 기후가 온난하며 물안개가 둘러쳐져 있다고 하며, 기온은 평균 16도 이며 강수량은 1500㎜ 이상이다. 용정차의 등급은 차를 따는 시기 이외에도 산지의 의해서도 구분 되는데, 사봉용정, 매오용정, 서호용정으로 구분된다.
-오룡차
오룡차가 복건성에서 대만으로 전래된 시기는 청나라 가경(嘉慶) 년간(年間:1976∼1820년)이며, 도광(道光) 년간(年間:1820∼1850년)에 대만에서는 이미 오룡차를 대충 거칠게나마 제작 생산하게 되었다. 그후, 대만에서 조제(粗製:거칠게 제작)된 오룡차는 다시 복건성 복주(福州)로 운반되어져 재차 정제(精製)과정을 거친후 시판되었다.
대만의 오룡차는 중발효차(重醱酵茶)로 그 발효 정도가 70% 가량이다. 지금은 젊은층을 겨냥하여 만들어진 향기 위주의 경발효차가 많이 생산되고 있다. 그래서 그 맛과 향은 중후하면서도 회감(回甘:마신 후, 입안에서 감도는 단 기운)이 빠르고, 그 향이 오래가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대만에서는 아직도 고대(古代)의 제다법을 이용하여 오룡차를 많이 생산하는데, 그야말로 중국 정통의 오룡차를 생산하고 있다. 고급 오룡차는 \"일엽일심(一葉一心: 한 줄기에 한 잎만 달려 있는 것)\"으로 제작된 차를 최고로 치는데, 찻잎의 외관은 황갈색(黃褐色)을 띤다. 그리고 찻잎이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그 뒷면에는 흰 털이 솜털처럼 송송이 나 있다. 대만(臺灣) 말로 속칭 \"팽풍차(膨風茶)\"라고도 하는데, 영국인들이나 미국인들은 이를 가리켜 \"동방미인차(東方美人茶)\"라고 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백호오룡차이다.)
-백차(龍井茶)
백차는 차잎 전체가 솜같은 하얀 털로 덮여있고 차를 달인 후에 탕색은 담황색으로 우아한 빛을 발하고 맛의 담백함은 군자의 기품을 연상시킨다. 쓸개와 위에 좋으며 백호은침과 백호단등이 대표적이다. 백차는 주로 복건성의 여러지방에서 생산되며, 대만에서도 소량 생산된다. 백차에서 사용되는 원료로는 대백차의 튼튼하고 큰 싹만 제거하는 백아차와
하나의 싹에 두 세잎이 있거나, 단 한 잎짜리를 가려 따서 제다한 백옆차 두 가지가 있다.
백차는 일반적으로 싹이 통통하고 잔털이 많은 복정대백차와 같이 갓 나온 잎에
하얀 솜털이 많은 품종을 골라서 사용하는데, 다 만들어진 완성품에는 하얀 잔털이 덮여있어 아주 소박하고 단아하며 찻물이 맑고 담담하여 그 맛이 깔끔하다.
-롱징차(龍井茶)
중국차 중에서도 가장 으뜸으로 치는 차로 청나라 건릉제때에는 황실에서만 먹을수 있었던 고급차이다. 황져우(黃酒)에 있는 롱징(龍井)이라는 차밭이 그 특산지이다.
-윈우차(雲霧茶)
장시성(江西)의뤼산(盧山)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유명한 녹차이다.
-푸얼차(普茶, 보이차)
윈난성(雲南省)의 특산차로 발효시킨 것이 특징이다. 차의 입을 그대로 말려 파는 것과 차입을 쪄서 벽돌모양으로 압축시켜 만든 주안차형태의 두 가지가 있다.
-모리화차(茉莉花茶)
우리나라에서 쟈스민 차로 유명하다. 4분의1정도 발효시킨 차에다 모리화(茉莉花)꽃을 혼합하여 마든 차다.
