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ebral Palsy (뇌성마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erebral Palsy (뇌성마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erebral Palsy (뇌성마비)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Pattern

5. 뇌성마비의 분류

6. 평가

6. 치료

REFERENCE

본문내용

- 의욕 저하
치료
- stimulation을 줌
- 서서히 tone을 높이기 위해 weight bearing을 함
- mid-line을 유지시킴
④ Ataxia (운동실조성)
- 소뇌의 손상 시 나타남
- 근 긴장도는 낮으며, 저긴장과 정상긴장 사이임
- hand function
- intention tremor
- dysmetria
- 전체 뇌성마비 중 약 2~5% 정도를 차지함
- 몸통과 다리의 평형장애로 자세조절 능력에 결함을 보임
- 머리의 흔들거림, 운동조절 곤란, 안구진탕 등으로 인하여 섬세한 동작이 힘듬
- 심부건반사가 감소됨
- 두려움이 많고, 매우 느리게 움직임
- mono tone 으로 말함
- 걸을 때 균형 잡기가 어려워 wide - base walking (술에 취한 것처럼)
치료
- intension tremor를 줄여줌
- 조심스럽게 grading movement를 알려줌
⑤ Tremor (진전형)
- 리드미컬하고,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교대로 일어나는 불수의적 움직임이 특징임
⑥ Atonic (무긴장성)
- 유아의 무력한 기간동안 나타나며 근수축의 부족이 특징
(3) 장애의 심한 정도에 따른 분류
① 경도 (mild): 보조도구 없이 걸을 수 있고, 언어문제가 없으며, 독립적인 일상을 수행할 수 있음
② 중도 (moderate):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할 수 없고, 언어문제가 있으며, 이동시에는 지팡이, 목발, 휠체어 등의 보장구가 필요함
③ 최중도 (severe):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고, 스스로 보장구를 이용한 이동이 불 가능하며, 사지 근육, 관절의 단축이나 구축이 나타남
6. 평가
1) motor
- movement , gross motor skill
- fine motor skill , manipulation , dexterity
- coordination
- functional ROM
- postural control , balance
2) sensory
- visual disorder
- tactile sense
- pain and temperature
- bilateral integration
- proprioception
3) oral function
- swallowing
- tongue, jaw, facial movement
- reflex
4) cognition and perception
- attention
- memory
- perception skill
- coping skill
5) communication
- verbal language
- 표현력, 이해력
- 사회적 기술
6. 치료
- 목적: 아이에게 필요한 새로운 동작을 습득하게 하는 것과 앞으로 생길 수 있는 합병증을 최대한 예방하는 것
- 뇌의 손상은 비 진행성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운동 장애의 양상과 근 골격계의 장애가나타남으로 주기적인 관찰을 통해 변화된 임상 양상에 가장 적합한 재활 치료를 제공
- 아이의 부모에 대한 교육이 중요
-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목표 세우기
- 가장 적절한 환경 만들어 주기
- 가정 지도가 필수적
작업치료
- 아동의 구강기능장애에 대해 치료를 통해 아동의 씹기, 삼키기, 구강조절능력 등을 향상시켜주며 옷 입고 벗기, 자기관리하기 등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
- 인지능력 향상 및 시각운동 협응 능력을 훈련하고 감각통합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을 위해 전문적인 감각통합치료를 시행
물리치료
- 아동의 비정상적인 반사를 억제하고 정상적인 움직임을 경험하게 하기 위해 아동의 발달에 맞는 개별적인 운동치료를 시행
- 주로 신경발달치료(NDT)를 통해 아동의 운동능력, 조절능력이 향상되고 보다 좋은 움직임과 자세를 갖도록 돕게 함
- 마비된 근육의 강화와 경직된 근육의 이완을 위해 기능적 전기자극치료(FES)를 시행
언어치료
- 언어발달이 지연된 아동이나 무정위 운동형과 같이 호흡-발성 조절이 잘 안 되는 아동의 경우 호흡훈련, 발성훈련, 언어훈련 등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 줌
보조기
- 근 경직으로 인한 관절구축을 예방하고 손사용이나 보행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근 골격계의 변형을 예방하기 위해 아동에게 필요한 보조기를 제작
REFERENCE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4TH ed.) chapter 6. 150~155p
한국 뇌성마비 복지회 http://www.kscp.net
뇌성마비의 재활, 한국발달장애학회, 김권영, 2001.

키워드

  • 가격10,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2.11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