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자료 및 제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자료 및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념정의 및 시행배경

Ⅱ. 기사자료

Ⅲ. 현직 교사(아버지) 인터뷰

Ⅳ. 소감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본문내용

서 다시 돌려주고 하니까 받긴 받았는데 선생님들끼리 거의 돌려서 받기도 하고 처음에는 똑같이 받으려고 했었어. (기사2의 내용과 일치)
Q. 등급이 A,B,C 등급으로 나누어져 있던데 이 등급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 사실 아빠가 생각하기에는 몇 명 정도는 A받아도 된다. 이렇게 인정하는 사람도 있어. 그리고 어떤 사람은 C다. 저 사람은 봉급 받기도 아깝다 이렇게 생각는 사람이 있기도 해. 이렇게 양 극단에 있는 사람들은 그래도 어느 정도 규정이 되는데, 문제는 중간에 있는 사람들이야. A하고 B하고 중간에 있는 사람들. 예를 들어 A에서 맨밑에 있는 사람들이나 B등급의 맨 위에 있는 사람들. 경계가 애매모호하잖아. 그리고 특히 C등급으로 간 사람들 중에서 다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아니라는 거지. 자신은 정말 열심히 했다고 생각했는데 C를 받았다. 완전히 최하위 선생 아니야. 그러면 그 다음에 할 때, 에이 난 올해도 열심히 해봤자 C받을 건데 뭐 이렇게 생각하면서 안할 수도 있지. 이런 것이 문제가 된다는 거지. (기사1의 내용과 일치)
Q. 평가기준은 어떻게 만들어요?
- 학교마다 다른 기준을 적용해서 만들어. 각 학교에 교원 성과급 심의위원회를 구성하는데, 뭐 이게 전직원이 다 참여하는 학교도 있고 몇 명만 구성되는 학교도 있어. 이 사람들이 평가 기준을 결정하게 되는데, 일단 애매한 것들은 제외하고 객관적으로 평가가 될 수 있는 것들만 추려서 기준을 만들어. 수업 시수 같은 것들을 기준으로 만들지. 아, oooo 같은 경우는 호봉수로도 평가를 했어. 30호봉 이상은 뭐 10점. 20호봉이상은 몇점 이런 식으로 호봉도 평가기준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어. 아니면 그 학교에서 몇 년이상 근무를 했는지 등 이렇게 기준을 만들고 교무회의에서 회의를 해서 결정하게 되지 (평가기준에 관한 세부내용)
Q. 왜 학교마다 평가기준이 다른거에요?
- 교육청에서 기준을 만들어줄 수가 없지. 왜냐면 학교 실정이 있잖아.
oooo 같은 경우는 기능대회 입상하면 점수를 더 주는데, 이런건 뭐 일반 인문계나 다른 학교에서는 만들 수가 없는 기준이잖아. 뭐 인문계 같은 경우에서는 대학을 몇 명 보냈다 못 보냈다 이런 것들로 평가를 할 수도 있고... 이렇게 학교의 실정에 맞추게 하기 위해서 평가기준은 자율로 하고 있어.
그리고 평가 결과가 나오면 이의 신청도 받기는해. 평가를 할 때, 자기 평가지도 있어서 객관적인 자료를 제외하고 좀 애매한 것을 자기가 잘했다 못했다 이렇게 평가를 못했다그 근거를 심의위원들에게 제출하면 다시 한 번 검토를 하기도해. (평가기준에 관한 세부내용)
Q. 성과급 지급 시기가 빨라졌다고 하던데 그건 왜그런거에요?
- 이게 빨라진 것이 아니고 당연한 것이지. 원래 작년에 평가를 한 것을 올해 주는 건데 지금까지 성과급을 반대한다고 전교조나 이런 곳에서 싸워서 매번 지급 시기가 늦어졌던 거였어. 제대로 하려면 그때 평가를 하고 그 해에 주는 것이 맞지. 방학 지나서 2월 이 정도에 줘야지. 지금 한 8년 동안 늦게 지급이
  • 가격3,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2.16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7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