-주안차
용정차
오룡차
백차
푸얼차
모리화차
차입을 찌거나 발효시켜서 압축하여 벽돌모양을 만든 차를 총칭 하는 것으로 주로 몽고인들이 즐겨 먹는 방식이다. 차로는 리우바오차(관동성이나 강시
4.중국 차(茶)의 기원
중국은 차나무의 원산지로서 차나무를 발견하고, 세계에서 제일 먼저 찻잎을 사용한 나라이다. 따라서 중국차의 기원을 일반적으로 차의 기원이라고 보며,
이에 관해선 여러가지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당나라 육우(陸羽, 쉼터 참조) <다경(茶經)>에 \"신농(神農)이 지은 식경에 따르면, 차를 오래 마시면 사람으로 하여금 힘이 있게 하고, 마음을 즐겁게 한다고 하였으므로 신농 황제 때인 BC 2737년 경에도 차가 기호 음료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농은 중국 삼황의 한 사람으로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고, 그가 온 세상에 모든 식물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그 맛을 보다가 독초에 의해 중독이 되었는데, 어느 날 문득 차잎을 먹고 난 다음 독이 제거된 것을 확인하고,이를 인간에게 널리 보급했다고 한다.
(<神農本草經>의 기록),
신농의 성은 강씨로 불의 덕으로써 임금이 된 까닭에 염제(炎帝)라고도 일컫는다.
중국 전한의 시대인 BC 59년에 노비매매 문서인 <동약>에도
무도에서 차를 사서 양씨가 지다. \'차를 많이 끓여놓으니 한데 모여서 술 마시는 일이 없어졌다. 고 적혀 있음으로 미루어 일찍이 차를 달이고(烹), 차를 사고 팔앗던 것을 알 수 있다. 인류가 차를 마시게 된 것은 어린 찻잎을 먹어보아 해가 없고, 특별한 효능이 있으므로 식용이나 약용으로 쓰이다가 저장법이 발달하여 기호음료로 쓰였을 것이므로 음료차의 유래는 농경사회(農耕社會)의 식생활 문화와 더불어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인도 향지국(香之國)의 왕자 달마(達磨)는 중국 소림굴(少林窟)에서 9년 면벽 후
선조가 되었는데 달마가 정진중 가장 참기 어려운 것이 수마(睡魔)였다고 한다.
이에 잠을 쫓기 위해 눈꺼풀을 떼어 뜰에 던졌고 바로 그 곳에서 자란 나무가 차나무였다는 전설이 전해져 오는데 이것의 진위는 알 길이 없으나 차는 불교와 더불어 중국 한국 일본등 동양 일대로 퍼져 나가게 되었다.
차의 분류
-용정차(龍井茶)
용정차는 중국 녹차의 일종으로서, 용정(龍井, 심한 가뭄에도 물이 마르지 않아 그 속에 용이 산다고 하여 붙혀진 이름)이란 샘옆 용정사란 절에서 재배한 차를 일러 용정차라 한데서 유래된 명차이다. 용정차는 뜨거운 솥에서 누르듯이 해 만들어지는 평평하고도 작설 모양의 차로, 구수한 듯 하면서도 신선하게 어우러지는 향을 지녔으며 차를 우리면 어린 찻싹과 여린 찻잎이 하나 하나 피어나서 아주 아름다우며 황녹색의 수색과 깊은 맛으로 인해 \'녹색의 황후라고도 불린다. 용정차의 주산지는 절강성 항주시 서호 서남의 용정촌 주위의 산 지역으로, 숲이 울창하고 1년 내내 기후가 온난하며 물안개가 둘러쳐져 있다고 하며, 기온은 평균 16도 이며 강수량은 1500㎜ 이상이다. 용정차의 등급은 차를 따는 시기 이외에도 산지의 의해서도 구분 되는데, 사봉용정, 매오용정, 서호용정으로 구분된다.
-오룡차
오룡차가 복건성에서 대만으로 전래된 시기는 청나라 가경(嘉慶) 년간(年間:1976∼1820년)이며, 도광(道光) 년간(年間:1820∼1850년)에 대만에서는 이미 오룡차를 대충 거칠게나마 제작 생산하게 되었다. 그후, 대만에서 조제(粗製:거칠게 제작)된 오룡차는 다시 복건성 복주(福州)로 운반되어져 재차 정제(精製)과정을 거친후 시판되었다.
