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BALANCE TAPING의 역사
2.테이핑치료의 기본적이론
1)근육의 밸런스
2)질환 발생 이전 밸런스의 흐트러짐
3)상호 억제효과를 통한 밸런스
4)근육 수축의 양면성
5)자세와 항중력근
3.BALANCE TAPING 치료의 주요원리 기전
1)피부의 휴지모터 반사(cutaneous fusimotor reflex)
2)피부, 근육 그리고 신경과의 관계
3)연관통과 압통점
4)근 골격계의 비대칭을 교정하는 역할로서의 테이핑
5)관절주위 근긴장의 이완과 관절내압 감소
6)혈관운동 반사에 대한 효과
7)관문조절설과의 관계(gait control theory)
8)관절운동 가동력(range of motion)의 확대를 위한 역할
4.테이핑치료의 임상적가치
5.BALANCE TAPING 치료의 적용원칙
1)적응증
2)주의사항
3)TAPING 치료의 종류 및 적용방법
2.테이핑치료의 기본적이론
1)근육의 밸런스
2)질환 발생 이전 밸런스의 흐트러짐
3)상호 억제효과를 통한 밸런스
4)근육 수축의 양면성
5)자세와 항중력근
3.BALANCE TAPING 치료의 주요원리 기전
1)피부의 휴지모터 반사(cutaneous fusimotor reflex)
2)피부, 근육 그리고 신경과의 관계
3)연관통과 압통점
4)근 골격계의 비대칭을 교정하는 역할로서의 테이핑
5)관절주위 근긴장의 이완과 관절내압 감소
6)혈관운동 반사에 대한 효과
7)관문조절설과의 관계(gait control theory)
8)관절운동 가동력(range of motion)의 확대를 위한 역할
4.테이핑치료의 임상적가치
5.BALANCE TAPING 치료의 적용원칙
1)적응증
2)주의사항
3)TAPING 치료의 종류 및 적용방법
본문내용
다는 것이다.
요통 환자 중 상당수가 여러 방법의 치료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으나 앞으로 소개될 허리근육의 비대칭을 교정하는 운동이나 테이핑만으로도 단 시간 내에 증상이 소실되는 것을 임상에서 경험할 수 있다. 대부분의 효과가 있는 임상 예에서는 그 즉석에서 통증의 소실을 기대할 수 있으며 간혹 10-20분 후에 통증이 소실되는 경우도 있다.
5)관절주위 근긴장의 이완과 관절내압 감소
일찍이 영국의 Dr. Cyriax는 관절낭(capsule)이 염증이나 과신전에 과민하고 관절질환(관절염)이 있으면 주위 근육들의 보호기전(근긴장)에 의해 내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정한 양상으로 관절의 가동력이 제한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 보호기전에 의한 근육긴장도 질환이 빠른 시간 내에 자연치유나 치료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지 않으면 차츰 관절과 주위의 관련조직에 기능이상이 초래되며, 때로는 구축(contracture)을 일으키게 되고 이것은 악순환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관절 주변의 과긴장된 근육이나 건의 이완은 관절 자체의 병변이 자연회복되는데 있어 시발점의 역할을 하게 된다.
6)혈관운동 반사에 대한 효과
피부에 대한 가벼운 자극은 척수를 통해 뇌에 전달되어 자극이 적당하면 이완감과 진정작용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반대로 적절하지 않는 자극으로 인해 불쾌감과 답답함을 줄 수도 있다. 피부의 기분 좋은 자극은 혈관을 지배하는 혈관운동신경(vasomotor nerve)이 자극되거나 히스타민과 아세티콜린의 분비가 증가되어 말초적으로는 근육이 이완되고 혈액순환이 촉진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혈관운동반사와 기계적 자극효과로 혈액과 림프액의 순환이 원활해지고 이로 인해 테이핑은 부종의 경감 효과가 있다.
