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의 이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펀드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간접투자의 개념

2.투자신탁과 투자회사

3.펀드의 불완전 판매에 대해 투자자를 보호할 방법

4.투자자의 위험선호도에 따른 투자 권유 상품

5.펀드의 평가

6.펀드의 유형

7.적립식 펀드

8.해외펀드

9.변액펀드

10.사회책임펀드

11.환위험관리상품

12.인덱스펀드

13.ETF

14.ELS

15.ELW

16.BW

17.CB

본문내용

익을 지급할 수 있도록 증권회사가 대상 자산인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되기 때문에 커버드 워런트(Covered Warrants)로 표현하기도 한다.
2)주요내용
(1) 권리 종류에 따른 분류
① 콜 ELW : 강세장을 예상할 때 매수
만기에 기초자산을 권리 행사 가격으로 발행자로부터 인수하거나 그 차액(만기평가가격-권리행사 가격)을 수령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ELW로 기초 자산 가격 하락에 따라 이익이 발생한다.
② 풋 ELW : 약세장을 예상할 때 매수
만기에 기초자산을 권리행사 가격으로 발행자에게 인도하거나, 그 차액(권리행사 가격-만기평가가격)을 수령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ELW로 기초자산 가격 하락에 따라 이익이 발생한다.
1) 장점
(1) 레버리지 효과
ELW의 가장 큰 장점이자 특징은 고수익을 가능하게 하는 레버리지 효과라 볼 수 있다. 레버리지 효과는 흔히 지렛대 효과라고 불리는데, 사전적인 해석으로는 ‘타인으로부터 빌린 차입금을 지렛대로 삼아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적은 금액을 투자함으로써 큰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ELW 거래는 실물자산에 직접 투자할 때보다 적은 투자금액으로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ELW의 레버리지 효과는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에 비해 ELW 가격이 더 크게 움직이는 옵션의 특징으로 인해 주가의 상승/하락률보다 ELW의 상승 또는 하락률이 더 커지는 효과를 의미한다.
ELW에서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ELW가 기초자산 가격의 일부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그 권리만을 거래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콜 ELW의 경우, 기초자산 주가의 일부만 투자해서도 기초자산 주식을 직접 매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만약 주가가 상승했다면 주식투자 수익률보다 높은 ELW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주식의 현재가가 20,000원이라 가정해 보자. 그리고 20,000원에 이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콜 ELW는 730원이다. 만약 당일에 주가가 21,000원으로 오른다면 콜 ELW는 1,380원이 된다.
두 경우에 절대적인 수익금액은 ELW에 투자한 경우가 650원, 주식투자 수익 1,000원으로 ELW의 수익금액이 주식투자 수익금액보다 작지만, 수익률로 보면 ELW 투자수익률은 85%로 주식투자에서 거둔 5%보다 월등히 높다. 이런 효과는 ELW를 매수하는 데 드는 비용이 주식을 매수하는 데 드는 비용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생기며 이러한 적은 매수 비용과 레버리지로 인한 높은 수익률은 ELW의 큰 장점이 된다.
A주식
A콜ELW
매수가격
20,000원
730원
매도가격
21,000원
1,380원
이익
1,000원
650원
수익률
5%
85%
하지만 ELW의 이러한 장점은 반대로 단점이 되기도 한다. 레버리지 효과의 특성상 상승률이 더 큰 반면 하락률도 그만큼 크기 때문에 주식투자 손해율보다 훨씬 큰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2) 한정된 투자위험
ELW의 두 번째 장점은 한정된 투자위험이다. ELW는 옵션의 성격을 띄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 투자금액 전액의 손실을 보는 것은 사실이나, 매입한 ELW 수량에 해당하는 수의 주식에 투자했을 때를 가정하면 주식투자 손실보다 ELW 투자 손실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절대적인 최대 손실 규모도 주식투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손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주식투자와 ‘동일한 금액’으로 ELW에 투자한다면 레버리지라는 ELW의 특징 때문에 실제 주식투자에 비해 큰 폭의 수익을 내거나, 반대로 큰 폭의 손실을 입을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원금 전액을 잃을 수도 있다. 하지만 ELW 투자를 ‘동일한 주식 수 또는 동일한 효과’에 한정한다면 오히려 주식투자보다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투자수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동일한 주식 수’에 한정해 투자했을 경우 투자원금은 ELW의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주식투자 원금보다 훨씬 적은 금액이 되므로 주식투자금액으로 입을 수 있는 손실금액보다 더 적은 금액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콜ELW는 행사가격이 578,000원이고 전환비율은 0.01이라고 가정하자. 삼성전자가 현재가가 450,000원 일 때 삼성전자 콜ELW의 가격은 370원이다. 현재가 450,000원인 삼성전자에 1주를 투자할 경우 주식은 초기 투자자금 450,000원이 필요하지만, 삼성전자 콜ELW 100주를 사기 위해서는 37,000원만 있으면 된다.
만약 삼성전자 주가가, 갑자기 10%가 하락한다고 가정해 보자. 삼성전자 주식에 투자한 경우는 투자금액의 10%인 45,000원의 손실이 발생하지만, ELW에 투자한 경우는 투자금액 전체를 잃는다고 해도 37,000원에 불과하다. 그리고 만기 이전에는 기초자산 주가가 아무리 크게 하락한다고 하더라도 콜 ELW의 가치가 0원이 경우는 없기 때문에 전액손실은 보지 않는다.
즉 ‘동일한 주식 수’에 해당하는 ELW와 주식투자를 비교해 보면 주식투자의 경우 주가가 크게 하락하게 되면 주식투자의 경우는 주가가 하락하는 만큼 모두 손실로 이어지지만 ELW는 최초 투자금액으로 제한된다. 그리고 이 최초 투자금액은 절대적인 규모에서 주식투자 금액보다 대체로 적은 경우가 많다.
결론적으로 동일한 주식 수에 투자한다면 적은 투자 규모로 주식투자와 유사한 투자효과를 누리면서 반대로 주가가 하락할 때는 손실금액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ELW가 오히려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투자수단이 될 수 있다.
(3) 시장 상황과 무관한 투자 수단
주가 상승이 기대될 때는 콜 ELW에 투자하고,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는 풋 ELW에 투자함으로써 투자수익을 달성할 수 있다. 때문에 어떠한 시장상황에서도 항상 투자 기회가 존재한다. 이러한 ELW의 특성으로 주가가 올라야만 수익을 거두는 주식투자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4) 거래의 편의성
ELW는 옵션이라는 파생상품의 성격을 갖고 있지만 증권이라는 형태로 규정되어 투자자의 주식 위탁계좌에서 주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거래할 수 있다. 매매제도 또한 기본적으로 주식시장의 매매제도와 유사하다. 특히 주식을 매도할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9.12.17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81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