대만의 오룡차는 중발효차(重醱酵茶)로 그 발효 정도가 70% 가량이다. 지금은 젊은층을 겨냥하여 만들어진 향기 위주의 경발효차가 많이 생산되고 있다. 그래서 그 맛과 향은 중후하면서도 회감(回甘:마신 후, 입안에서 감도는 단 기운)이 빠르고, 그 향이 오래가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대만에서는 아직도 고대(古代)의 제다법을 이용하여 오룡차를 많이 생산하는데, 그야말로 중국 정통의 오룡차를 생산하고 있다. 고급 오룡차는 \"일엽일심(一葉一心: 한 줄기에 한 잎만 달려 있는 것)\"으로 제작된 차를 최고로 치는데, 찻잎의 외관은 황갈색(黃褐色)을 띤다. 그리고 찻잎이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그 뒷면에는 흰 털이 솜털처럼 송송이 나 있다. 대만(臺灣) 말로 속칭 \"팽풍차(膨風茶)\"라고도 하는데, 영국인들이나 미국인들은 이를 가리켜 \"동방미인차(東方美人茶)\"라고 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백호오룡차이다.)
-백차(龍井茶)
백차는 차잎 전체가 솜같은 하얀 털로 덮여있고 차를 달인 후에 탕색은 담황색으로 우아한 빛을 발하고 맛의 담백함은 군자의 기품을 연상시킨다. 쓸개와 위에 좋으며 백호은침과 백호단등이 대표적이다. 백차는 주로 복건성의 여러지방에서 생산되며, 대만에서도 소량 생산된다. 백차에서 사용되는 원료로는 대백차의 튼튼하고 큰 싹만 제거하는 백아차와
하나의 싹에 두 세잎이 있거나, 단 한 잎짜리를 가려 따서 제다한 백옆차 두 가지가 있다.
백차는 일반적으로 싹이 통통하고 잔털이 많은 복정대백차와 같이 갓 나온 잎에
하얀 솜털이 많은 품종을 골라서 사용하는데, 다 만들어진 완성품에는 하얀 잔털이 덮여있어 아주 소박하고 단아하며 찻물이 맑고 담담하여 그 맛이 깔끔하다.
-롱징차(龍井茶)
중국차 중에서도 가장 으뜸으로 치는 차로 청나라 건릉제때에는 황실에서만 먹을수 있었던 고급차이다. 황져우(黃酒)에 있는 롱징(龍井)이라는 차밭이 그 특산지이다.
-윈우차(雲霧茶)
장시성(江西)의뤼산(盧山)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유명한 녹차이다.
-푸얼차(普茶, 보이차)
윈난성(雲南省)의 특산차로 발효시킨 것이 특징이다. 차의 입을 그대로 말려 파는 것과 차입을 쪄서 벽돌모양으로 압축시켜 만든 주안차형태의 두 가지가 있다.
-모리화차(茉莉花茶)
우리나라에서 쟈스민 차로 유명하다. 4분의1정도 발효시킨 차에다 모리화(茉莉花)꽃을 혼합하여 마든 차다.
-주안차
용정차
오룡차
백차
푸얼차
모리화차
차입을 찌거나 발효시켜서 압축하여 벽돌모양을 만든 차를 총칭 하는 것으로 주로 몽고인들이 즐겨 먹는 방식이다. 차로는 리우바오차(관동성이나 강시
추천자료
한국대중문화와 중국대중문화
중국문화
[중국문화] 중국의 경극과 중국대중문화에 대해서
중국문화의 시스템적 분석을 읽고
중국문화속에서 虛의위상
중국의대중문화
[중국][중국문화][중국의 문화][중국의 역사][중국의 역사 연표][분기별 중국의 역사][중국 ...
[중국문화의 이해] 중국 차 문화 탐방기[중국문화 카페 라오상하이 탐방]
[중국의사회와문화 A형] 전통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어떻...
중국의사회와문화3B) 한 자녀 정책을 포함한 중국 인구정책이 중국 사회에 미친 영향과 최근 ...
[중국문화산책공통]중국의대표적인 두도시 베이징(북경)과 상하이(상해)의 서로 다른 역사와 ...
중국문화산책 B형) 중국문화를 설명할 때 남방 문화와 북방 문화를 나누어 설명하기도 합니다...
중국의사회와문화=신세대 농민공은 그 이전 세대 농민공과 어떻게 다른지 논하시오.
(중국문화산책 공통)중국 남방과 북방의 도시 문화는 어떻게 다릅니까? 중국에서 남방과 북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