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박테리아;대표적 세균류)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균 (박테리아;대표적 세균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장내세균(Enterics)

2. 비브리오와 유산균

3. 구형 박테리아

4. 녹농균류(Pseudomonads)

6. 아포 형성 박테리아

7. 코리네형 박테리아

8. 항산균류(Mycobacteria)

9. 방선균류(Actinomycetes)

본문내용

, especially Candida infections
Amphocetin B
S. nodosus
Fungi
None
Chloramphenicol
S. venezuelae
Broad spectrum; drug of choice for typhoid fever
10.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 특징
- 숙주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 생장 가능 세포(free living cell) 중 가장 작다
- 다변형(pleomorphic), 삼투압에 예민(세포벽 결여 때문)
- 작은 구형, 거대하게 부푸른 구형, filament형, 가지가 많이 난 형 등 여러가지의 형태
- 크기 : 0.2~0.3 μm(작은 구형)
- 핵산의 크기 : 4 X 108~109 dalton 크기의 DNA 보유(원핵세포보다 작다)
- 분아형성에 의해 분열
- 세포막에 sterol 보유 → 세포막의 안정성 유지에 필요
◇ 마이코플라즈마의 배양
- 고체배지상의 집락 : 중심부가 단단하고 한천의 내부로 균집락이 번성 → fried-egg 형태 (마이코플라즈마의 집락 : \'계란 부침\' 모양(x100))
- 영양분 요구가 복잡, 까다롭고 성장이 느려 배양에 어려움
- 생장소로 sterol을 배지에 부가
- 페니실린에 의한 성장 저해 X → 배지에 페니실린 부가로 쉽게 마이코플라즈마만 배양
- Cytochrome계 관여 전자전달 인산화과정에 의해 ATP 생성, 기질인산화과정으로도 ATP 생성
◇ 마이코플라즈마의 분류
- 형태, sterol 요구성, 산소 요구성 등에 근거
* Mycoplasma의 특징
◇ 마이코플라즈마에 의한 병원균
- M. mycoides : 소의 유행성 다형 폐렴의 원인균
- 몇 종의 Mycoplasma : 양, 염소 등 포유동물의 유선에 감염 → 무유증(agalactia) 초래
- 사람의 경우 → 폐렴(Mycoplasma pneumoniae
(a)TEM(x47,880) (b)SEM(x26,000)), 요도염, 신장염, 구강염 등, 성병 원인체
- Spiroplasma : 귤감나무의 병원체
- 수종의 마이코플라즈마 : 식물의 병원체
11. 기타 박테리아
◇ 활주 박테리아(gliding bacteria)
- 편모나 축섬유가 아닌 활주에 의해 운동
- 형태학적으로나 영양학적, 대사능, 세포 구조상에서 매우 다양
- G+C%도 서로 다름
◇ 과체 형성 박테리아(fruiting bacteria, Myxobactrerialea)
- 매우 독특한 생활환 보유
- 형태가 각기 틀린 수종의 박테리아로 구성
- G+C% : 67~71로 거의 균일
- 증식형 생활환(vegetative cylcle)과 아포형성과 과체형성 및 발아의 과정을 거치는 생활환이 연계
* 점액세균의 자실체
(a)전형적인 자실체 구조 (b)Myxococcus fulvus 자실체 높이 150~400 μm (c)Myxococcus stipilatus 자루 길이 200 μm (d)Chondromyces crocatus 자루 길이 700 μm 이상
◇ 외피보유 박테리아(sheathed bacteria)
- 기다란 관이나 외피속에 주유형 세포 함유
- 오염이 심한 유수, 활성오니 하수처리장 등 유기물이 많은 곳에 분포
- 환원철이나 망간이 있는 하수 환경에서 외피에 철수화물(ferric hydroxide)나 망간산화물(manganese oxide)의 침적 생성
- 주위 환경 불리 → 외피 뚫고 나와 주변에 퍼짐, 적합하면 → 외피안으로 들어 감
◇ 분아형성 박테리아 및 부착물 보유 박테리아(budding bacteria and appendage(prosthecae) bacteria)
- 세포질이 도출되어 형성된 줄기(stalk)나 부착물(appendage) 보유
- 세포질의 돌출구조의 크기(직경) : 본체보다 작고 세포벽에 둘러싸여 있을 때 → 전출물(prostheca)
- 세포질의 돌출물이 아니고 단순한 점액질층이나 세포벽의 돌출 → 줄기(stalk)
- 대개 수생 박테리아이며 기포 보유
◇ 줄기 보유 박테리아 : Caulobacter
* Caulobacter의 형태와 생식 :
(a)장미모양의 세포가 자신의 프로테스카에 서로 붙어있다 (b)세포가 분리되어 유주자 형성 (c)편모가 달린 유주자 세포 (d)전자현미경으로 본 장미모양의 세포
- 줄기는 고체 표면에 부착하는 기능
- 극성 편모 보유, 생장과정 중 편모 소실 → 반대편에 줄기 생장하면서 세포의 길이가 길어짐 → 분열직전에 이르면 원래 위치에 다시 소생 → 한 세포는 편모 보유, 다른 세포는 줄기 보유
* Caulobacter의 생활주기 :
유주자 시기를 0분, 30C 포도당 최적배지
◇ 분아 형성 박테리아(budding bacteria)
- 분아 형성하여 분열
- 대표적인 박테리아 :
Hypomicrobium, Hyphomicrobium의 생활주기
◇ Bdellovibrio
- 원핵 박테리아보다 작은 편모성,
꼬부라진 모양(vibrio)의 박테리아(Bdellovibrio bacteriovorus의 음성염색 사진), 그람음성균(E. coli, Pseudomonas)에 기생 →세포질내 성분 소모
- 토양이나 수중에 서식
- 숙주 박테리아의 세포벽과 세포막 사이의 세포막 주변 공간(periplasmic space)에 침입 → 숙주 세포질 소모하여 생장 → 세포벽 파괴하고 5~6개의 새로운 세포 뛰어 나옴
- 절대 호기성균, 아미노산이나 acetate로부터 에너지 획득
* Bdellovibrio 생활주기
(a)완성된 생활주기
(b)Bdellovibrio bacteriovorus가 대장균의 세포벽을 침투하는 사진
(c)Bdellovibrio가 대장균의 세포벽과 원형질 막 사이에 존재하는 사진
◇ 철 보유 박테리아
(a)Aquaspirillum magnetotacticum TEM 사진(MP;자철광 입자, x123,000) (b)마그네토좀(자철광 입자, x140,000) (c)자기장이 걸렸을 때 파동을 이루며 이동하는 세균
- 세포질내에 자석(Fe3O4) 지닌 박테리아
- 약간 꼬부라진 간균, 극성 편모 보유
- 중동의 사해에서 분리된 것은 사각형 모양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9.12.28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1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