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혈관의 특징
2. 혈관의 구조
3. 혈류역학
4. 국소 혈류의 조절
5. 혈압
6. 혈압조절
2. 혈관의 구조
3. 혈류역학
4. 국소 혈류의 조절
5. 혈압
6. 혈압조절
본문내용
신경을 거쳐 심장과 혈관에 작용해 억제
따라서 이들 구심신경을 감압신경이라 하고 이 반사를 감압반사라 한다
ex) 서 있다가 누우면 하반신의 혈액이 상반신으로 이동 →
이는 곧 혈압상승을 의미(따라서 압력 수용기 신장) → 감압반사 일어남
→ 혈압상승을 낮춤
2) 액성조절 : 신장 or 부신피질 호르몬에 의해 혈압변화
- 신장 혈류감소 → 신장에서 만들어지는 어떤 호르몬 생산을 증가 → 이 호르몬에 의 해 혈관 수축. 혈압 높게 유지
ex) 신장 혈액 공급 10~20% 감소 → 5~6일부터 혈압상승해 정상혈압의 2배가 된다.
→ 신장 혈관 좁아져서 혈류량 감소 → 신장 세뇨관에서 renin 호르몬 분비되어 혈 관내로 들어옴 → renin은 angiotensinogen에 작용해서 angiotensin I이 됨 → angiotensin I 에 효소 작용 해서 angiotensin Ⅱ가 되고 이것이 혈압 상승
-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당류코티코이드와 염류코티코이드가 있다
○ 염류코티코이드→ cortisol, cortisone, corticosterone, aldosterone 등이 있다.
- 이 호르몬들은 신장에서 배설되는 Na+을 재흡수 → Na+축적으로 삼투농도 높아짐 → 물의 배설 억제(물은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줌양 감소, 혈액량 증가, 혈압 증가
ex) 심한 출혈을 한 경우 총혈액량은 감소되고, 심장 순환 혈액량 감소 → 그로 인해 부 신피질에서 많은 염류코티코이드가 분비 → Na+재흡수 → 물 배설 억압 → 체액량 보완으로 혈액량 증가(혈압 상승)
따라서 이들 구심신경을 감압신경이라 하고 이 반사를 감압반사라 한다
ex) 서 있다가 누우면 하반신의 혈액이 상반신으로 이동 →
이는 곧 혈압상승을 의미(따라서 압력 수용기 신장) → 감압반사 일어남
→ 혈압상승을 낮춤
2) 액성조절 : 신장 or 부신피질 호르몬에 의해 혈압변화
- 신장 혈류감소 → 신장에서 만들어지는 어떤 호르몬 생산을 증가 → 이 호르몬에 의 해 혈관 수축. 혈압 높게 유지
ex) 신장 혈액 공급 10~20% 감소 → 5~6일부터 혈압상승해 정상혈압의 2배가 된다.
→ 신장 혈관 좁아져서 혈류량 감소 → 신장 세뇨관에서 renin 호르몬 분비되어 혈 관내로 들어옴 → renin은 angiotensinogen에 작용해서 angiotensin I이 됨 → angiotensin I 에 효소 작용 해서 angiotensin Ⅱ가 되고 이것이 혈압 상승
-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당류코티코이드와 염류코티코이드가 있다
○ 염류코티코이드→ cortisol, cortisone, corticosterone, aldosterone 등이 있다.
- 이 호르몬들은 신장에서 배설되는 Na+을 재흡수 → Na+축적으로 삼투농도 높아짐 → 물의 배설 억제(물은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줌양 감소, 혈액량 증가, 혈압 증가
ex) 심한 출혈을 한 경우 총혈액량은 감소되고, 심장 순환 혈액량 감소 → 그로 인해 부 신피질에서 많은 염류코티코이드가 분비 → Na+재흡수 → 물 배설 억압 → 체액량 보완으로 혈액량 증가(혈압 상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