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경신학(舊約聖經神學) 신약성경 신학(新約聖經神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성경신학(舊約聖經神學) 신약성경 신학(新約聖經神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제 1 부 서 론
제 1 장 성경 신학(聖經神學)의 원리(原理)
제 2 장 성경 신학(聖經神學)의 오해(誤解)

제 2 부 구약성경신학(舊約聖經神學)
제 1 장 기원론(起源論.Protology)
제 2 장 원시시대(原始時代)의 계시(啓示)
제 3 장 홍수 전후(洪水前後)의 계시(啓示)
제 4 장 아브라함 시대의 계시
제 5 장 모세시대의 계시
제 6 장 예언시대의 계시
제 7 장 하나님의 신
제 8 장 구약에 나타난 영혼 불멸 사상
제 9 장 메시아 예언

제 3 부 신약성경 신학(新約聖經神學)
제 1 장 계약론(契約論)
제 2 장 구원론(救援論)
제 3 장 천국론(天國論)
제 4 장 공관복음(共觀福音)의 기독론(基督論)
제 5 장 요한의 신학(神學)
제 6 장 성령 강림
제 7 장 종말론(終末論)
제 8 장 신약의 윤리(新約倫理)
제 9 장 바울의 신학(神學)

본문내용

다. 다섯째, 제2 헬베틱 신경(2and Hervetic Confession of Faith, 1566, 이 신경은 쯔윙글리 계통 교회의 신경이다.) 이 신경은 “우리는 선지자와 사도로 말미암아 기록된 성경 곧 신구약 성경을 하나님의 참 말씀인줄 믿으며 고백하고, 하나님은 친히 부조(父祖)들과 사도들에게 말씀 하셨고, 지금도 성경을 통하여 우리에게 말씀하신다”라고 하였다. 여섯째, 장로교회의 성경 교리 대한 예수교 장로회 신조 제 1조에서 말하기를 “신, 구약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니 신앙과 본분에 대하여 정확 무오한 유일의 법칙이니라.(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제 1장 제 2조에 근거)”고 하였다,
칼빈주의 삼대 학자들의 성경관에 대해서는 첫째, 위필드(B. B. Warfield)는 딤후3:15~16의 말씀을 들어 성경의 신적기원을 강조하며 후에 벧후1:19~21에 근거하여 성령의 감동하심을 받은 자는 전혀 자기의 마음대로 말할 수 없었고 하나님의 감동하심에 이끌려서 하나님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었다고 한다. 둘째, 바빙크(H. Bavink)는 위필드(B. B. Warfield)와 같이 축자 영감을 인정했다. 바빙크(H. Bavink)는 자기의 저서 조직신학(組織神學)에서 “성경은 우리를 과거의 인물들과 사건들에 연락시키는 지나간 책이 아니다. 성경은 옛날의 죽은 이야기가 이니다. 성경은 말마다 살았고 지금이나 장래나 하나님의 백성에게 말하여 주는 영원히 살아 있는 말씀이다. 하나님께서 성경을 통하여 날마다 그의 백성에게 찾아 오시며 그 자녀에게 말씀하신다. 성경은 하늘과 땅, 그리스도와 그의 교회, 하나님과 그의 자녀들을 계속적으로 과거나 현재나 미래에도 연락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셋째, 아브라함 카이퍼(A. Kuyper)는 “거룩한 신학의 원리”라는 자기의 저서에서 말하기를 “하나님의 말씀이 성경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성경이 바로 하나님의 말씀의 사진이다.”라고 하였으며, 성경의 절대 영감과 권위를 주장하였다.
제 2 장 성경 오해의 신학
Ⅰ. 자유주의(自由主義)와 바르트 신학
구 자유주의 운동이라는 이 신학 운동은 자유주의(自由主義) 신학자 하르낙(Harnack)과 헤르만(Her-mann)등이 중심한 신학 운동인데, 이들은 성경을 그대로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하지 않으며, 예수님을 도덕적(道德的) 인물이며 하나님이 아니라고 한다.