7)관문조절설과의 관계(gait control theory)
통증을 유발하는 유해 자극이나 또는 기계적 자극에 대한 감각은 말초신경을 통해 척수 후두로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기계적 자극은 직경이 크고 전도 속도가 매우 빠른 유수섬유(large myelinated A alpha)를 통해 전달되고, 통각은 직경이 작고 전도 속도가 매우 느린 A delta라는 유수섬유와 무수섬유인 C 섬유를 통해 전달됨으로 인위적으로 피부에 가해진 기계적 자극은 통각보다 먼저 척수에 도달하여 관문을 닫는다. 따라서 늦게 도착한 통각이 관문을 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통증을 억제한다는 이론이 관문 조절설이다.
8)관절운동 가동력(range of motion)의 확대를 위한 역할
동물실험에 의하면 부종과 염증이 있는 경우는 1주일 안에도 관절 구측이 있을 수 있다고 보고된바 있는데 한번에 2회 이상 1일 2-3회 수동적으로 전 범위를 운동 시킬 때 관절구축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통증으로 인하여 환자는 운동을 수행하기 힘든 경우를 임상에서 흔히 경험하며, 이때 테이핑은 가동력의 증가와 부종 경감에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디스크 병변의 아급성기 이후 hamstring muscle의 스트레칭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나 환자들은 가정에서의 운동시 통증으로 인해 이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우에도 역시 테이핑은 뛰어난 효과가 있다.
4.테이핑의 임상적 가치
인체의 골격이 지닌 커다란 힘의 불균형과 병적 현상을 과연 테이핑을 통한 피부반사가 조절할 수 있겠는가?
이점은 누구라도 한번쯤 의문을 가질 수 있는 것인데 우리는 일상에서 피부라는 것은 땀의 배출이나 체온조절, 그리고 감각에 필요하다는 것은 잘 알고 있으나 운동신경이나 근육과 직간접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은 잊고 있다. 그리고 휴지운동반사를 통해 그 밑의 근육이 수축한다는 말을 앞에서 언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힘이 미미할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예를 들어 휴지운동반사를 통한 근수축이 얼마나 큰 힘으로 근 골격계의 불균형을 교정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첫째, 힘이라는 것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근위부의 안정성에서 나오는 것이 큰 힘으로 발휘되는 것이지 단일의 근육으로부터만 나오는 힘은 사실상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만약 몸통과 다리를 허공에 두고 팔로만 힘을 쓸 경우 과연 힘이 어느 정도 나올 것인가?
팔 씨름을 할 때 몸통, 엉덩이, 다리, 그리고 발까지도 힘이 들어가는 것을 체험을 통해 누구라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몸 전체의 안정성에서 나오는 힘은 팔에서만 나오는 힘의 수십 배에 이르는 것이다.
둘째, 같은 동작을 하여도 주동근, 협력근, 그리고 길항근 등 모든 근육간의 균형에 의한 힘은 주동근 단일의 힘에 비교될 것이 아닌 것이다.
우리 생활에서 직접 실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윗몸 일으키기를 할 때 제 삼자가 아랫배에 손바닥을 대면 일어나기가 더 힘들어지거나 갑자기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윗몸 일으키기의 경우 복직근이 작용한다는 것은 누구라도 알고있는 것인데 아랫배에 손을 대면 휴지운동반사에 의해 복직근의 수축이 일어나므로 윗몸 일으키기는 더욱 잘될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주변의 근육이나 하지의 근육이 안정성을 먼저 갖추기 전에 복직근의 수축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빠르면 오히려 전체적인 힘은 떨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비해 비복근을 압박해주게 되면 오히려 윗몸을 일으키는데 도움을 주며 평소보다 가볍게 일어날 수 있다.
5.TAPING 치료의 적용 원칙
1)적응증
①모든 연부조직의 병변(근, 건, 인대, 관절, 디스크)에서의 기능이상과 통증치의료, 임산 부의 요통에도 적응증임
②예방적 가치:치료와 치료의 유지뿐 아니라 각종 통증의 예방효과
③근력의 강화: 근육의 이완은 물론 근력강화를 위한 테이핑 상태에서의 운동은 몇 배의 효과를 보인다.