양식사학파(樣式史學派) 운동에서는 디펠리우스(Dibelius)와 볼트만(Bultmann)이 중심한 양식사학파(樣式史學派)(Formgeschichte)는 특별히 공관복음(共觀福音)을 상대로 자기들의 학설(學說)을 전개한다. 그러나 정통주의 교회에서는 이 학설(學說)을 부인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대의 기독교인들은 예수님의 재림이 그 시대에 임박한 줄 알았으므로 예수님의 말씀이나 행적 같은 것을 후대에까지 전할 마음이 없었으며 그것들을 정확하게 보존할 노력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그런 이유로 공관복음(共觀福音)은 서로 내용을 달리하게 되어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초대 교회의 성도들이 복음서에 다른 자료들이 부가 되도록 허용치 않았을 것이며 당시의 성도들은 예수님의 재림이 그 당시에 될 줄로 생각하지 않았고(살후2:1~12), 예수님의 행적과 말씀을 하나님의 계시(啓示)로 알고 엄격하고 정확하게 계승하였다. 둘째, 양식사학파(樣式史學派)는 성경의 초자연적(超自然的)인 행적과 초자연적(超自然的)인 말씀들을 모두 후대에 가입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 기사들을 믿지 않는 불신앙적인 편견을 가지고 성경의 본질적(本質的) 요소들을 성경에서 어떤 역사적인 불신임성이나 혹은 불순정성을 발견한 까닭에서가 아니라 단지 “초자연적 성격(超自然的性格)”이 있는 기록이기 때문에 믿을 수 없다는 모순(矛盾)된 이론이다.
중간주의 운동은 최근에 일어난 운동이다. 자유주의(自由主義)와 양식사학파(樣式史學派) 운동의 실패에 따라서 정통주의(正統主義, orthodoxy)에 접근할 듯하면서 입장을 취하면서도 아직까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확언하는 분명한 입장은 취하지 않는다. 이 운동은 여전히 자유주의의 비판 기준을 유지하면서 초자연적 기사들도 믿을 만한 것은 믿어 보자고 하는 신학 입장이다. 세벤스터(Sevenster)는 성경의 중요한 교리들을 믿는다고 하면서도 \"예수님의 동정녀 탄생을 믿지 않는 이유로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의 초두에만 있을 뿐 신약 성경의 다른 부분에는 없으니 믿을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신약 성경은 주로 예수님의 공적 성역(公的聖役)에 치중하여 기록 되었는데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 사실이 사도들의 전하는 말씀에 많은 말로 나타나지 않았다고 해서 그것을 참되지 않다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하면 안 된다고 “바빙크(H. Bavink)”는 말한다.
신 정통주의(新正統主義, neo-orthodoxy) 는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 자체로 믿지 않는 학파이다. 이들의 사상은 널리 전파 되고 한국에도 깊이 소개 되었다. 여기에서 이들의 오류 중 몇 가지를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이것은 예일 대학교 교수 바로우(Miller Burrows)의 <성경신학 총론> (An Outline of Biblical Theology)에 근거하여 비판하려한다. 첫째, 바로우(Miller Burrows)는 외경(外經)을 성경으로 받지 않는 것을 비판하며 외경(外經)도 성경과 같이 가치 있는 부분이 있다고 하였으나 이는 그의 독단에 불과하다고 하였다. 둘째, “성경에 동일한 사건에 대한 기록이 서로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을 보면 그 두가지 기록이 동일한 성령에 의하여 기록된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는데 그는 삼하24:1과 대상21:1의 다윗의 인구 조사를 예로 들고 있다. 이것은 성경에 계시(啓示)된 대로 하나님은 당신의 뜻을 이루시기 위하여 사탄의 행동을 허락하시는 일도 있다. 셋째, 바로우(Miller Burrows)는 성경의 그 기록이 영감된 것이 아니고 성경 기자가 영감 되었다고 한다. 다시 말해서 성경 내용이 영감 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영감 되었다고 하는데 성경은 우리에게 선지자들의 기록도 영간 되었다고 한다(딤후3:16,

추천자료

  • 가격20,000
  • 페이지수68페이지
  • 등록일2009.12.19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8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