④내과적 질환에 이용: 불면증, 변비, 방광기능 이상, 구내염, 생리이상(통증), 소화기 이 상 등
⑤스포츠 손상의 치료와 기능의 증진
2)주의사항
①피부에 얹듯이 붙인다
②모든 종류의 테이핑은 해당 근육이 스트레칭 되는 자세에서 한다.
③테이프의 폭을 고려해야 한다. 비탄력 테이프는 3-5mm의 폭으로 한다.
④테이프를 붙인 부위가 가렵거나 피부가 빨갛게 되면 즉시
요통 환자 중 상당수가 여러 방법의 치료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으나 앞으로 소개될 허리근육의 비대칭을 교정하는 운동이나 테이핑만으로도 단 시간 내에 증상이 소실되는 것을 임상에서 경험할 수 있다. 대부분의 효과가 있는 임상 예에서는 그 즉석에서 통증의 소실을 기대할 수 있으며 간혹 10-20분 후에 통증이 소실되는 경우도 있다.
5)관절주위 근긴장의 이완과 관절내압 감소
일찍이 영국의 Dr. Cyriax는 관절낭(capsule)이 염증이나 과신전에 과민하고 관절질환(관절염)이 있으면 주위 근육들의 보호기전(근긴장)에 의해 내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정한 양상으로 관절의 가동력이 제한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 보호기전에 의한 근육긴장도 질환이 빠른 시간 내에 자연치유나 치료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지 않으면 차츰 관절과 주위의 관련조직에 기능이상이 초래되며, 때로는 구축(contracture)을 일으키게 되고 이것은 악순환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관절 주변의 과긴장된 근육이나 건의 이완은 관절 자체의 병변이 자연회복되는데 있어 시발점의 역할을 하게 된다.
6)혈관운동 반사에 대한 효과
피부에 대한 가벼운 자극은 척수를 통해 뇌에 전달되어 자극이 적당하면 이완감과 진정작용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반대로 적절하지 않는 자극으로 인해 불쾌감과 답답함을 줄 수도 있다. 피부의 기분 좋은 자극은 혈관을 지배하는 혈관운동신경(vasomotor nerve)이 자극되거나 히스타민과 아세티콜린의 분비가 증가되어 말초적으로는 근육이 이완되고 혈액순환이 촉진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혈관운동반사와 기계적 자극효과로 혈액과 림프액의 순환이 원활해지고 이로 인해 테이핑은 부종의 경감 효과가 있다.
7)관문조절설과의 관계(gait control theory)
통증을 유발하는 유해 자극이나 또는 기계적 자극에 대한 감각은 말초신경을 통해 척수 후두로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기계적 자극은 직경이 크고 전도 속도가 매우 빠른 유수섬유(large myelinated A alpha)를 통해 전달되고, 통각은 직경이 작고 전도 속도가 매우 느린 A delta라는 유수섬유와 무수섬유인 C 섬유를 통해 전달됨으로 인위적으로 피부에 가해진 기계적 자극은 통각보다 먼저 척수에 도달하여 관문을 닫는다. 따라서 늦게 도착한 통각이 관문을 통과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통증을 억제한다는 이론이 관문 조절설이다.
8)관절운동 가동력(range of motion)의 확대를 위한 역할
동물실험에 의하면 부종과 염증이 있는 경우는 1주일 안에도 관절 구측이 있을 수 있다고 보고된바 있는데 한번에 2회 이상 1일 2-3회 수동적으로 전 범위를 운동 시킬 때 관절구축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통증으로 인하여 환자는 운동을 수행하기 힘든 경우를 임상에서 흔히 경험하며, 이때 테이핑은 가동력의 증가와 부종 경감에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디스크 병변의 아급성기 이후 hamstring muscle의 스트레칭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나 환자들은 가정에서의 운동시 통증으로 인해 이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우에도 역시 테이핑은 뛰어난 효과가 있다.
4.테이핑의 임상적 가치
인체의 골격이 지닌 커다란 힘의 불균형과 병적 현상을 과연 테이핑을 통한 피부반사가 조절할 수 있겠는가?
이점은 누구라도 한번쯤 의문을 가질 수 있는 것인데 우리는 일상에서 피부라는 것은 땀의 배출이나 체온조절, 그리고 감각에 필요하다는 것은 잘 알고 있으나 운동신경이나 근육과 직간접적인 관계에 있다는 것은 잊고 있다. 그리고 휴지운동반사를 통해 그 밑의 근육이 수축한다는 말을 앞에서 언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힘이 미미할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예를 들어 휴지운동반사를 통한 근수축이 얼마나 큰 힘으로 근 골격계의 불균형을 교정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첫째, 힘이라는 것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근위부의 안정성에서 나오는 것이 큰 힘으로 발휘되는 것이지 단일의 근육으로부터만 나오는 힘은 사실상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만약 몸통과 다리를 허공에 두고 팔로만 힘을 쓸 경우 과연 힘이 어느 정도 나올 것인가?
팔 씨름을 할 때 몸통, 엉덩이, 다리, 그리고 발까지도 힘이 들어가는 것을 체험을 통해 누구라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몸 전체의 안정성에서 나오는 힘은 팔에서만 나오는 힘의 수십 배에 이르는 것이다.
둘째, 같은 동작을 하여도 주동근, 협력근, 그리고 길항근 등 모든 근육간의 균형에 의한 힘은 주동근 단일의 힘에 비교될 것이 아닌 것이다.
우리 생활에서 직접 실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윗몸 일으키기를 할 때 제 삼자가 아랫배에 손바닥을 대면 일어나기가 더 힘들어지거나 갑자기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윗몸 일으키기의 경우 복직근이 작용한다는 것은 누구라도 알고있는 것인데 아랫배에 손을 대면 휴지운동반사에 의해 복직근의 수축이 일어나므로 윗몸 일으키기는 더욱 잘될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주변의 근육이나 하지의 근육이 안정성을 먼저 갖추기 전에 복직근의 수축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빠르면 오히려 전체적인 힘은 떨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비해 비복근을 압박해주게 되면 오히려 윗몸을 일으키는데 도움을 주며 평소보다 가볍게 일어날 수 있다.
5.TAPING 치료의 적용 원칙
1)적응증
①모든 연부조직의 병변(근, 건, 인대, 관절, 디스크)에서의 기능이상과 통증치의료, 임산 부의 요통에도 적응증임
②예방적 가치:치료와 치료의 유지뿐 아니라 각종 통증의 예방효과
③근력의 강화: 근육의 이완은 물론 근력강화를 위한 테이핑 상태에서의 운동은 몇 배의 효과를 보인다.
④내과적 질환에 이용: 불면증, 변비, 방광기능 이상, 구내염, 생리이상(통증), 소화기 이 상 등
⑤스포츠 손상의 치료와 기능의 증진
2)주의사항
①피부에 얹듯이 붙인다
②모든 종류의 테이핑은 해당 근육이 스트레칭 되는 자세에서 한다.
③테이프의 폭을 고려해야 한다. 비탄력 테이프는 3-5mm의 폭으로 한다.
④테이프를 붙인 부위가 가렵거나 피부가 빨갛게 되면 즉시
추천자료
[물리치료][물리치료사]물리치료의 개념, 물리치료의 특성, 물리치료의 목적, 물리치료의 방...
[물리치료][물리치료사]물리치료의 정의, 물리치료의 필요성, 물리치료의 목적, 물리치료의 ...
[물리치료사 자기소개서] 물리치료사자기소개서 최종합격 예문& [빈출면접기출문제]_물리...
물리치료의 정의, 물리치료사의 정의, 일반인에게 설명 가능한 물리치료사
[물리치료학] 신경계질환 관련 물리치료의 종류와 기법
[물리치료] 무의식상태 물리치료
[물리치료] 치매의 유형과 물리치료 및 재활 영역에 대한 고찰
물리치료사 자기소개서 종합/대학병원 - 종합병원/대학병원 물리치료사
물리치료 (온열치료, 한랭치료, 전기치료, massage, 운동치료, 수동적 관절운동의 종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